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15:48:17

그리드 레전드



파일:GRID 로고.png
{{{#!wiki style="margin: 0px -11px; margin-bottom: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2008 2013 2014
파일:Grid_1.png 파일:Grid_2.png파일:Grid_2 화이트.png 파일:Grid_Autosport.png파일:Grid_Autosport 화이트.png
레이스 드라이버: 그리드 그리드 2 그리드 오토스포츠
2019 2022
파일:GRID(2019) Logo.png 파일:GRID Legends 로고.png파일:GRID Legends 로고 화이트.png
그리드 그리드 레전드
}}} }}} }}} ||

GRID LEGENDS
그리드 레전드
파일:GRID Legends cover art.jpg
<colbgcolor=#212121><colcolor=#fff> 개발 코드마스터즈
유통 일렉트로닉 아츠
장르 레이싱 게임
플랫폼 PlayStation 4[1] | Xbox One[2]
PlayStation 5 | Xbox Series X|S | Windows
macOS | Meta Quest | Xbox Cloud Gaming
ESD PC
EA app | Origin | Steam | Meta Horizon Store
콘솔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출시일 2022년 2월 24일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홈페이지 파일:일렉트로닉 아츠 심볼.svg

1. 개요2. 게임 플레이3. 모바일 버전 출시4. 카테고리
4.1. 투어링 카4.2. 튜너4.3. GT4.4. 드리프트4.5. 트랙 데이4.6. 오픈 휠4.7. 트럭4.8. 일렉트릭4.9. 데몰리션 더미4.10. 스페셜
5. 출시 후 평가6. 스토리
6.1. 드라이버 라인업(주요)6.2. Driven to Glory

1. 개요


코드마스터즈가 EA 산하로 들어간 뒤 처음으로 출시하는 그리드 시리즈. 2022년 2월 24일에 출시되었다.

2022년 9월 2일 EA PlayPC Game Pass, Xbox Game Pass Ultimate 구독 명부에 게임이 등록되었다. 콘솔, PC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임은 2023년 2월 2일부터 지원한다.

2. 게임 플레이

Driven to Glory라는 다큐멘터리 스타일 스토리 모드가 추가되었다. 폴리곤 모델을 쓴 게 아니라 실제 배우를 캐스팅하여 촬영하였고, 레이스 장면을 제외하면 모두 실사 영상이다.

3. 모바일 버전 출시


2024년 12월 17일 런칭하였다. IOS와 안드로이드로 출시되며, 출시 후에는 안드 진영의 경우 최적화가 많이 부족하다는 평. 거기다 사양이 높아서인지 퀄컴 스냅드래곤/8 시리즈(8 Gen)의 2세대(Gen 2)[3]와 3세대(Gen 3)[4], 퀄컴 스냅드래곤/8 시리즈(8 Elite)[5]로 지원 기기가 매우 한정적이다. 덕분에 8 Gen 1을 사용하는 비교적 최신 기기인 갤럭시 S23 FE에서도 다운받지 못하는 사례가 레딧에서 나왔다.#

4. 카테고리

전작과 마찬가지로 차량별로 카테고리가 나눠져있다.
[DLC1][DLC2][DLC3][DLC4][DLC5][DLC6]

4.1. 투어링 카

  • 클래식 투어링 카
    • 아우디 A4 콰트로
    • 르노 라구나 투어링 카
    • 알파 로메오 155 TS
    • 볼보 850 에스테이트 투어링 카
    • BMW M3 투어링 카
    • 포드 시에라 RS500 코스워시
  • 클리오 컵
    • 르노 클리오 컵
  • 헤리티지 슈퍼 투어러
    • 포드 시에라 RS500 코스워시 그룹 A
    • 닛산 스카이라인 GT-R 그룹 A (R32)
  • 슈퍼 투어러
    • 홀덴 ZB 코모도어 슈퍼카
    • 쉐보레 카마로 슈퍼 투어러
    • 포드 팔콘 FG X 슈퍼카
  • TC-1
    • BMW 320 터보 그룹 5[DLC5]
    • BMW M1 터보 그룹 5
    • 포드 카프리 터보 그룹 5
    • 포르쉐 935/78 그룹 5 "모비 딕"
  • TC-2
    • 폭스바겐 골프 GTI[DLC2]
    • 포드 포커스 TC-2
    • 스바루 WRX STI TC-2
    • 아우디 RS 3 LMS
  • TC-500
    • 혼다 NSX-GT
    • 닛산 GT-R (슈퍼 GT GT500 클래스 레이싱 카)
  • TC-G
    • BMW E46 M3 GTR
    • 오펠 아스트라 V8 쿠페
  • 빈티지 투어링 카
    • BMW 2002 tii 레이스 카[DLC6]

4.2. 튜너

  • 모디파이드
    • 스바루 BRZ 모디파이드
    • 혼다 S2000 모디파이드
    • 닷선 240Z (S30) 모디파이드
    • 닛산 300ZX (Z32) 모디파이드
    • 닛산 스카이라인 2000GT-R (KPGC10) 모디파이드
  • 머슬
    • 1967 포드 머스탱 패스트백[DLC5]
    • 1971 플리머스 GTX[DLC5]
    • 1967 쉐보레 콜벳[DLC5]
    • 포드 머스탱 마하 1 모디파이드
    • 쉐보레 카마로 Z28 모디파이드
    • 폰티악 파이어버드 모디파이드
    • 쉐보레 카마로 SSX 컨셉트
  • MX-5 컵
    • 마쓰다 MX-5
  • 닛산 스카이라인 타임 어택
    • 닛산 스카이라인 GT-R 타임 어택 (R34)
  • 프로 머슬
    • 닷지 챌린저 SRT 데몬
    • 포드 머스탱 쉘비 GT500
    • 쉐보레 콜벳 ZR1
  • 슈퍼 모디파이드
    •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VI 타임 어택
    • 오토 갤러리 닛산 스카이라인 GT-R (R32)
    • 혼다 시빅 FD2
    • 마쓰다 RX-7 판스피드
    • 스바루 임프레자 WRX 토메이 쿠스코
  • 타임 어택
    • 아우디 R8 1:1[DLC2]
    •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IX 타임 어택
    • 닛산 실비아 타임 어택 스펙 (S15)
    • MCA 해머헤드 닛산 실비아 (S13)[19]
    • 혼다 CRX 마이티마우스

