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1:04:00

노시환/선수 경력/2024년

노시환/2024년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노시환/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F60> 파일:노시환 프로필(무배경).png 관련 문서
노시환
ROH SIHWA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18년 U-18 · 2023년 AG · 2023년 APBC
평가
플레이 스타일 · 수상 경력 및 보유 기록 ·
통산 홈런 일지
기타
여담 · 변노유 · 분류
}}}}}}}}} ||

노시환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 개요2. 시즌 전3. 정규시즌
3.1. 전반기
3.1.1. 3월3.1.2. 4월3.1.3. 5월3.1.4. 6월3.1.5. 7월
3.2. 후반기
3.2.1. 7월3.2.2. 8월3.2.3. 9월
4. 시즌 후 총평
4.1. 타격4.2. 수비
5. 시즌 후

[clearfix]

1. 개요

2024년 한화 이글스 소속 내야수 노시환의 활약상을 담은 개별 문서.

2. 시즌 전

2.1. 스프링캠프

작년 시즌의 기세를 계속 이어나가는 중이며, 본인이 왜 대표팀 4번타자인지 증명 중이다.

2.2. 시범경기

3월 9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시범경기 첫경기에서 3타수 3안타를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펼치며 김태연과 교체되었다.

2.3.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서울 시리즈

3월 7일에 발표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서울 시리즈 평가전을 치루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관련 기사

3. 정규시즌

3.1. 전반기

3.1.1. 3월

파일:노시환2024-3월.jpg
3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8 29 6 1 0 3 9 6 8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6 0 0 0 .207 .343 .552 .895 0.21
시범경기 때와는 다르게 전체적으로 타이밍이 맞지 않으며 8경기 29타수동안 6안타밖에 때리지 못했고 타율 .207를 기록했다. 하지만 그 6안타 중 4개가 장타, 그 중 3개가 홈런[1]일 정도로 어마무시한 장타력을 보여주었으며 그 덕분에 OPS는 9할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3월 24일 LG 트윈스와의 2차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8회 1타점 적시타를 기록했다. 경기 기록은 3타수 1안타 1타점 1득점 1볼넷.
파일:노시환2024-1호.gif
3월 26일 SSG 랜더스와의 1차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8회 초 최민준을 상대로 시즌 1호 홈런을 기록했다.
파일:노시환2024-2호.gif
3월 28일 SSG 랜더스와의 3차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3회 초 오원석을 상대로 선제 투런포를 기록했다. 시즌 2호 홈런.
파일:노시환2024-3호.gif
3월 31일 kt wiz와의 3차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2회 말 2사 1,3루 상황에서 등장해 벤자민을 상대로 몸쪽으로 들어오는 초구를 받아쳐 쓰리런 홈런을 작렬시키며 팀의 2회 빅이닝에 크게 일조했다.[2] 역시 미스터 쓰리런

3.1.2. 4월

파일:노시환2024-4월.jpg
4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23 89 24 2 1 3 17 13 2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11 2 1 1 .270 .363 .416 .779 0.9

파일:노시환2024-4호.gif
44대전 롯데전에서 4회 말 윌커슨을 상대로 추격의 솔로포를 기록했다. 시즌 4호 홈런. 이번 경기 홈런으로 안타 7개 중 4개가 홈런이라는 괴랄한 스탯을 기록했다.
파일:노시환2024-5호.gif
4월 6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2차전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2회 초 헤이수스를 상대로 시즌 5호이자 추격의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
4월 7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3차전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였다. 비록 팀은 스윕패를 면할 수 없었지만 혼자 6타수 4안타 맹타를 휘두르며 시즌 타율을 .214에서 .271까지 끌어올렸다.
4월 12일 KIA 타이거즈와의 시즌 1차전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5타수 3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 2루타 하나를 기록하며 OPS를 9할대로 유지시켰다.
4월 17일까지 부진이 계속되어 OPS가 .849까지 떨어졌으나, 19일 멀티히트로 부활에 시동을 걸고 있다.
이후 쭉 부진하며 4월 26일 기준 타율 0.241, OPS 0.759을 기록중이다.
4월 27일 두산 베어스와의 시즌 5차전 경기에서 4타수 3안타 3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6연패 탈출에 기여했다. 특히 페라자, 채은성, 안치홍과 함께 당일 경기 모든 타점[3]을 올리며 중심 타선의 부활을 알렸다.
4월 28일 두산 베어스와의 시즌 6차전 경기에서 4타수 무안타 1볼넷으로 침묵했다. 팀은 17:8로 대패했다.
파일:노시환2024-6호.gif
4월 30일 SSG 랜더스와의 시즌 4차전 경기에서 3회 말 이기순의 4구 째를 받아쳐 시즌 6호 홈런이자 개인 통산 2번째 만루홈런을 쏘아올렸다. 수비 또한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면서 류현진의 KBO 리그 통산 100승 달성에 일등공신이 됐다. 인터뷰에서 류현진은 노시환에게 고맙다고 말하면서도 노시환 실력이면 그 정도는 해줘야된다고 말하며 웃음을 지었다.
파일:노시환2024-6호 자세.jpg
여담으로, 만루홈런 후 노시환 특유의 홈런 자세가 소소한 화제가 되었다.

