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12:39:20

근자감

근거 없는 자신감에서 넘어옴


1. 개요2. 상세3.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근자감.png

거 없는 줄임말.

2. 상세

창시자는 SS501박정민. 2005년 M!pick에서 데뷔 무대인데 떨리지 않는다는 김현중을 보며 근거없는 자신감이라고 비웃은 데서 유래했다.[1]

한마디로 자신감은 철철 넘치는데 당사자를 제외한 누가 봐도 그 자신감의 원천과 이유를 찾을 수 없는 경우. 같은 맥락의 단어로는 만용이 있다. 다만 만용은 조금 더 진지하고 무모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뉘앙스라서 근자감처럼 가벼운 일상 대화에서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다.

자기 딴에는 나름대로 자질구레한 이유들을 자신감에 부여하기도 하지만, 심각한 경우엔 자기자신조차 이유를 알지를 못하는 촌극이 생겨나기도 한다. 얄팍한 수준에서 자신감이 솟구친다는 점에서 더닝 크루거 효과와도 자주 엮이기도 한다.

허세와는 약간 다른데, 허세는 없으면서 겉으로는 뭔가 있어보이는 척을 하는 행위를 말한다. 다시 말해, 실제로는 비어있다는 걸 자각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 표현이다. 그러나 근자감은 자신이 허세를 부리고 있다는 것조차 모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니까 허세는 현실을 알더라도 단순 기싸움을 목적으로 보여주기식으로 사용된다는 뉘앙스가 강하지만, 근자감은 기싸움을 넘어서서 진심으로 현실 파악을 못하고 자기객관화가 되질 못하는 사람이다라는 느낌을 물씬 풍긴다.

이런 근자감은 당장은 정신 건강에 이로울 수야 있겠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아니꼬운 시선을 초래한다던지 실행까지 옮길 지경에 이른다면 앞으로의 처신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나는 할 수 있다!"라는 마인드 갖고 무리하게 사업을 벌려놓다 빚더미에 앉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사례다.

한편으론 자신감에 근원을 매기는 것보단 근자감이 오히려 자신감에 지속성과 유연함을 부여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면모도 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자신감에 근거와 우열을 매길 경우 현실의 장벽에 필연적으로 부딪히며 멘탈 관리가 안되거나 열등감으로 변질될 우려가 많지만, 근거를 배제한다면 이런 위험에서 벗어나 흔들림없이 자신감과 행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주요 골자. 국내 최초 필즈상 수상으로 화제를 모았던 허준이도 강조하던 바였다.#

3. 관련 문서


[1] 여담으로 SS501은 이 외에도 썩소, 짜게 식다 등 숱한 신조어를 유행시키도 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