4.3. GT

  • 지네타 컵
    • 지네타 G40 GT5
  • GT 클래스 1
    • 포르쉐 911 GT1
    • 파노즈 GTR-1
    • 로터스 엘리스 GT1
  • GT 클래스 2
    • 포르쉐 911 RSR
    • 쉐보레 콜벳 C7.R
    • 페라리 488 GTE
    • 애스턴 마틴 밴티지 GTE
    • SRT 바이퍼 GTS-R
    • 포드 GT GTE
  • GT 클래스 3
    • 벤틀리 컨티넨탈 GT3[DLC4]
    • 지네타 G55 GT3
    • BMW M6 GT3
    • 르노 R.S 01
  • GT 클래스 4
    • 지네타 G55 GT4[DLC1]
    • 애스턴 마틴 밴티지 GT4[DLC1]
    • 닛산 350Z (Z33) Gr.2
    • 포드 머스탱 GT4
    • 포르쉐 911 GT4 (997)
    • 쉐보레 카마로 GT4.R
  • 프로토타입
    • 캐딜락 DPi-V.R
    • 벨트라 엔듀로 24 T
  • 빈티지 프로토타입

4.4. 드리프트

  • 클럽맨 드리프트
    • 스바루 BRZ 드리프트-튜니드
    • 마쓰다 RX-7 FD35 드리프트-튜니드
  • 프로 드리프트
    • 2014 SRT 바이퍼 GTS-R 드리프트 튜니드[DLC6]
    • 닛산 370Z 드리프트
    • 닛산 실비아 S15 드리프트
    •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X 드리프트-튜니드

4.5. 트랙 데이

  • 아마추어 트랙 데이
    • 지네타 G56 GTA
  • 쉘비 코브라 컵
    • 쉘비 코브라 289 FIA
  • GT 하이퍼카
    • 부가티 볼리드[DLC6]
    • 애스턴 마틴 발키리 AMR 프로 컨셉트
  • 로터스 컵
    • 로터스 엘리스 S 컵 R
  • 슈퍼 해치
    • 미니 해치 JCW
    • 란치아 델타 HF 인테그랄 슈퍼 해치
    • 아우디 S1 콰트로 컨셉트
  • 트랙 데이 GT
    • 애스턴 마틴 벌칸 AMR 프로
    • 마쓰다 후라이
    • 페라리 FXX
    • 브라밤 BT62
    • 파가니 존다 에볼루치온
  • 트랙 데이 하이퍼카
    • 코닉세그 제스코[DLC1]
    • 애스턴 마틴 발키리
    • 포드 TFZ-P1
    • 부가티 베이론 16.4 슈퍼 스포츠
    • 코닉세그 아제라 RS
    • 페라리 FXX-K 에보
  • 트랙 데이 퍼포먼스
    • 알파 로메오 줄리아 GTAm
    • 포르쉐 911 GT3 RS (991.1)
  • 트랙 데이 스페셜
    • 포드 GT
    • 페라리 599XX 에보

4.6. 오픈 휠

  • F1000
    • 제디-F1000 스펙
  • 포뮬러 X 컵
    • 주피터 포뮬러 X
  • 라이트웨이트
    • 아리엘 아톰 3.5
    • KTM X-보우 R
  • 르노 R26
    • 르노 R26
  • 루키 컵
    • 벨트라 오픈 휠

4.7. 트럭

  • 프로 트럭
    • 듀몬트 T37 울프
  • 레이싱 트럭
    • DMG 콜로서스
  • 스타디움 트럭
    • 듀몬트 T36 브롤러 스포츠
  • 슈퍼 트럭
    • 듀몬트 스탬피드

4.8. 일렉트릭

  • 하이퍼 하이브리드
    • 벨트라 FZ - 73 FAF
    • 투샥 TS 900 레이서 프로
  • 재규어 I-페이스 e트로피
    • 재규어 I-페이스 e트로피
  • 로터스 E-컵
    • 로터스 에바이야
  • 포르쉐 E-퍼포먼스
    • 포르쉐 타이칸 터보 S
  • 슈퍼 E
    • 벨트라 아이콘 Mk3

4.9. 데몰리션 더미

  • 데몰리션 더미
    • 벨트라 프로스트바이트[DLC3]
    • 벨트라 핫 로드[DLC3]
    • 주피터 이글레이 Mk5[DLC3]
    • 주피터 프레이터[DLC3]
    • 듀몬트 유트 타이탄[DLC3]

4.10. 스페셜

  • 클래식 페라리 컵
    • 페라리 512 BB LM
  • 클래식 GT
    • 포르쉐 911 카레라 RSR 3.0
    • 알핀 A100 1800 그룹 4
    • 페라리 365 GTB4 컴페테지오네
    • 란치아 스트라토스
  • 클래식 미니 컵
    • 미니 미글리아 챌린지
  • 클래식 오벌 스톡
    • 주피터 클래식 스톡
  • 페라리 컵
    • 페라리 F430 챌린지
  • 그룹 7 스페셜
    • 포르쉐 917/30
    • 맥라렌 M8D
  • 히스토릭 GT
    • 포드 GT40
    • 페라리 330 P4
  • 케이 카
    • 마쓰다 오토잼 AZ-1 마쓰다스피드[DLC4]
  • 오벌 스톡
    • 주피터 산 마리노 오벌 스톡
  • 빈티지 GT
    • 닛산 300ZX 터보 르 망
  • VW 펀 컵 카
    • 폭스바겐 컵 카

5. 출시 후 평가

전작 그리드(2019)에 비하면 확실히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다. 특히 컨텐츠 볼륨이 크게 개선되어 니드 포 스피드: 히트의 짧은 분량으로 갈 곳을 잃은 아케이드 레이싱 유저층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작품이라는 평.

