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000> | 코단샤 만화상 종합부문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6회부터 부문 신설 | 제43회까지는 일반부문 | 이후 현재 명칭 | ||||||||
1982년 제6회 | 1983년 제7회 | 1984년 제8회 | 1985년 제9회 | 1986년 제10회 | |||||
사냥꾼의 별자리 | P.S. 잘 있습니다, 슌페이 | AKIRA | 이상한 두 사람 | 아돌프에게 고한다 왓츠 마이 | |||||
1987년 제11회 | 1988년 제12회 | 1989년 제13회 | 1990년 제14회 | 1991년 제15회 | |||||
액터 | 보노보노 비밥 하이스쿨 | 미즈키 시게루의 일본 현대사 | 고릴라맨 침묵의 함대 | 귀여운 악녀 시마 과장 | |||||
1992년 제16회 | 1993년 제17회 | 1994년 제18회 | 1995년 제19회 | 1996년 제20회 | |||||
나니와 금융도 | 기생수 | 아이언맨 | 하나다 소년사 | 이나중 탁구부 | |||||
1997년 제21회 | 1998년 제22회 | 1999년 제23회 | 2000년 제24회 | 2001년 제25회 | |||||
드래곤헤드 | 도박묵시록 카이지 창천항로 | 완간 미드나이트 | 배가본드 | 20세기 소년 | |||||
2002년 제26회 | 2003년 제27회 | 2004년 제28회 | 2005년 제29회 | 2006년 제30회 | |||||
지팡구 | 천재 유교수의 생활 | 바질리스크 코우가인법첩 | 드래곤 사쿠라 | 충사 | |||||
2007년 제31회 | 2008년 제32회 | 2009년 제33회 | 2010년 제34회 | 2011년 제35회 | |||||
크게 휘두르며 | 모야시몬 | 오! 나의 여신님 | 자이언트 킬링 | 우주형제 3월의 라이온 | |||||
2012년 제36회 | 2013년 제37회 | 2014년 제38회 | 2015년 제39회 | 2016년 제40회 | |||||
빈란드 사가 | 그라제니 감옥학원 | 쇼와 겐로쿠 라쿠고 신쥬 | 시도니아의 기사 | 코우노도리 | |||||
2017년 제41회 | 2018년 제42회 | 2019년 제43회 | 2020년 제44회 | 2021년 제45회 | |||||
더 페이블 | 프래자일 80세 마리코 | 어제 뭐 먹었어? | 블루 피리어드 | 유리아 선생님의 붉은 실 | |||||
2022년 제46회 | 2023년 제47회 | 2024년 제48회 | |||||||
하코즈메 ~파출소 여자들의 역습~ | 스킵과 로퍼 | 메달리스트 | |||||||
소년부문 | 소녀부문 | }}}}}}}}} |
1. 개요
花田少年史피아노의 숲으로 국내외에 알려진 작가 잇시키 마코토의 만화. 코단샤의 청년만화 잡지인 미스터 매거진[1]에서 1993~1995년에 걸쳐 연재되었으며 본편 4권 + 2003년에 나온 번외편 1권으로 총 5권 완결 작품이다.
1995년 제19회 코단샤 만화상 일반부문 수상작이다.
주인공인 하나다 이치로가 교통사고를 계기로 유령을 볼 수 있게 됨에 따라 벌어지는 각종 에피소드가 주 스토리이다. 옴니버스 형식으로 감동적이고 슬픈 에피소드가 많다. 만화판은 전체적으론 아기자기한 그림체지만 애니판과 달리 가끔씩 그로테스크한 연출이 보인다.
만화의 배경연도는 맨 첫 화에서 이치로가 컬러 TV를 보고 싶다며 떼를 쓰는 장면[2]과 작중 소타가 이치로에게 울트라맨의 내용을 알려주는 이야기가 나오는 걸 볼 때[3] 1966~67년경으로 추정된다. 다만 아베 시즈에[4], 핑거 5[5]의 노래인 개인수업[6], 가면라이더[7] 등이 언급된 걸로 봐서 1973년경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한국판에서는 컬러TV 방송시작 시기에 맞추어서 1980년대 초중반으로 로컬라이징 되었다.
