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16:40:30

김지원(축구선수)


4 이상민 파일:부상 아이콘.svg · 5 야잔 · 7 정승원 · 8 이승모 · 9 조영욱 · 10 린가드
C
· 11 천성훈 · 14 손승범 · 15 김현덕
16 최준 · 18 정태욱 · 19 강주혁 · 20 이한도 · 21 최철원 · 22 김진수
VC
· 24 조영광 · 25 임준섭 · 26 허동민
27 문선민 · 28 바또 · 29 류재문 · 31 강현무 · 32 클리말라 파일:부상 아이콘.svg · 33 배현서 · 36 김지원 · 37 정한민 · 40 박성훈
41 황도윤 · 45 둑스 · 63 박수일 · 66 최준영 · 70 안데르손 · 71 윤기욱 · 72 민지훈 · 77 루카스 · 88 박장한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동 {{{#!folding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김지원 선수 FC서울 공식 프로필.png
FC 서울 No. 36
김지원
Kim Jee-won
<colbgcolor=#b5191a><colcolor=#fff> 출생 2004년 2월 12일 ([age(2004-02-12)]세)
대구광역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0cm / 체중 83kg
포지션 센터백, 스트라이커
주발 오른발
학력 서울신정초등학교 (졸업)
오산중학교 (졸업)
오산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중퇴)
소속 <colbgcolor=#b5191a><colcolor=#fff> 유스 FC 서울 (2017~2022)
프로 FC 서울 (2025~ )
양평 FC (2025 / 임대)
국가대표 0경기 (대한민국 U-17 / 2021)
등번호 FC 서울 - 36번[1][2], 89번[3]
양평 FC - 40번
1. 개요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2.2. FC 서울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

파일:김지원2022.png

FC 서울의 유스인 오산중 - 오산고를 차례로 거친 성골 유스이다. 2022년 FC 서울 U-18의 주장을 맡아 K리그 U18 챔피언십과 K리그 U18 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U18 챔피언십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2023년 고려대학교에 진학하여 2년간 고려대학교 축구부에서 활약했다.

2.2. FC 서울

2025년 FC 서울에 콜업되었고 입단과 동시에 K3리그 양평 FC로 임대를 떠났다.

2.2.1. 양평 FC (임대)

등번호는 40번이다.

1라운드 강릉시민축구단전 주 포지션인 스트라이커가 아닌 센터백으로 선발 출전하며 데뷔전을 치뤘다.

2라운드 파주시민축구단과의 경기에서 전반 6분 좋은 침투로 스루패스를 받아 데뷔골을 득점했다.

5라운드 여주 FC센터백으로 선발 출전했다.

이후 계속 주전 센터백으로 출전했다. 포지션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2025 시즌 13경기 1골을 기록했고 7월 15일 원소속팀 FC 서울로 복귀했다.

2.2.2. 2025 시즌

등번호 36번을 배정받았으며 서울에서도 포지션이 수비수로 분류되었다. 여름이적시장 김주성의 이탈을 대비한 것으로 보인다.

23R 제주전 처음으로 명단에 들었으나 출전하진 못했다.

부리람 유나이티드와의 AFC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후반 39분에 교체 투입되면서 FC 서울 데뷔전을 상당히 큰 무대 에서 치르게 되었다.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프로 데뷔 이전에는 좋은 피지컬을 바탕으로 한 포스트플레이[4]와 준수한 오프더볼 움직임, 박스 안에서의 침착한 마무리가 장점인 포처 스타일의 국내에서 드문 장신 스트라이커로 주목을 받았다.

프로 데뷔 후에는 센터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했는데, 공중볼 경합 능력과 클리어링, 빠른 뒷공간 커버가 장점이라고 한다.

5. 여담

  • 특이하게도 이름의 영문 표기에서 지 자를 Jee로 사용한다.
  • 오산중 시절에는 미드필더였으며, 오산고 진학 이후 차두리 감독에 의해 포지션을 최전방 공격수로 변경했다고 한다. 프로 입성 후에는 센터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 오산고등학교 시절 팀에서 게임같은 활동을 할 때 주로 진행을 맡았다고 한다.#
  • FC 서울의 성골 유스 선수임에도 양평 FC 임대 복귀 전까지 아무런 구단 오피셜 소식이 나오지 않아 한동안 문서 생성이 되지 않았었다.

[1] 2025~[2] 양평 FC 임대 복귀 후.[3] 2025[4] 본인 스스로도 헤딩이 가장 자신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