여담이지만, 차량 조작감이 뭔가 미묘하다.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는 느낌이 아니라 마치 강제로 차량이 드리프트를 시작하는 식의 물리 엔진이 적용된 느낌이다. 엔진음 역시 실내 배기음이 상당히 작은 편이라 이 부분에 대한 불만이 좀 있는 편.
또한 차량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선 특정 거리이상 주행해서 업그레이드를 해제해야되는 시스템도 억지로 플레이타임을 늘린거같다며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의외로 레이싱휠로 플레이 했을때 차량 조작감이 좋은 편이라는 평가가 있다. 특히 포스피드백과 타이어의 접지력 표현이 아케이드 레이싱 치고 상당히 정교하여 생각보다 큰 만족감을 준다고... 다만, 어디까지나 아케이드 레이싱 치고 훌륭한 편이지 본격적인 심레이싱 게임의 휠 감각을 기대한다면 그립을 쉽게 잃어버리는 게임 특성에 실망을 느낄 수 있다.

6. 스토리

6.1. 드라이버 라인업(주요)

  • Driver 22
    소속: 개인 팀 -> Seneca Racing
    주인공. 1인 팀으로 시작한다. 특징으로는 Nathan McKane과 맞먹는 기량과 공격적인 드라이빙이 있다. 주요 전략으로는 상대방의 실수를 유도하는 압박 전략이 있다.
  • Nathan McKane - 성우: 캘럼 맥가원
    소속: Ravenwest Motorsport(2008~2012) -> 은퇴(2013~2019) -> 전작 플레이어의 팀(2019~2020) -> Ravenwest Motorsport(2021)
    Ravenwest Motorsport의 원년 드라이버. 이 드라이버가 복귀하면서 전 챔피언인 Harrison Carter는 2021년에 강제로 은퇴를 하게된다[35]. Grid World Series의 5챔이지만 2008년 같이 데뷔한 플레이어에게 말 그대로 압도당한 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심지어 2019년에는 또다른 플레이어의 세컨드 드라이버가 되는 굴욕을 당했다.[36] 그럼에도, 이걸 견딘 끝에 마침내 복귀했다. 그가 최다 챔피언 횟수를 보유한 걸로 보면 옛 팀메이트인 Rick Scott은 최소 2번의 챔피언을 달성한 뒤 아마추어 리그에서 남은 커리어를 보내는 걸로 추측된다. Harrison Carter는 아무리 많아도 챔피언쉽 횟수가 4회 이하가 되어야 설정오류를 피할 수 있기 때문.
  • Yume Tanaka - 성우: 나츠미 쿠로다
    소속: Performance Venture -> Seneca Racing
    스토리 이전까지 Performance Venture의 드라이버로 활약하다가 Seneca Racing로 이적한 드라이버. 시즌 1에서 플레이어의 팀메이트로 활약한다.
  • Valentin Manzi - 성우: 슈티 가트와
    소속: Voltz Racing
    2020년 Voltz Racing에서 활동을 시작한 르완다계 스코틀랜드 드라이버. 2020년에는 주인공하고, 2021년에는 Nathan McKane과 라이벌 구도를 유지한다.
  • Lara Carvalho - 성우: 니콜 카스티요마브로마티스
    소속: 길거리 레이스의 개인 팀 -> Ravenwest Motorsport
    국적과 그녀 특유의 운전 성향을 감안하면, 그녀의 모티브는 아일톤 세나. 트랙 경주가 그녀의 유일한 자기 표현 방법인 만큼 Ravenwest Motorsport에서의 세턴드 드라이버 생활에 만족하고 있다...당장은.

6.2. Driven to Glory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0. 프롤로그
유형: 스프린트
차종: Beltra Enduro 24 T
목표: 레이스 완료
게임에 접속하면 처음엔 프로토타입 레이스로 시작. 후반부에 Yume Tanaka가 선두를 바짝 쫓아간다. 주인공의 신들린 방어로 Valentin Manzi가 고통받는 와중, Lara Carvalho를 앞선 Yume Tanaka. 그렇게 Nathan McKane(작중 디펜딩 챔피언)과 휠투휠을 벌이던 중 두 대의 선두 차량이 충돌, 차량이 스핀하면서 1998 벨기에 그랑프리를 연상케 하는 대형사고가 일어난다. 사고의 여파로 Yume Tanaka는 크게 다쳤고[37] 주인공 역시 회피 도중에 주인공 차량의 노즈가 파손된다.
차량을 무사히 결승선까지 가져오면 완료이기 때문에 컨트롤 연습을 하는 시간을 가지자.

1. Beginnings
유형: 서킷
차종: Audi RS 3 LMS
목표: Mateo Vega보다 먼저 레이스 완료
사고로부터 16달 전, Marcus Ado에 대한 인터뷰가 나온다. 이 스테이지는 주인공이 작년에 최하위를 기록한 드라이버를 대체하게 된 계기가 된 레이스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바로 앞 순위의 빨간색 스바루 임프레자보다 먼저 결승선에 도착하면 완료.

2. Prove Yourself
유형: 서킷
차량: Beltra Open Wheel
목표: 8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지난번의 레이스 덕분에 Marcus의 주목을 받게된 주인공. 이번에도 순위를 올리면 드라이버 계약에 한 발자국 더 가까워진다.
12위에서 시작하지만 AI들의 어이없는 실수를 잡거나 망가진 차량을 피하면 목표 순위에 금방 들어온다.

3. New Beginnings
유형: 타임 트라이얼
차량: Ginetta G55 GT3
목표: 3바퀴동안 테스트 드라이빙
Marcus는 테스트 드라이버의 끔찍한 기량에 실망하며 주인공을 메인 드라이버 자리에 앉히게 된다. 드디어 Yume Tanaka와 합을 맞추게 된 주인공. 그에 화답하며 차량 문제를 견디고 테스트를 무사히 마친다.

4. Induction
유형: 서킷
차량: Ford Mustang Mach 1 Modified
목표: 10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세미프로 리그에서 첫 레이스를 하게 된 주인공. 차를 박살내지 말라는 Marcus의 신신당부와 함께 시즌을 시작하게 된다. 15위로 시작해서 포인트를 벌은 덕에 해설진은 Marcus Ado가 말한 마지막 한 조각이 주인공일 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추가로 레이스 결과에 따라 Ajeet Singh의 대사가 달라진다. 드라이버 22가 포인트를 획득하면 초반부 치고는 괜찮다고 하지만, 우승하면 Ajeet Singh이 플레이어의 우승을 축하해준다.