국내에서는 2004년에 삼양출판사를 통해 한국어판이 출간되었으며, 번역은 <나루토>와 <유희왕> 등을 맡았던 문준식이다. 2016년 8월 26일부터 네이버 N스토어에서도 서비스 중이다.
2. 등장인물
3. 에피소드 목록
권수 | 화수 | 일본판 제목 | 한국판 제목 | 요약 |
1권 | 1 | はじまりはじまり‥‥ | 모든 일의 시작... | 프롤로그, 유키 편 |
2 | 助けてあげる | 도와줄게 | ||
3 | コイって‥‥ | 이 녀석은...[8] | ||
4 | バアちゃんの頼み | 할머니의 부탁 | 요시카와 할머니 편 여기서부터 강아지 지로가 이치로의 애완동물이 된다. | |
5 | よろしく | 잘 부탁해 | ||
6 | 夏休み | 여름 방학 | 해바라기 소년 편 | |
7 | ひまわりの咲く家 | 해바라기가 피는 집 | ||
8 | ちんちんジジイ<前編> | 벌거숭이 할아버지<전편> | 벌거숭이 할아버지 편 | |
9 | ちんちんジジイ<後編> | 벌거숭이 할아버지<후편> | ||
2권 | 10 | 桂ちゃんのこと‥ | 케이에 관해서... | 결혼 편 1 |
11 | ハムカツ<前編> | 햄까스[9]<전편> | ||
12 | ハムカツ<後編> | 햄까스<후편> | ||
13 | 織田青年の告白 | 오다 청년의 고백[10] | 오리타 편 | |
14 | 一路、おっぱいに泣く | 이치로, 가슴 때문에 울다 | ||
15 | 霊感・ヤマ勘、カトリーヌ[11] | 점쟁이 마담 카트린 | 마담 카트린 편 | |
16 | ムッシュ・一路 | 무슈 이치~로 | ||
17 | 家族 | 가족 | 결혼 편 2 | |
18 | マダム・カトリーヌの大予言 | 마담 카트린의 대예언 | 하루히코 편 | |
3권 | 19 | 馴染んじゃう[12] | 적응 | |
20 | 大切なもの | 소중한 것 | ||
21 | 横溝くんの微笑み | 요코미조의 미소 | 아마노 쟈쿠 편 여기서부터 등장인물들이 한 학년 씩 올라간다. | |
22 | 13年目の相棒 | 13년 만에 만난 동지 | ||
23 | 男と女 | 남자와 여자 | ||
24 | あい | 사랑 | ||
25 | 御破算で願いましてぇは[13] | 주판을 바로 하고~ | 쿵딱 편 | |
26 | ゴンパチ | 꿀밤 할아버지 | ||
27 | 証言 | 증언 | ||
4권 | 28 | 一路、見上げる[14] | 한여름의 벚꽃 | |
29 | りん子 | 린코 | 린코 편 | |
30 | 夜のおつとめ[15] | 한밤중의 소녀 | ||
31 | まぐそ坊主の言うことにゃ‥‥ | 말똥 스님의 이야기 | ||
32 | 縁切山のふたり | 절연산의 모녀 | ||
33 | お母ちゃんと一緒 | 엄마와 함께 | ||
34 | 制限時間 | 제한 시간 | 종반부 스토리로, 지금까지 나온 혼령들이 거의 모두 등장한다[16]. 여기부터 마지막화까지는 애니메이션화 되지 않았다[17]. | |
35 | あの世とこの世 | 이 세상과 저 세상 | ||
36 | 遺言 | 유언 | ||
마지막화 | せんろは続くよ何処までも | 길은 끝없이 이어지고... | 이치로가 어른이 된 후의 후일담 형식이다. | |
5권 (번외편) | 1 | 約束 | 약속 | 시간 순서로는 4권 28화와 29화의 사이의 스토리이다. |
2 | 走れメロン!! | 달려라 멜론 | ||
3 | クリスマスにはグローブを買って‥‥(前編) | 크리스마스에는 글러브를...(전편) | ||
4 | クリスマスにはグローブを買って‥‥(後編) | 크리스마스에는 글러브를...(후편) |
4. 결말
애니메이션의 결말은 귀신을 보는 힘은 그대로 남고 그 후로도 귀신들을 도우며 살았다며 끝. 린코를 도운 후 이야기가 끝나버린다.만화책의 결말은 귀신을 너무 도와줘서 기운이 빠져나가고 죽을 뻔하지만 강아지 지로와 지금까지 구해 준 귀신들의 도움 끝에 겨우 살아나고 귀신 보는 눈과 기억을 잃고 끝. 이치로의 소원이 이루어져 컬러TV를 볼 수 있게 되었다.[18] 후에 이치로의 자식인 센로도 대머리가 되며 귀신을 보는 능력이 생긴다. 만화책에선 이치로 아빠와 할아버지도 어릴적 잠시 대머리가 되었다는 언급이 나온다.
