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000><colcolor=#fff> | |
| 이름 | 김주환 |
| 출생 | 1981년 ([age(1981-01-01)]세) |
| 학력 | 조지타운 대학교 국제정치학 |
| 데뷔 | 2012년 영화 코알라 |
| 링크 | |
1. 개요
대한민국의 영화감독.2. 활동
영화 데뷔 이전까지 보통의 한국 영화감독들처럼 조연출 및 단편 영화로 경력을 쌓은 것이 아닌 영화 배급사인 쇼박스에서 홍보팀으로 일하면서 영화를 홍보하고, 투자 기획 개발을 하는 직원이었다고 한다. 즉, 젊었을때부터 감독이 아닌 회사원이었다. 하지만 영화 감독일을 하고 싶었던 김주환 감독은 결국 잘나가는 회사를 관두고 배급사이기도한 쇼박스의 도움도 없이 스스로 영화를 연출해서 2013년에 독립 영화로 데뷔하게 된다.2013년 저예산 영화 <코알라>로 데뷔했으며, 청년들의 고군본투 사업 이야기로 비평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관객 수 6400명으로 흥행에는 참패했다.[1] 아무래도 배급을 잡기 힘든 저예산 독립 영화여서 그렇기도 했다. 그래서 독립 영화에 대해 찬밥인 한국에서는 독립 영화로 흥행은 커녕 손익분기점의 반의 반까지 가는 것도 하늘의 별따기 수준으로 어렵다.
그러다가 2017년 개봉한 두 번째 장편영화이자, 감독의 첫 상업 영화인 <청년경찰>이 565만 관객을 돌파해 손익분기점의 2배 이상을 넘기면서 흥행에 성공했다.
2019년 <사자>를 내놓았지만 부실한 스토리와 연출 등으로 인해 혹평을 받으며 손익분기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흥행에 실패했다.
2023년 개봉한 <멍뭉이> 역시 부정적인 주류평과 함께 고작 19만 5천명의 관객을 동원해 흥행에 실패했다. 이렇게 청년경찰 이후로 흥행작을 내놓지 못하고 슬럼프에 빠지던 찰나...
넷플릭스 드라마 <사냥개들>이 시청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넷플릭스 글로벌 1위까지 달성하는 등 오랜만에 흥행작을 내놓았다.
이후 2024년 공개된 넷플릭스 영화 <무도실무관>이 전작 사냥개들에 이어 준수한 평가를 받음에 따라 흥행을 이어나가고 있다.
3. 연출 특징
한국 영화계에서 버디 액션물을 주로 연출하는 감독이라고 할 수 있다.그의 대표작인 <청년경찰>, <사냥개들>, <무도실무관>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세 작품 모두 두 명의 남주인공이 합을 맞춰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버디물 형태의 범죄 액션물이다. 주로 20대의 젊고 선한 남자주인공이 활약하는 영화를 잘 만들며, 범죄 액션 뒤에 청춘물과 개그물의 요소도 자주 집어넣는다.
스토리 각본 집필력과 관련해서는 전개를 위해 개연성을 희생시키는 경우가 많은데다 유치함도 늘 따라붙고 있어 뛰어나다고 보기에는 어려우며, 개연성을 떠나 중심 스토리 자체도 매번 굉장히 단순한 편이라 평론가 사이에 호불호도 짙은 편이다. 물론 타율 높고 자연스러운 유머가 흥행에 있어서는 강점이라 킬링타임 용도로는 나쁘지 않은 결과물을 뽑는다는 평도 있다. 청년경찰은 한국 남성 절친 사이에 통하는 유머를 자연스럽게 표현했다는 평이 있으며 이런 가벼운 유머가 감독의 가장 큰 강점으로 꼽힌다. 남자 배우들의 코미디 적인 케미를 잘 표현한다는 평가가 있는 감독이다.
영상미에 대해서는 청년경찰과 사자가 화면이 너무 어두워서 혹평을 받았으니, 독립 영화라 유명세는 없지만 코알라는 영상미가 독립 영화인 것에 반해 괜찮게 잘 뽑혔고, 부정적인 평가로 인해 흥행을 못해서 그렇지 멍뭉이도 감독 특유의 톡튀고 귀여운 연출과 잔잔한 영상미에 대해서는 나쁘지 않은 평을 받았다.
사실 김주환 감독이 원래부터 액션에서 호평을 받는 감독은 아니었다. 데뷔작인 코알라처럼 유머나 귀여운 연출을 전에도 보인 적은 있긴 하나, 청년경찰은 감독 특유의 유머로는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시인성 나쁜 화면이나 랜드스케이프에 가까운 둔탁한 촬영 기법, 컷 배치를 절제하다가 잘 못해 타격감이 전혀 없는 액션은 혹평을 받았다. 이는 사자에서도 드러난 단점이었다. 하지만 사냥개들을 기점으로 시인성이 발전된 영상 화면, 무엇보다 컷을 남발하지 않고 절제하면서도 잘짜여진 액션 합과 류승완 감독처럼 지형지물을 잘 활용하고, 카메라가 액션에 따라 움직이는 촬영 기법을 써서 훌륭한 액션 연출을 보여주는 등, 발전을 거두었다.
4. 작품 목록
4.1. 영화
| <rowcolor=#fff>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13년 | 코알라 | 감독, 각본 | |
| 2017년 | 청년경찰 | ||
| 2019년 | 사자 | ||
| 2023년 | 멍뭉이 | ||
| 2024년 | 무도실무관 | [[넷플릭스| 넷플릭스 |
4.2. 드라마
| <rowcolor=#fff> 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비고 |
| 2023년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사냥개들 | 연출, 각본 | 원작 각색 |
| 미정 | 사냥개들2 |
5. 수상
6. 여담
- 연상호 감독과 같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와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영화를 같이 연출해 본 감독이다. 다만 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 투자가 많아지고, 극장의 불황이 더 심해져서 넷플릭스로 모이는 감독들이 늘고, 넷플릭스에서 제작하는 영화 제작 시스템과 드라마 제작 시스템이 비슷해서 이 두 감독들을 기점으로 이런 사례가 더더욱 늘 것으로 보인다.
- 메이저 배급사에서 직원으로 일하다가 영화 감독이 된 김용훈 감독하고 행보와 나이까지 같다.
- 영화에서의 묘사를 보아 게임을 상당히 좋아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중에서 슈팅 게임을 좋아하는 것으로 보인다. 청년경찰에서는 주인공들이 하는 게임으로 오버워치가 언급되고, 무도실무관에서는 주인공과 주인공 친구들이 배틀그라운드를 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김주환 감독이 한국 영화 감독들 중에서 젊은 축에 속하긴 하지만, 주인공들의 게임에 대한 애정이나 게임 용어까지 잘 쓰는 거 보면 진심으로 게임을 사랑하는 감독인 듯.
- 영화마다 먹방 장면이 잘 들어간다. 청년 창업에 대해 다룬 코알라에서는 수제버거가 나오고, 청년경찰에서는 컵라면과 소세지, 소고기를 맛깔나게 먹고, 사자에서는 탕수육과 짜장면, 사냥개들에서는 삼겹살과 라면, 무도실무관에서는 피자와 삼겹살이 매우 맛있게 나온다. 여러번 먹방 장면을 많이 넣어서 그런지 먹방을 맛깔나게 연출하는 솜씨도 예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