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북제주군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박명효 | 제2대 김영진 | 제3대 현주선 | 제4대 부항석 | 제5대 김왕진 |
제6대 강우준 | 제7대 홍순하 | 제8대 김한준 | 제9대 강덕훈 | 제10대 강태식 | |
제11대 김태진 | 제12대 김인화 | 제13대 이군보 | 제14대 부두용 | 제15대 홍주표 | |
제16대 전창수 | 제17대 현치방 | 제18대 오수만 | 제19대 김봉수 | 제20대 김인탁 | |
제21대 김인규 | 제22대 황인서 | 제23대 임제호 | 제24대 고민수 | 제25대 송무훈 | |
제26대 강철희 | 제27대 박찬식 | 제28대 양대현 | 제29대 김계홍 | 제30-33대 신철주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장 ▶ |
제주도 남제주군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김영진 | 제2대 양치순 | 제3대 전인홍 | 제4대 양한종 | 제5대 강성익 |
제6대 부대현 | 제7대 김선옥 | 제8대 백치규 | 제9대 김동익 | 제10대 현창호 | |
제11대 윤원권 | 제12대 홍태승 | 제13대 김동익 | 제14대 부윤경 | 제15대 강경주 | |
제16대 권동주 | 제17대 홍주표 | 제18대 김서연 | 제19대 윤한병 | 제20대 현치방 | |
제21대 김윤기 | 제22대 전창수 | 제23대 강창수 | 제24대 안재헌 | 제25대 김인탁 | |
제26대 김태환 | 제27대 김인규 | 제28대 현인철 | 제29대 이군선 | 제30대 강완주 | |
제31대 김추영 | 제32대 강태훈 | 제33대 강상주 | 제34-35대 강태훈 | 제36-37대 강기권 |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장 ▶ |
<colbgcolor=#2c9d36><colcolor=#fff> 초대 남제주군수·제2대 북제주군수 김영진 金榮珍 | |||
출생 | 1907년 | ||
전라남도 제주군 중면 이도리 (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동) | |||
사망 | 불명 | ||
본관 | 경주 김씨 | ||
재임기간 | 초대 남제주군수 | ||
1946년 8월 1일 ~ 1946년 11월 4일 | |||
제2대 북제주군수 | |||
1946년 11월 15일 ~ 1950년 3월 10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c9d36><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김남련 | |
학력 | 광주농업학교 (졸업) | }}}}}}}}} |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에 제주도 지역에서 활동한 인물로, 초대 남제주군수와 제2대 북제주군수를 역임했다.2. 생애
김영진의 생애에 관한 제주일보 기사1907년 제주목의 주서(主書)였던 김남련의 큰아들로 태어났다.[1] 광주농업학교를 다녀 1930년 5년 과정을 졸업했고 이후 일제 치하에서 관직 생활을 하였다.
광복 이후 미군정의 눈에 들어 1946년 8월 1일 박경훈 초대 제주도지사, 박명효 초대 북제주군수처럼 초대 남제주군수로 임명됐다. 남제주군수로 있는 동안 행정체제 정비에 힘썼다. # 그는 동년 11월 4일에 퇴임하나 11월 15일 제2대 북제주군수로 다시 군수 생활을 하게 되었다. 1947년 제주 4.3 사건의 발단이 되는 3.1절 발포 사건 이후 도내의 모든 공공기관이 총파업에 들어갔는데, 그가 군수로 있는 북제주군청이 스스로 파업을 중지하여 미군정이 그를 신임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으로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북제주군 을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3,604표(14.99%)의 득표를 기록해 무소속 강창용, 대한국민당 양병직에 이어 3위에 머물렀다. 이후 1952년 지방선거에 다시 출마해 제주도의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초대~제3대 제주도의회의 기록물이 유실됐기 때문에 이 시기 의정활동에 대해 알 수는 없다. 1960년 지방선거에서 제주도지사에 출마하나 22.2%의 득표를 받아 5명 중 4위로 낙선했다. 몰년은 알려져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