5. 미디어 믹스
5.1. 애니메이션
5.2. 영화
[1] 1991년 4월 창간, 2000년 1월 휴간.[2] 일본에서 컬러TV 방송은 1960년 9월에 시작했지만, 이때만 해도 일본에서도 컬러 TV는 1~2년치 봉급에 비교되는 수준으로 비싼 가전제품이었고 컬러 송출 자체도 도쿄, 오사카, 나고야를 비롯한 대도시와 그 근교 지역에서나 이뤄지고 있었던 상황이기 때문이다. 당연히 1966년까지 일본의 TV 보급률은 0%대에 그치는, 사실상 엄청난 부자가 아니면 집에 들여올 엄두도 내지 못하는 수준이었다.[3] 울트라맨이 처음 방영된 시기가 1966년 7월 ~ 1967년 4월이다.[4] 일본의 가수이자 배우. 1973년 데뷔. 8화에서 음란마귀 씌인 오리타 마나부가 자신의 이상형이 아베 시즈에라고 하였다.[5] フィンガー5. 70년대에 주로 활동하였던 아이돌 가수 그룹. 멤버는 오키나와 출신의 4남 1녀의 형제였다. 당시에는 10대 정도 되는 나이였다. 학원천국이 대표곡이다. 작중에서는 6화에서 언급되었다.[6] 6화에서 케이가 저녁 식사로 크림빵을 먹는 장면에서 TV에서 나온 노래. 1973년 8월 25일 공개되었다. 국내 더빙판에서는 더빙판 오프닝 곡인 팀의 유년시대로 대체되었다.[7] 1971년 첫 방영. 10화에서 이치로의 친구인 요시오카(돼지맨)가 가면라이더 변신 벨트를 갖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국내 더빙판에서는 독수리 오형제 손목시계로 로컬라이징 되었다.[8] コイ(恋, 사랑)를 コイツ(이 녀석)으로 잘못 보고 번역한 듯 하다. コイって는 작중 내용으로 봐서 '사랑이란...'으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9] 말 그대로 커다란 햄을 돈가스처럼 튀긴 것이다.[10] 흔히 織田는 '오다'로 읽지만 본작에서는 '오리타(おりた)'로 루비가 붙어 있다. 한국판도 '오리타'라고 나왔으니 오역이다.[11] '영감・찍기, 카트린'. 여기서 ヤマ勘은 '어림 대중으로 요행수를 바람'이라는 뜻이다.[12] '익숙해져 버려'[13] 실제 주산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다. 뜻은 '떨고 놓기를...' 정도.[14] '이치로, 올려다 보다'[15] '밤의 일'[16] 하루히코, 멜론, 타카히토의 아버지, 린코는 제외.[17] 린코와 관련된 부분은 제외.[18] 1970년대부터 서민들이 중산층으로 대거 올라가고, 컬러TV 가격도 싸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