5. Into the Fray
유형: 엘리미네이션
차량: 2017 Ford GT
목표: 10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프로 리그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포인트가 절실한 상황. 하지만 순위를 올리다 Yume Tanaka와 근접하게 되면 브레이크 테스트를 하는 등 고의적인 방해를 한다. 옆으로 피하면 해결될 문제이니 무시하고 앞질러가자.

6. Elbows Out
유형: 서킷
차량: Dumont T36 Brawler Sport
목표: Valentin Manzi보다 먼저 레이스 완료
Yume Tanaka의 인터뷰를 마친 뒤 Voltz Racing의 Valentin Manzi와 대결하게 된다.
레이스 트럭을 몰게 되는데, 주의사항이 있다.
- 레이스 라인에 있더라도 점프대는 확실히 피할 수 있다면 절대 타지 말자! 착지 후 차량 안정성은 둘째쳐도 가속할 시간을 빼앗긴다.
- 고속 구간에서 감속 시 브레이크를 나눠 밟아야 한다. 너무 꾹 누르면 락업의 여파로 차가 스핀하는 데다가 5단계 ABS로도 구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타이어가 쉽게 잠기므로 초반부터 브레이크 펌핑을 강제한다.

7. Skill Set
유형: 멀티 클래스 서킷
차량: Ford GT
목표: 7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Valentin Manzi가 적수로 설정됨, 하위 클래스는 클래식 투어링 카로 20초 앞서 출발
Valentin Manzi와 라이벌 관계를 확립한 주인공. 클래식 투어링카를 타고 14초 어드밴티지를 얻는다. 적수 상태일때는 온 힘을 다해 플레이어의 앞에 서려고 하지만 플레이어는 트랙데이 슈퍼카를 타므로 가볍게 앞질러주면 된다.

8. Street Smart
유형: 서킷
차량: Mitsubishi Lancer Evo.VI Time Attack
목표: Valentin Manzi보다 먼저 레이스 완료
조건: Valentin Manzi가 적수로 설정됨
시드니에서의 충돌로 차량이 망가지자 Yume Tanaka가 플레이어를 아마추어라고 하며 못마땅해한다. 이에 Ajeet Singh이 Marcus가 선택하기 전까진 그녀 역시 아마추어였다고 받아치며 다음 레이스가 시작된다.
아무튼 플레이어는 차량 파손으로 인해 맨 뒤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Valentin Manzi도 이전 레이스에서 받은 징계 때문에 맨 뒤에서 출발한다. 견제를 하거나 아예 뒤집을 수 없을 정도로 순위를 올려주면 된다. 이전 경기에 대한 일종의 복수인 셈.

9. Rivalry
유형: 서킷
차량: 2017 Ford GT GTE
목표: Yume Tanaka보다 먼저 레이스 완료
베테랑의 시험. 이전의 사고에 대한 생각 때문에 이 팀에 온 것이 그저 운에 불과한지 아니면 진짜 실력인지 Yume Tanaka가 팀메이트 간 대결로 증명해보려고 한다.

10. Thunder down Under
유형: 서킷
차량: Renault Laguna Touring Car
목표: 5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Yume Tanaka는 플레이어를 인정했고, 다시 Voltz를 추격하기 시작한다. 이전까지와 달리 빗길이기 때문에 핸들링과 관련한 문제가 나오기 쉽다.

11. Onto the Breach
유형: 엘리미네이션
차량: Porsche 911 Carrera RSR 3.0
목표: 8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Yume Tanaka는 타이어 펑쳐로 인해 초반부에 탈락함[38]
재정상태가 매우 어려운 Seneca Racing의 모습. 어느 정도냐면 우승을 못하면 팀 자체가 공중분해될 위기에 놓여있다. 설상가상으로 Yume Tanaka에게 타이어가 빠지는 사고가 터졌기에 팀의 운명을 플레이어에게 걸어야 하는 상황이다.

12. Hi-Voltage
유형: 전기차 서킷
차량: Beltra Icon Mk3
목표: 5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스토리에서 처음으로 포뮬러 E와 유사한 시스템으로 진행하는 경주. 게이트 통과 후 폭발적으로 가속하는 부스트를 3개 얻을 수 있으므로 꼭 게이트를 지나가자.

13. The Main Event
유형: 스프린트
차량: Ford GT GTE
목표: 2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이번 시즌에서 선전하면 프로 리그로 승급할 수 있는 Seneca Racing. 상위권에서 추월할 기회를 엿보면 된다. 여담으로 스프린트이기에 같은 맵을 외우려면 재시작밖에 없다.

14. Bring it on
유형: 타임 트라이얼
차량: Honda NSX-GT
목표: 1랩동안 테스트 드라이빙
드디어 프로 리그로 승급한 Seneca Racing. 만약 챔피언과 견줄 실력을 증명하면 하위권 팀부터 탈락시키는 더 건틀렛에 참가할 수 있게 된다. 5회 월드 챔피언 Nathan McKane을 소개하며 레이스를 시작한다. 이후 테스트 드라이브를 하는 플레이어.

15. The Big League
유형: 서킷
차량: Honda NSX-GT
목표: 10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Nathan McKane이 적수로 설정됨
세미 프로와 프로 리그는 천지차이라는 Lara Carvalho의 한 마디로 스테이지를 시작한다. 17등에서 시작하지만 아직 스토리 중반부이기 때문에 추월쇼 후 선두로 경기를 마쳐 2005년 일본 GP를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담으로 Nathan McKane은 다른 AI 드라이버와 달리 미하엘 슈마허를 떠올릴 정도로 극단적으로 공격적인 듀얼을 펼치는데, 특히 트랙 밖으로 밀치거나 플레이어를 뒤에서 찔러 벽에 정면으로 박아 리타이어를 하게하는 등 상대하다보면 쌍욕이 안나올 수가 없다. 게다가 매우 경미한 충돌로도 적수로 돌변하는 탓에 무려 시리즈 최초로 비매너 행위를 밥먹듯이 하는 인공지능이 되었다.-사실 옆동네에 비하면 아기 양보다 여리다-

16. Pickup the Pace
유형: 서킷
차량: Dumont T36 Brawler Sport
목표: 7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Nathan McKane은 적수로 설정됨
Ryan McKane의 인터뷰에서 보듯이 돈이 차고 넘치는 Ravenwest Motorsport는 이것을 강점으로 하여 챔피언 자리를 지켜왔다. 다른 팀에 비해서 차량이 빠른 이유도 동일.
레이스로 돌아가서, 역시 점프대가 있는데 AI 드라이버들은 이걸 무조건 지나가니 이전 스테이지에서 호되게 당한 드라이버들은 점프대를 피해주면서 최상위권 듀오를 탈탈 털어버리자.

