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경상북도 김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국내에서 본관은 금릉이고 성씨는 김씨인 가야계 왕족 씨족이다.전승에 따르면 시조는 가락국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의 셋째 아들인 무득(武得)이다.
서기 562년(신라 진흥왕 23) 대가야가 신라의 장수 이사부와 사다함에게 정복되어 신라와 병합되고, 진흥왕이 가락국에 금관소경(金官小京)을 설치하였을 때, 시조인 무득에게 시랑(侍郞) 겸 총관(總管)을 제수하고 금릉군(金陵君)에 봉하였다는 전승이 있으나, 당시 신라에는 봉군 제도가 전혀 없었으므로 이는 신뢰하기 어렵다.
2. 설화
시조 김무득(金武得)은 신라 김유신의 작은할아버지이므로 금릉 김씨 또한 가야의 후손이기에,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 등과는 결혼을 금하라는 지침이 조상들로부터 구두로 전해지고 있다. 금(金)을 성씨로 한 이유를 삼국유사는 개황력을 인용해, 시조 수로왕이 금으로 된 알(金卵)에서 태어난 자손들이기에 그렇다고 서술하고 있다.3. 본관 및 중시조
창성(創姓) 유래는 김무득이 금릉군에 봉(封)해졌으므로, 그의 아들 창현(昌玄)이 본관을 금릉(金陵)으로 삼았다고 한다.이후, 세계는 어느 가문에서나 그러하듯이 국가에 여러 난이 겹치고 세보가 상실 되는 등 여러 사유로 구두에 구두로 세보가 전해져 명확하지 않다. 또한 자손을 낳으면 예전에는 병치레를 많이 하여 많이 낳아도 대부분 어린 나이에 세상을 등져 유독 금릉 김씨 가문에는 독자들이 많다.
이어, 후손들은 고려 제23대 고종(재위 1214∼1260) 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ㆍ수사공(守司空)ㆍ문하시랑(門下侍郞) 평장사(平章事)ㆍ서경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태자 태사(太子太師)에 오르고 금릉군(金陵君)에 봉해진 김중구(金仲龜)를 일세조(一世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4. 인물
4.1. 조선 과거 급제자
기묘식년문무과방목(己卯式年文武科榜目)에 따르면, 1699년(숙종 25) 4월 22일 치러진 무과에 병과 12위로 급제한 김계양(金啓陽) 등이 있다.4.2. 역대 인물
- 11세 : 덕산현감 김각
- 12세 : 금산군수 김자형
- 13세 : 성균관생 김옥정
- 17세 : 몽제 김장 (병자호란 때 송시열과 강화도 피란 : 묘비 기록)
- 22세 : 탁계 김상진 (정조 17년 중국 사신)
5. 유적
5.1. 지재
13세 성균관생원 김옥정이 1500년 무렵 옥천군 청성면 장수리 만명마을에 서당인 지재를 건립하였다.1700년경 금릉김씨 종친회에서 재건축하였다.
이름은 미호(渼湖) 김원행(金元行)이 서당의 배산인 구지봉(求止峰)에서 구(求) 자를 빼고 지재(止齊)라고 지었으며, 현판도 써주었다.
김원행의 가문에도 금릉김씨에 대한 일화가 나온다.
고려 때 청산별곡의 전설과 이달선생이 칭송한 금릉김씨의 재실겸 서당인 ‘지재서당’과
시묘살이를 9년 하여 충효를 실천한 몽재 김장의 묘소와 운창(芸窓) 박성양(朴性陽)이 초막을 짓고 머물다 간 곳으로
산림학파 선비들이 자연을 즐기며 시를 읊조리던 풍류가 깃든 곳이다.
근처에 있는 몽재산소 비문에는 병자호란 때 우암 송시열과
동춘당 동문으로 수학하고 강화도까지 갔다 온 내용이 비문에 있다.
참고로, 서당 중 국가에서 당시에 인정한 것은 몇 개소 안 되었다.
5.2. 보은 노송
(구)천연기념물 제104호.탁계 김상진이 1792년경 중국 사신으로 다녀오면서
보은 집 근처에 식재한 나무이다.
김상진은 은진 송씨 역천 송무원과 실학을 연구하였으며
사망 후 은진 송씨 제선이 묘비명을 적어주었다.
묘비명에는 ‘김 수로왕의 후예 무위가 당시 금산군에 봉해졌으며
이분이 비조가 되고 후예 평장사 김중구가 금능군에 봉해져 자손이 본관을 삼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5.3. 금릉 은행나무
조선 순조 2년(1802) 문신 김문기의 제사를 위해 금릉 김씨 집안에서 세운 은행나무로 천연기념물 제300호로 지정되어 있다.6. 시산제
매년 음력 10월 7일 충북 옥천의 청성 지재 서당에서 시산제를 올리고 있다.7. 참고 문헌
- https://cafe.naver.com/goldhillkim
- 금릉김씨 세보
-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FK137]
- 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 351.306-B224m-169
- 고려사절요
- 고려사
- 기묘식년문무과방목(己卯式年文武科榜目) 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