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19:12:15

네덜란드령 케이프 식민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e3831 3%, #fff 3%, #fff 4%, #007a4d 4%, #007a4d 10%, #ffb612 10%, #ffb612 11%, #000 11%, #000 89%, #ffb612 89%, #ffb612 90%, #007a4d 90%, #007a4d 96%, #fff 96%, #fff 97%, #002395 97%, #00239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b612><colbgcolor=#0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 스프링복
역사 역사 전반 · 줄루 왕국 · 보어 공화국(오라녀 자유국 · 트란스발 공화국) · 오렌지 강 식민지 · 남아프리카 연방 · 아파르트헤이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헌법
외교 외교 전반 · 남아프리카 공화국 여권 · 영연방 · 영미권 · 아프리카 연합 · G20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 Vodacom · Naspers · 요하네스버그 증권거래소
국방 남아프리카 공화국군
사회 남아프리카 우정국 · 요하네스버그 가이드라인 · 센테크 타워 · 남아프리카항공 ·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 · 로벤 섬 · 마일 트레인 · 케이프타운 대학교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요리 · 루이보스차 · 남아프리카 방송공사 ·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남아프리카 공화국 크리켓 국가대표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남아프리카 그랑프리 · SA20 · 영어(남아프리카 공화국 영어) · 아프리칸스어 · 나마어
인물 샤카 · 넬슨 만델라 · 데스몬드 투투
지리 희망봉 · 로벤 섬 · 드라켄즈버그 산맥 · 칼라하리 사막 · 테이블 산
민족 보어인 · 줄루족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케이프 컬러드 · 케이프 말레이인
}}}}}}}}} ||

네덜란드령 케이프 식민지
Nederlandse Kaapkolonie
Dutch Cape Colony
파일: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깃발.svg
국기
1652 ~ 1806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부족 사회 케이프 식민지
위치 남아프리카
수도 케이프타운
인구 61,947명(1797년)
언어 네덜란드어
면적 145,000km2
종교 네덜란드 개혁교회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

1. 개요

네덜란드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대에 세운 식민지로 공식 명칭은 희망봉 중간 기착지(Tussenstation Kaap de Goede Hoop)이다.

2. 역사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소속 얀 반 에이크가 케이프타운 일대에 세운 마을에서 시작한 식민지로 이들은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오가는 동인도 회사 소속 선박의 재보급 기지이자 중간 기착지로 건설되었다. 유럽인들이 케이프에 처음 정착하였을 때 이 근방에는 코이코이족들이 있었다. 유럽인들은 이미 1세기 이상 코이코이족과 무역을 해왔지만, 1652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케이프를 식민지화하면서 토지, 특히 가축의 소유권을 놓고 심각한 분쟁이 발생했다. 양측의 격렬한 공격과 반격으로 악화된 긴박한 경쟁은 코이코이-네덜란드 전쟁으로 이어졌고, 결국 코이코이족의 패배로 끝났다. 이 전쟁에서 이긴 보어인들은 코이코이족들로 부터 땅을 받았다.

유럽 정착민들이 식량을 생산하기 시작하자 토착민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곧 회사의 전직 직원들이 계약 종료 후 현지에 남아 농사를 짓기 시작했고, 이들을 프리버거라 불렀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이들에게 12년간의 면세 혜택, 종자와 농기구 대여, 그리고 회사에 곡물을 공급할 조건으로 토지를 부여했다. 프리버거는 성품이 단정한 기혼 네덜란드 시민으로, 최소 20년간 아프리카에 머물러야 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다국적 인력 구성 덕분에 일부 독일인 병사·선원도 프리버거가 되었고, 1688년에는 프랑스 위그노 난민 100여 명이 정부 지원으로 이주했다. 그 결과 1691년경 식민지 유럽인 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비(非)네덜란드계였다. 그러나 언어와 혼인을 통한 문화적 동화가 이루어지며 대부분이 네덜란드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1792년에 시작된 프랑스 혁명전쟁은 1793년 1월 프랑스가 네덜란드 공화국과 영국에 선전포고하면서 확전되었다. 이 전쟁은 인도양으로 번졌고, 프랑스의 사략선들이 무역로를 위협하자, 남아프리카의 네덜란드령 케이프 식민지가 영국·네덜란드 무역의 주요 보호 거점이 되었다. 1794년 겨울, 프랑스군이 네덜란드를 점령하고 암스테르담을 함락시켰으며, 오라녜 공 윌리엄은 영국으로 망명했다. 혁명군은 네덜란드를 바타비아 공화국으로 재편했고, 윌리엄은 큐 서한을 보내 식민지 총독들에게 영국군과 협력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영국은 인도 무역 보호를 위해 케이프 식민지를 점령하기로 결정했다. 전쟁장관 헨리 던다스의 명령으로 조지 엘핀스톤 제독과 존 블랑켓이 이끄는 두 함대가 1795년 4월 3일 케이프로 향했다. 케이프로 향한 제독들은 같이 프랑스에 대항하자고 제안했지만 슬루이스켄 총독을 이를 거부하였다. 그래서 영국군은 네덜란드군을 공격하였다. 엘핀스톤은 네덜란드 방어선이 강하다고 판단해 증원을 요청했고, 8월 7일 협상이 결렬되자 공격을 명령했다. HMS America, Stately, Echo, Rattlesnake 함선이 포격을 가하며 크레이그의 병력이 뮈젠버그 고개를 점령했고, 네덜란드군은 혼란 속에 후퇴했다. 다음 날 보어군의 반격도 해군과 해병대의 지원으로 격퇴되었다.

네덜란드군은 바인버그로 후퇴했지만, 영국군도 식량과 탄약 부족으로 전진하지 못했다. 8월 9일 보급 및 증원군이 도착하면서 교착 상태가 지속되었다. 영국군은 8월 18일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선박 5척을 나포했고, 9월 초 네덜란드군이 반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9월 3일, 클라크 장군이 지휘하는 4,000명의 대규모 증원군이 도착하면서 상황이 역전되었다. 클라크군은 육상으로 진격했고, 영국 해군은 케이프타운을 봉쇄 및 포격 지원했다. 압도적인 병력에 포위된 슬루이스켄은 항복 협상을 요청했으나, 클라크는 24시간 내 항복하라고 했다. 결국 1795년 9월 15일, 슬루이스켄은 케이프 식민지를 영국에 공식 항복하며 통제권을 넘겼다. 하지만 영국과 나폴레옹 프랑스 , ​​그리고 그 속국인 바타비아 공화국 간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영국은 아미앵 조약에 따라 1803년에 케이프 식민지를 바타비아 공화국에 넘겼다. 하지만 나폴레옹 프랑스 사이의 평화는 1년 만에 깨졌고, 1814년 네덜란드는 런던 조약 에 따라 케이프에 대한 주권을 공식적으로 영국에 양도했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