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18:09:51

니니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코토아마츠카미|
코토아마츠카미
]]
[[조화삼신|
조화삼신
]]
제4대
제5대
초대
제2대
제3대
[[카미요나나요|
카미요나나요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지신오대|
지신오대
]]
지신오대 초대
지신오대 제2대
[[히무카 삼대|
히무카 삼대
]]
지신오대 제3대
지신오대 제4대
지신오대 제5대
히무카 삼대 초대
히무카 삼대 제2대
히무카 삼대 제3대
}}}}}}}}}


지신오대 제3대
히무카 삼대 초대
니니기노 미코토
瓊瓊杵尊
파일:external/68.media.tumblr.com/tumblr_mp1ko6qewM1swi6cqo1_1280.jpg
<colbgcolor=#AF001F><colcolor=#DCA600> 이름 니니기(ニニギ, ニニギノミコト)
부친 아메노오시호미미

1. 개요2. 상세3. 창작물

[clearfix]

1. 개요

일본 신화에 나오는 . 황조신 아마테라스의 손자이자 아메노오시호미미의 아들로, 지신오대의 제3대이다.

풀네임은 아메노 니기시쿠니 니기시아마츠 히코 히코호노 니니기(あめのにぎしくににぎしあまつひこひこほのににぎ).[1] 이 중 존칭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진짜 '이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니니기'이기 때문에 보통은 줄여서 니니기라고 하며, 한자로는 일반적으로 '瓊瓊杵尊' 및 '瓊々杵尊', '邇邇芸命'으로 표기한다. 일본 고대 사료에서는 존칭인 尊 또는 命을 붙여 니니기노 미코토라고 읽는다.

2. 상세

파일:external/www.food-farm.net/1261612174.jpg

고사기》에 따르면 니니기는 계보상 아마테라스 여신의 직계 손자로, 조모인 아마테라스의 명령에 따라 볍씨와 3종의 신기(거울, 곡옥, 검), 5부신과 함께 보자기에 싸여 천상인 타카마가하라로부터 지상으로 내려왔다.[2] 내려간 곳은 ‘구시후루노타케'의 ‘소호리’라는 봉우리였다.#

그리고 강림한 곳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곳은 카라쿠니(韓國, 한국)를 향했고, 카사사(笠沙) 곶까지 진정한 길이 통해서 아침 해가 잘 비치는 나라, 석양이 잘 비치는 나라이다. 고로 이곳은 매우 좋은 곳이다."[원문]

이를 두고 천손강림(天孫降臨)이라고 한다. 천황가에서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니니기와 여신 코노하나노사쿠야히메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 중 호오리노미코토의 손자가 바로 일본의 초대 천황 진무이고, 현 천황가는 이들의 직계임을 자처한다.

이 신화를 두고 오카 마사오 교수, 우에다 마사아키 등은 단군신화를 본뜬 것이라고 했다.# 또한 금관가야의 시조인 수로왕이 강림한 '구지봉'과 '쿠시후루노타케'의 지명 관련성 및 니니기가 강림했을 때 한국(카라쿠니)에 대해서 언급한 《고사기》의 내용을 들어, 일본 학자 사와다 요타로(澤田洋太郎)와 타니 유지(谷有二) 교수 등은 한반도 도래인들이 규슈 북쪽에 이주하는 내용이 니니기 신화라고 주장했다.

오오야마츠미는 니니기에게 두 딸인 이와나가히메코노하나노사쿠야히메를 시집보냈으나, 니니기는 추녀인 이와나가히메를 내치고, 미녀인 코노하나노사쿠야히메하고만 결혼했다. 오오야마츠미는 바위와 영원을 상징하는 이와나가히메와 단풍잎과 번영을 상징하는 코노하나노사쿠야히메 양쪽 모두를 거두길 원했으나, 니니기가 코노하나노사쿠야히메만을 선택한 탓에 현재의 천황가는 인간의 수명밖에 지니지 못했다는 전설이 있다. 원래는 몇백 년 이상 살 수 있는 불로의 존재일 수도 있었는데, 사쿠야를 선택했기에 지상에 살아가는 보통의 인간들처럼 8~90년 살고 생을 마친다는 얘기이다. 천황을 신격화하는 과정에서 현인신인 천황이 여타의 범속한 인간들처럼 겨우 몇십 년밖에 못 살고 죽게 되는 것을 합리화하려는 신화적 시도였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니니기는 본래 농업의 신이었던 듯하다. 볍씨에 주목해 니니기의 강림이 벼농사의 시작과 벼농사를 기반으로 한 야마토 왕권(왜국) 조정의 성립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한다.

3. 창작물

  • 니니기(IZUMO2)
  • 니니기(노을빛 세계에서 너와 노래를…)
  • 불새 여명 편에 등장한다. 본작에선 주인공들과 대립하는 악역. 그런데 불새의 다른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많은 악역들과는 여러모로 다른 비범한 사람이다.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나기와 사루다히코까지 끝내 니니기의 군대에 패배해 모두 목숨을 잃을 정도고, 싸움이 끝난 후 잿더미에서 부활해 날아가는 불새를 보고서도 영원한 생명 따위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며 불새를 그냥 보내준다. 불새의 피로 영생을 누리고자 하는 수많은 인물들과 달리 의외의 모습을 보인다.

[1]고사기》의 한자 표기로는 '天邇岐志国邇岐志天津日高日子番能邇邇芸命', 《일본서기》의 한자 표기로는 '天饒石国饒石天津彦火瓊瓊杵尊'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표기가 존재한다.[2] 본래는 아마테라스 여신의 아들인 아메노오시호미미가 내려가기로 했지만 지상의 신들이 저항하여 평정을 하던 중 니니기가 태어나 완전히 평정한 그때, 청년으로 자라나서 아메노오시호미미가 그의 아들 니니기를 대신 보내기로 하자고 제안했다.[원문] 此地者 向韓國 有真之道通笠紗之御前 又此地者 朝日之直刺國 夕日之日照國也 故 此地甚吉地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