17. Superficial Damage
유형: 멀티 클래스 서킷
차량: Ford Shelby GT500
목표: 8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Nathan McKane은 적수로 설정됨, 하위 클래스는 26초 전에 스톡 트럭으로 출발
CodeMasters 특유의 밸런스 조절 실패가 극단적으로 드러나는 스테이지. 하지만 하위 클래스인 프로 트럭이 운동성능이 낮으므로[39] 신형 머슬카로는 쉽게 추월할 수 있다. 선두가 너무 멀리 떨어지는 것과 별개로, Legend난이도를 상대로도 3위를 할 수 있다. 상대방에게 죽음의 이지선다를 강제할 수 있는, 드라이버 22의 특권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
여담으로, 차이가 말도 안되게 벌어졌기 때문에 적수 상태가 랩 3에서 해제된다.

18. Chasing Nate
유형: 타임 트라이얼
차량: Lotus Elise GT1
목표: 3랩동안 테스트 드라이빙
Ravenwest Motorsport는 돈으로 밀어붙여 일전에 Seneca Racing에 데뷔하려던 Lara Carvalho에게 세컨드 드라이버 자리를 2배의 연봉을 제시하면서 뺏어왔었다.-Rick Scott 의문의 실직자 엔딩.- -만약에 거절했으면 플레이어가 팀메이트로 들어와 Ravenwest Motorsport에서의 내분이 배경으로 나왔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현 시즌 Seneca Racing이 절대 도달할 수 없는 영역까지 차 성능을 끌어올렸다.
아무튼 플레이어가 타임 트라이얼을 수행할 동안 팀원들이 다같이 차량을 분석한다. 아래는 라디오 무전을 기반으로 각색한 대본.
* 플레이어: 올해는 너무 힘든 시즌이야. 변속 타이밍은 상대 쪽이 엉망인데 직빨은 내 차가 밀리고, 핸들링은 정말 아슬아슬한 영역까지 밀어붙여도 Ravenwest의 크루징 모드조차 따라갈 수 없어.
* Ajeet Singh: 텔레메트리를 분석한 결과 그는 직선에서 확실히 타 팀을 압도했어. 마력을 금지된 범위까지 올렸을 거야.
* Yume Tanaka: Nate의 페이스는 그렇게 좋지 못하니 근접까지는 충분히 가능할 거야.[40]
* Ajeet Singh: 만약 그가 선두를 잡는다면 뒤집을 기회가 영영 없을 것이니 어떠한 일이 생겨도 차를 밀어붙여야 해.
* 플레이어: 확실히 그가 헌납한 선두를 지킨 것도 힘들었어. 하지만 무엇보다, 첫번째 랩에서의 핸들링 실수 딱 한 번 때문에 레이스가 끝날 때까지 슬링샷 시도마저 못했어.
* Yume Tanaka: 그의 차에 1개의 기어가 더 있다면 그의 압도적인 기록은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 거야.
* Marcus Ado: 그 팀은 어쩌면 챔피언쉽에서 허용하지 않는 부품을 사용했을 거야. 이 팀이 2008년의 그것처럼 불법 튜닝을 한 것이지.
* Ajeet Singh: 반면 Lara Carvalho의 차량은 팀메이트에 비하면 확실히 느려. 빠르긴 해도 충분히 잡을 수 있을 거야. 그리고 McKane의 차량은 더 높은 속도에서도 트랙션을 유지했어. 만약 보통 팀이 저 속도로 달린다면 트랙 밖으로 튕겨지거나 스핀하겠지.
-물론 주인공이 AI 난이도에 비해 너무 빠르면 1위 탈환도 쉽지만- 일단 Nathan McKane을 추격하려면 차량의 성능을 완주가 가능한 선에서 남김없이 짜내야한다는 결론을 도출해낸다.

19. TKO
유형: 엘리미네이션
차량: Dumont T37 Wolf
목표: 5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Nathan McKane은 적수로 설정됨
지난번의 분석이 도움이 되었는지 플레이어는 바르셀로나에서 바로 3등을 했고, 심지어 이후의 2개 레이스에서는 더블 포디움을 이루는 등 컨스트럭터 7위에서 4위로 올라갔다.
역시 이번 레이스에서 5위로 마무리해 Ravenwest를 추격해야한다. 중위권 출발이지만, 추월하다보면 1등 자리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플레이어의 모습이 보인다.

20. Lightning Bolt
유형: 일레트릭 서킷
차량: Lotus Evija
목표: 5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Nathan McKane은 적수로 설정됨
턴 1에서 무리해서 추월을 시도하면 충돌로 스핀, 최후미까지 떨어져 목표 달성이 힘들다. 따라서 게이트 부스트를 통해 직선로에서 슬링샷으로 치고나가는 추월기술이 필요하다.