3.1.3. 5월

파일:노시환2024-5월.jpg
5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24 105 31 3 0 6 15 19 23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7 0 3 2 .295 .339 .495 .834 0.7

파일:노시환2024-7호.gif
5월 1일 SSG 랜더스와의 시즌 5차전 경기, 5월 첫 타석부터 홈런을 쏘아올리며 시즌 7호 홈런을 달성했다.
파일:노시환2024-8호.gif
5월 4일 KIA 타이거즈와의 시즌 5차전 경기에서 선발 출전했다. 9회초, 마무리 투수 정해영을 상대로 영봉패를 면하는 홈런을 기록하며 시즌 8호 홈런을 달성했다. 이로써, 2년 연속 두 자릿 수 홈런까지 2개의 홈런만을 남겨놓고 있다.
5월 14일 NC 다이노스와의 시즌 3차전 경기 후 인스타에서 팬과 설전을 벌인 사실이 알려졌다. 선수의 개인 인스타까지 찾아가서 악플을 남긴 팬이나, 거기에 굳이 반응을 보인 노시환이나 서로 잘한 건 없다는 반응이 대다수.[4]
파일:노시환2024-9호.gif
5월 22일 LG 트윈스와의 시즌 4차전 경기에 선발 출전하였다. 이 타석 전까지 전반적으로 오래 부진하던 와중, 7회말 김대현을 상대로 결정적인 동점 솔로포를 기록했고, 이어진 8회말 쐐기 적시타를 쳐내며 활약했다. 2년 연속 두 자릿 수 홈런까지 단 하나의 홈런만 남겨놓고 있다.
5월 23일 2루타와 단타로 멀티히트를 달성했지만 팀은 불펜의 부진으로 패하고 말았다.
파일:노시환2024-10호.gif
5월 24일 SSG 랜더스와의 시즌 7차전 경기에서 선발 출장했다. 3회초 솔로 홈런을 쳐내며 시즌 10호 홈런이자 2년 연속 두 자릿 수 홈런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SSG전에서만 시즌 홈런의 절반인 5개를 때려냈고, 단 2일 만에 아홉수를 깨버렸다.
5월 25일 문학 SSG전 3타수 1안타(2루타) 2볼넷(1고의사구) 2득점으로 활약했다. 수비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으며, 5월 22일부터 4경기 연속 장타를 뽑아내며 점점 타격감에 불이 붙고 있는 모습이다.
파일:노시환2024-11호.gif
파일:노시환2024-12호.gif
5월 30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시즌 7차전 경기, 4회와 6회에 시즌 첫 연타석 홈런을 뽑아내며 시즌 12호 홈런이자 통산 80호 홈런을 달성했다. 이후 안타 하나를 더 추가했고, 5타수 3안타 4타점 3득점으로 맹활약하며 팀의 스윕승에 기여했다.

3.1.4. 6월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6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0 0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000 .000 .000 .000 0.00

6월 1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시즌 8차전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여 4타수 3안타 3타점 1득점 맹타를 휘둘렀다. 3회초 원태인을 상대로 3점 홈런을 쳐내며 자신이 왜 원태인 천적인지 증명했으며, 현재까지 13홈런을 기록하여 홈런 페이스도 작년에 비해 빨라졌다.[5] 타율 또한 종전 .274에서 .282로 대폭 상승했다.

3.1.5. 7월

3.2. 후반기

3.2.1. 7월

3.2.2. 8월

3.2.3. 9월

4. 시즌 후 총평

4.1. 타격

4.2. 수비

5. 시즌 후


[1] 이를 144경기로 환산하면 약 54홈런이 된다.[2] 참고로 한화는 이번 이닝에 2사 후에만 7득점을 해냈다.[3] 페라자 4타수 2안타 1홈런 3타점, 노시환 3타점, 채은성 3타수 1안타 3타점, 안치홍 4타수 2안타 1타점, 총 10득점.[4] 해당 경기가 연장전 포함 4시간 이상 진행되었던 만큼 다음 경기를 위해 컨디션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었다. 심지어 다음 날인 15일은 지상파 중계로 인해 2시에 경기가 치러질 예정이었다.[5] 144경기 기준 33홈런 페이스, 작년 31홈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