21. Chemistry 101
유형: 서킷
차량: Brabham BT62
목표: 4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Nathan McKane은 적수로 설정됨
Yume Tanaka가 1위로 미친듯이 치고 올라온다. 게다가 Nathan McKane의 폼이 바닥을 쳤는지 턴 4 이후로 제 속도를 내지 못한다.[41]

22. The Perfect Recipe
유형: 타임어택
차량: Ford GT40
목표: 4번째로 가장 빠른 랩타임을 기록[42]
조건: Nathan McKane은 적수로 설정됨
Ryan McKane이 인터뷰에서 Seneca Racing의 급부상에 대해 그저 운이였다고 설명, 오히려 3번째 드라이버의 부재를 지적하면서 아무것도 없는 살얼음 위에 선 상황이라고 했다. 아무튼 타임어택 이벤트이다보니 최대한 빠른 기록을 내면 완료. 레드존 영역이 낮은 편이지만 7000rpm에서 변속을 하면 쓸데없는 기어 조작이 필요없게 되고, 심지어 트랙 제한이 벽이므로 오프트랙으로 인해 힘들게 새운 신기록이 퇴짜맞는 대참사는 없다. 반대로 말하면 다른 차량이 사고가 났을때 피할 공간이 거의 없다.
주의사항
- 랩 2에서 Valentin Manzi의 차량에 펑쳐가 발생한다.[43] 그를 피하지 못하여 재수없게 적수로 설정되면 후반부에서 플레이어를 방해할 확률이 높다.
- 마지막 랩에서 랩타임 1위를 가지지 못한 것이 확정되면 마지막 턴의 바깥쪽에서 대기하다가 Nathan McKane이 완주 후 다시 오길 기다린다. 그리고 기다리다가 다시 앞지름에도 AI가 갱신을 못하면 순위 확정.[44]
당연히 해당 사고에 대해 Manzi가 따지러 갔지만[45] 돌아오는 대답은 "너만 다치는 거겠지"였고, 몸싸움 직전 가게 되었다. 이를 본 양쪽 팀원들의 빠른 제압 덕분에 더 이상의 불미스러운 일은 없었다.

23. Cry Havoc
유형: 엘리미네이션
차량: Ariel Atom 3.5
목표: 4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Nathan McKane이 적수로 설정됨
Marcus Ado의 말에 따르면 Nathan McKane은 초반부처럼 압도적인 폼을 보이지 못하고 있고, 실제로 팀메이트와 Yume Tanaka의 추격을 받는다. 하지만 잘못 걸리면 오픈 휠러 특성상 둘 다 트랙 밖으로 튕겨져나가므로 조심하자.

24. Headhunters
유형: 스프린트
차량: Beltra Enduro 24 T
목표: 3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즉 포디움 달성
조건: Nathan McKane이 적수로 설정됨
스프린트 업힐이므로 가속에 1칸 투자해야 한다. 그리고 헤어핀에서 드리프트를 하다가 차가 휙 돌아버리는 대참사도 많이 발생하니 핸들링에 신경쓰면서 주행하자.

25. Catch my drift?
유형: 드리프트
차량: Nissan 370Z Drift
목표: 이벤트 완료
다시 프롤로그의 사고 이후 시점. Yume Tanaka가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후송, 결국 다리 하나를 무릎 부분까지 잘라내는 수술을 하게 된다.[46] 게다가 Ajeet Singh까지 액티브 서스펜션 설계오류 때문에 친구를 다치게 했다는 압박에 의해 사직서까지 제출한 상황. 하지만 마커스 아도는 기적을 만들지 못하면 짤리는 데다가 팀 구조까지 처음부터 갈아엎는다.[47] 그래서 아직 건틀렛에 생존할 수 있다며 출전할 수 있는 플레이어에게 완벽한 선전을 기대한다.
1달 후 출전한 드리프트 이벤트에서의 뉴스에 의하면 Yume Tanaka의 회복이 빠르게 진행되고있다. 그리고 해설진은 최근의 사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프로 리그에서 챔피언쉽 경쟁을 하는 Seneca Racing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트랙 제한과 장애물만 조심하면서 드리프트를 하면 전설 난이도로 해도 쉽게 이긴다. 트랙에 혼자 있고 제한시간도 없기 때문에 부담갖지 말고 달리자.

26. Trafalgar square off
유형: 서킷
차량: Ford Mustang Shelby GT500
목표: 7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Yume Tanaka가 참가하지 않음
사고로부터 6주 후, 예정대로 플레이어 혼자 Seneca Racing을 위해 참가한다. 몇 달동안, 최악의 경우 시즌 내내 팀을 혼자서 지켜야 하는 암울한 상황. "팀원의 도움 없이 7위 달성"은 쉬워보이지만 출발 위치가 14등인 걸 감안하면 나름 어려운 레이스이다. 다음 레이스부터 팀 순위가 추락할 것이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하라는 Marcus Ado의 격려는 덤.
여담으로 플레이어 혼자 참가할 때에는 Seneca Racing의 건틀렛 탈락을 확신했는지 Nathan McKane이 적수로 설정되지 않고, Valentin Manzi가 차량 스탯배분 우위를 이용해서 선두권을 노린다.

27. Hanging on
유형: 엘리미네이션
차량: BMW M1 Turbo Group 5
목표: 6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Yume Tanaka가 참가하지 않음
출발 위치는 8위로 목표 근처이다. 하지만 한 순간의 실수가 차량을 고철덩어리로 만들 수 있는 구간이 직선마다 있고, 편안한 고속 주행을 위해선 차량 셋업을 강제로 "0/+2/+2/+2/0"에 맞춰야 한다. 추월을 잘하여 1등을 유지하면 막판에 Ravenwest 차량 2대를 한 번에 탈락시킬 수 있다.

28. Dig Deep
유형: 서킷
차량: Dumont T36 Brawler Sport
목표: 6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Yume Tanaka가 참가하지 않음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최하위 팀을 시즌 내내 탈락시키는 더 건틀렛 1라운드가 시작되었다. Nathan McKane은 Seneca Racing이 끝장났다고 확신하지만, 반면 해설진들은 시즌의 흥행을 위해서라도 일말의 기적을 바라고 있다. 역시 점프대를 타면 가속할 시간을 빼앗기는 이벤트이므로 플레이어가 유리하다.

29. Razor's Edge
유형: 서킷
차량: Jupiter San Marino Oval Stock
목표: 4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Yume Tanaka가 참가하지 않음
더 건틀렛에서 어떻게 간신히 살아남았지만 Yume Tanaka의 부재로 8위까지 추락한 Seneca Racing. 좌회전만 있어서 쉬워보일 수 있겠지만, 한번 실수하면 재도전이 필수이므로 중위권에서부터 무결점으로 추월쇼를 벌이는 플레이를 강요받는다. 슬링샷 역시 필수.

30. Road to Nowhere
유형: 일레트릭
차량: Beltra Icon Mk3
목표: 4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Yume Tanaka가 참가하지 않음
건틀렛에서 살아남기 위해 목표 등수에 도달해야한다. 출발 위치는 7위지만 게이트 부스트를 이용한 추월쇼를 벌이면 1등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스토리상 당장의 목표인 Kowloon Dragons는 한 대의 차량에 전기 모터가 고장나는 희대의 억까를 당하므로 남은 건 플레이어가 12점 이상을 득점하는 지 여부에 달려있다.[48]
해당 레이스에서 Kowloon Dragons가 점수차이로 인해, 이후 벌어들이는 포인트 양과 관계없이 탈락이 확정되었다. 그럼에도 이대로 플레이어 혼자 참가한다면 Seneca Racing의 탈락은 시간문제겠지만...

31. Back in the Fight
유형: 타임어택
차량: Koenigsegg Agera RS
목표: 3랩동안 테스트 드라이빙[49]
플레이어가 가망이 없는 외로운 싸움을 하던 와중 Yume Tanaka가 복귀했다. 의족을 달고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걸 이겨내고 팀원들에게 모습을 보인 것. 그녀는 복귀 후 적응을 위해 플레이어와 연습 주행을 한다.

32. Tag Team
유형: 멀티 클래스 서킷
차량: DMG Colossus
목표: 5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조건: 클래식 Mini Cooper 차량들은 10초 전에 출발
건틀렛 예선 2회차 전 미디어 프레스 인터뷰에서 Ravemwest가 지난 5년동안 그랬던 것처럼 월드 챔피언 타이틀도 얻을 것이라 하는 Ryan McKane의 인터뷰를 뒤로하고 레이스가 시작된다. 세미 트랙터들이 오히려 상위 클래스로 배정되어 경차를 잡지 못하는 부조리처럼 보이겠지만 하위 클래스 차량들은 출력과 핸들링이 매우 답답하므로 앞지를 때 휠투휠 상황을 만들고 브레이크로 이점을 보거나 아예 출력으로 밀어붙이는 방법을 추천한다.[50]

33. Yume Proceed
유형: 엘리미네이션
차량: Aston Martin Valkyrie AMR Pro Concept
목표: 5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하위권에서 시작하는데다 제한시간도 2분 줄었다. 그래서 상위권까지 추월을 매우 빠른 시간 안에 해내야한다.

34. No Pressure
유형: 서킷
차량: Jupiter San Marino Oval Track
목표: 4위 이내로 완레이스 완료
건틀렛 예선 통과까지 남은 순위는 단 1개! 게다가 서로 견제하느라 점수 격차가 줄어들었다.
직선성능이 모든 걸 결정짓는 Indianapolis 타원 서킷에서 Ravenwest가 날아다니기 때문에 애초에 이 둘을 보내주거나, 그동안 당한 것 때문에 화났다면 스토리를 진행하면서 익힌 방어 기술로 괴롭혀주자.

35. All or Nothing
유형: 스프린트
차량: Mitsubishi Lancer Evo.IX Time Attack
목표: 2위 이내로 레이스 완료
하필이면 그 많은 타임어택 차량들 중에서 랜서 에볼루션을 사용한다(...)[51] 아무튼 고갯길 스프린트이므로 뒷바퀴 접지력을 잃기 쉽다. 코너가 많으니 Nathan McKane을 상대할 땐 브레이크 대결이나 라인 우위를 통해서 앞질러보자. 헤어핀이나 180도 코너에서 효과적이다.
이번 레이스를 성공적으로 마치면 건틀렛에 처음 들어온 Voltz와 Seneca, 그리고 5회 월드 챔피언 Ravenwest의 대결에 주목한다.[52]

36. This is it
유형: 서킷
차량: Beltra Enduro 24 T
목표: 우승 또는 "Yume Tanaka를 제외한 모든 드라이버들보다 먼저 레이스 완료"[53]
조건: Ryan McKane이 Lara Carvalho를 대체, Ravenwest의 드리이버 2명이 적수로 설정됨
최종 라운드 시작 전, Lara Carvalho가 Ajeet Singh과 접촉하기 위해 Seneca Racing의 차고에 들어온다. 처음엔 셀카를 보여주는 줄 알았던 Singh이였지만 Lara가 보여준 다른 무언가는 그의 예상을 아득히 뛰어넘은 것으로 보인다.[54] 이후 Marcus가 Ryan에게 규정 위반 행위와 더불어 불필요하게 Nate만 지원한 것을 지적하자 Ryan McKane은 오히려 팀을 배신했다며 Lara를 질책한다. 그러나 Lara의 입장에선 어차피 이 팀에 남는다면 2등 이외에는 선택지가 없으니 팀에서 나가게 된다.[55]
Seneca Racing이 Yume Tanaka의 부재 때문에 나락으로 갈 뻔한 것을 알은 Ryan McKane은, 이번엔 Marcus Ado가 Lara Carvalho를 팀에서 이탈하게 한 것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Ryan McKane은 "네놈이 더러운 계략을 부릴 것을 알았어"라고 했다. 당연히 본인이 차량을 운전해서라도 챔피언 자리를 더욱 넘기지 않겠다고 했다.
하지만 Marcus Ado는, Lara의 이탈과 관계없이, Ryan McKane의 참가가 오히려 자신이 바라던 바였다고 한다. 그리고는 "플레이어와 Yume Tanaka가 너희들을 진정으로 이기고 싶다고 했어. 그래서 아직 이 불법행위를 신고하지 않은 거야"라고 하며 팀 차고지로 간다.
2008년 당시 최종장소로 라 샤르트 서킷이 있었다면 이 게임의 결승전 장소는 스트라다 알피나 외곽서킷. 턴 1과 사고가 났던 그 시케인에서 가능한 플레이어만의 기술을 이용하면 압도적인 성능차이에도 불구 랩 2에서 추월할 수 있다.

[1] PS4 Pro 대응.[2] Xbox One X 대응.[3] 국내에서는 갤럭시 S23 시리즈, Z 플립/폴드 5 시리즈, 갤럭시 탭 S9 시리즈가 포함된다.[4] 국내에서는 갤럭시 S24 시리즈, Z 플립/폴드 6 시리즈와 스페셜 에디션이 포함된다.[5] 국내에서는 갤럭시 S25 시리즈에 탑재 예정이다. 또한 원래대로라면 하반기에 나올 갤럭시 탭 S11(가칭)에도 탑재될 것으로 추측하겠으나, 탭 S10이 디멘시티를 달고 나옴에 따라 불확실해졌다.[DLC1] Seneca & Ravenwest Double Pack(프리-오더 컨텐츠)에 포함된 차량[DLC2] Voltz Legends Pack(디럭스 에디션 독점)에 포함된 차량[DLC3] Valentin's Classic Car-Nage 팩에 포함된 차량[DLC4] Enduring Spirit에 포함된 차량[DLC5] Rise Of Ravenwest에 포함된 차량[DLC6] Winter Bash에 포함된 차량[DLC5] [DLC2] [DLC6] [DLC5] [DLC5] [DLC5] [DLC2] [19] 원비아(Onevia: 닛산 실비아 S13의 변종 중 하나로, 180SX의 전면부와 Silvia S13의 후면부를 합체한 모델) 베이스 차량[DLC4] [DLC1] [DLC1] [DLC4] [DLC4] [DLC1] [DLC6] [DLC6] [DLC1] [DLC3] [DLC3] [DLC3] [DLC3] [DLC3] [DLC4] [35] Grid 2의 최종보스이자 Grid 2019에선 챔피언이였던 드라이버가 갑자기 해고당한 셈.[36] 2019년 Harrison Carter와 Rick Scott을 꺾은, 전작의 플레이어가 챔피언 자리 수비를 위해 그를 고용한 것이다.[37] 엔지니어 Ajeet Singh의 말에 의하면 사고가 난 시점부터 응답이 없다고 한다.[38] 설명상 타이어가 분리되었으나 타이어 펑쳐로 구현된 듯하다. 주행 불가 상태는 동일하다.[39] 공기역학은 프로 머슬카 역시 영 좋지 못하나, 프로 트럭에겐 더욱 치명적이다. 무엇보다 스톡카 계열은 직선성능만 좋고 핸들링은 승용차의 그것이기 때문에, 코너가 많은 시카고 트랙에서 불리하다.[40] 즉 플레이어가 공격적인 대결을 선호하면 휠투휠에서 우위를 점할 수도 있다.[41] Ravenwest Motorsport의 트랙데이 GT 차량은 Mazda Furai로, 포뮬러 원을 넘보는 핸들링을 대가로 매우 답없는 직선성능을 보유한 차량이다. 다른 차량들이 350kph를 밥 먹듯이 찍는 데 비해 Mazda Furai만 최속에 2칸 밀어도 344kph에서 탑아웃이 걸릴 정도. 커리어도 그렇고 스토리 내내 트랙데이 GT의 서킷들이 직선성능을 중시하는 트랙인 걸 생각하면 어떻게 여기서도 1등을 유지했는 지 의문.[42] 38초대를 세우면 목표 완료를 확정할 수 있다.[43] Nathan McKane과 조우하게 되는데 Nate가 또 상대 차량을 밀치다가 생긴 사고이다. 그래도 주인공이 1랩을 도는 동안 최고기록을 세웠는지, 플레이어가 38초 미만으로 갱신하지 못하면 Valentin Manzi가 -글리치를 이용해서- 1위 자리를 유지한다.[44] 만약 38초 미만으로 세웠다면 그냥 완주하자.[45] 미디어 프레스에서 자신에 대한 트래쉬 토크를 하는 건 몇 번이고 웃어넘길 수 있지만 이런 식으로 순위를 지키는 건 다른 드라이버를 크게 다치게 할 수 있으므로 멈춰야 한다고 했다. 2000년 벨기에 GP 당시 미하엘 슈마허미카 해키넨을 방어하기 위해 Kemmel Straight에서 잔디 구역으로 밀쳤고, 이후 대형사고를 일으킬 수도 있다며 미카에게 경고받았다. 이것을 참고한 것으로 추정.[46] 이게 플레이어 입장에선 지옥 난이도나 다름없는게 2명이어도 힘든 건틀렛 생존을 혼자서 해야하는 상황이 펼쳐지니 역대급 악재이다.[47] 즉 Ajeet Singh과 팀을 프로 리그에 올린 두 드라이버 등 모든 팀원이 해고된다.[48] 만약 이런 불행이 없었을 경우 주인공은 이 레이스에서 무려 1등을 해야 했다. 드라이버 22를 조종하는 플레이어의 실력을 감안하면 충분히 가능하겠지만, 스토리상으로는 당장 불가능한 목표.[49] Yume Tanaka는 아직 적응 단계에 있다는 것을 반영하여, 플레이어가 1분 16초 미만을 세우면 뒤집지 못한다.[50] 충돌을 통해 억지로 앞지르는 방법은 불필요하게 적수를 만들기에 추천하지 않는다.[51] 타임어택 차량들 중에서 혼다 CRX은 성능이 최악이고, 랜서 에볼루션 9가 두 번째로 느리다. 그렇다고 다른 걸 타자니 닛산 실비아는 리어 윙이 3인칭 카메라를 크게 가리고, 아우디 R8 역시 직선성능만큼은 압도적이지만 핸들링이 F14 T를 W11으로 만들 정도로 쓰레기이다.[52] 프로 리그로 승급한 것도 같은데, 건틀렛 예선에서도 같이 생존한다.[53] 1등이 플레이어냐 Yume Tanaka냐에 따라 엔딩이 갈린다. 우승 후 엔딩 크레딧을 보면 전자는 진엔딩, 후자는 히든엔딩으로 추정.[54] 다음 대화를 들어보면, Ravenwest Motorsport 역시 자본력을 강점으로 하고 있었음에도 심각한 적자 때문에 챔피언 자리를 얻어야 하며 또 챔피언 자리를 지키기 위해 적자를 내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해 Nathan McKane, 그 이전엔 Harrison Carter의 차량에 업그레이드를 집중해서 적용했고 이것이 같은 Ravenwest 차량 사이에서도 성능 차이를 만들었다. 에피소드 18에서 언급한 Seneca Racing 팀원의 직감이 적중한 셈.[55] 포스트시즌 인터뷰에서 밝히길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