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07:20:09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국수산맥에서 넘어옴
파일:baduk_test3.png 주요 국제 바둑 기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 종합 기전
(상금순)
응씨배 · 몽백합배 · 란커배 · 북해신역배 · 삼성화재배 · LG배 · 난양배 · 춘란배
제한 기전 국수산맥배 · 최고 기사 결정전
단체전 농심신라면배 · 농심백산수배
여자 기전 센코배 · 오청원배 · 황룡사배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
파일:baduk_test3.png 한국의 주요 바둑 기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종합 기전 GS칼텍스배 · 명인전 · 최고 기사 결정전 · 한국기원 선수권전 · 백암배
제한 기전 맥심커피배 · 지지옥션배 · 대주배 · 국수산맥배 · 하나은행배
신인 기전 미래의 별 · 하찬석국수배 · 크라운해태배 · 이붕배
여자 기전 여자기성전 · 여자국수전 · IBK기업은행배 ·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 난설헌배
리그전 바둑리그 · 챌린지리그 · 여자바둑리그 · 레전드리그 · 시니어 vs 여자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30><table bordercolor=#fff><colbgcolor=#fff> 파일:국수산맥 엠블럼.png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國手山脈 國際圍棋大會
}}}
주관 재단법인 한국기원, 전라남도 바둑협회
주최 한국기원
후원 전라남도, 강진군, 영암군, 신안군, 전라남도교육청
상금 세계프로최강전 우승 1억원, 준우승 4천만원
대회 방식 셰계프로최강전 16강 토너먼트, 결승 단판
대국 규정 제한시간 각자 30분, 40초 초읽기 3회
계가 한국룰 덤 6.5집
최근
우승자
셰계프로최강전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八단 (제10회 대회)
국내프로토너먼트 이원영 九단 (제8회 대회)

1. 개요2.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에서 주최하는 바둑 기전. 강진군 출신의 김인, 영암군 출신의 조훈현, 신안군 출신의 이세돌 등 전남 지역 태생의 유명 바둑 기사들을 기리며 열린다.[1] 세계 대회와 국내 대회로 나뉘어 열린다.

==# 제5회 대회 #==
- 기간: 2018년 7월 28일 ~ 30일

===# 세계 프로 개인전 #===
- 우승 상금: 5000만원 / 준우승 1500만원
- 제한 시간: 30분 + 초읽기 40초 3회

한국: 박정환 / 김지석 / 신진서 / 이세돌 / 박영훈 / 나현 / 강동윤 / 원성진
중국: 양딩신 / 판인 / 랴오위안허
일본: 이야마 유타 / 이치리키 료 / 유키 사토시
대만: 왕위안쥔 / 린쥔옌

중국의 최강자들은 대부분 참가하지 않는다. 백령배 직후 일정이라 빠듯하기도 하고, 상금 규모 때문일 수도...

====# 16강전 #====
7월 28일 10:30~ (강진)

박정환 vs 이치리키 료 => 흑 불계승
나현 vs 양딩신 => 흑 불계승
원성진 vs 랴오위안허 => 백 불계승
강동윤 vs 이야마 유타 => 흑 불계승
박영훈 vs 왕위안쥔 => 백 불계승
이세돌 vs 판인 => 백 시간승(...)
김지석 vs 린쥔옌 => 흑 불계승
신진서 vs 유키 사토시 => 백 불계승

중국은 전원 생존. 일본은 전원 탈락... 한국과 대만은 절반이 남았다.

====# 8강전 #====
7월 28일 15시~ (강진)

박정환 vs 양딩신 => 백 1.5집 승
강동윤 vs 랴오위안허 => 백 불계승
신진서 vs 김지석 => 흑 불계승
판인 vs 왕위안쥔 => 백 불계승

====# 4강전 #====
7월 29일 15시~ (영암)

박정환 vs 랴오위안허 => 흑 불계승
김지석 vs 왕위안쥔 => 흑 0.5집 승

====# 결승전 #====
7월 30일 14시~ (신안)

박정환 vs 왕위안쥔 => 백 5.5집 승

===# 남녀 Pair #===
- 우승 상금: 2000만원 / 준우승 1000만원

- 4강 대진

이창호 & 루민취안 vs 다카오 신지 & 오유진 => 이&루 승리
린즈한 & 셰이민 vs 왕레이 & 헤이자자 => 왕&헤이 승리

- 결승 대진

이창호&루민취안 vs 왕레이&헤이자자
=> 이창호&루민취안 우승

===# 국내 프로 #===
- 우승 상금: 2500만원 / 준우승 1000만원

- 세계 부문에 나간 선수를 제외한 한국 기사 32명이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가린다.(표 내 선수 대진 중 승자는 볼드체)
라운드 구분 선수 선수 비고
32강 안성준 설현준
윤준상 이원영
박건호 김승재
박상진 안형준
변상일 신민준
한승주 조인선
박하민 허영호
김희수 박민규
이동훈 김원빈
이현호 이지현男
박재근 최정
강훈小 조한승
최철한 이영구
박진솔 윤찬희
이창석 김기범
김명훈 송태곤
16강 안성준 윤준상
박건호 안형준
변상일 조인선
박하민 박민규
이동훈 이지현
박재근 조한승
이영구 박진솔
김기범 김명훈
8강 윤준상 안형준
변상일 박민규
이지현 조한승
이영구 김명훈
준결 윤준상 변상일
이지현 이영구

- 결승: 변상일 vs 이지현 => 이지현 우승

==# 제6회 대회 #==
*기간: 2019년 8월 3일 ~ 5일

===# 세계 프로 개인전 #===
- 우승 상금: 5000만원
- 제한 시간: 30분 + 초읽기 40초 3회
  • 한국: 박정환 / 신진서 / 김지석(랭킹 시드) / 변상일 / 이지현(상비군 시드) / 신민준 / 이동훈(선발전 통과) / 이창호 (와일드카드)
  • 중국: 판팅위 / 천야오예 / 랴오위안허
  • 일본: 이야마 유타 / 무라카와 다이스케 / 야마시타 게이고
  • 대만: 쉬하오훙 / 왕위안쥔

16강(8월 3일 / 신안) 이동훈 판팅위
이지현(남) 랴오위안허
신민준 왕위안쥔
변상일 이야마 유타
신진서 쉬하오훙
김지석 무라카와 다이스케
이창호 천야오예
박정환 야마시타 게이고
8강(8월 4일 오전 / 영암) 이동훈 랴오위안허
신민준 변상일
신진서 김지석
천야오예 야마시타 게이고
준결승(8월 4일 오후 / 영암) 변상일 랴오위안허
신진서 천야오예
결승(8월 5일 / 강진) 랴오위안허 - 천야오예[2]

===# 국내 프로 개인전 #===
  • 출전자 32명
    • 시드: 박영훈 / 강동윤 / 안성준 / 나현
    • 예선 통과: (단수 순으로 나열)김창훈, 강지훈, 김상천(이상 초단) / 김창훈, 문유빈, 현유빈, 최광호(이상 2단) / 박진영, 최영찬(이상 3단) / 강창배, 송지훈, 송규상, 오정아(이상 4단) / 송지훈, 한승주, 이창석(이상 5단) / 오유진(6단) / 김명훈, 이원도(이상 7단) / 이원영, 김승재, 김형우(이상 8단) / 안조영, 최철한, 조한승, 윤준상, 허영호, 박진솔, 이영구(이상 9단)
    • 후원사 지명: 최정

이 대회를 통한 승단자도 생겼다. 예선통과자 중 취소선 표시한 경우는 종전 단수.

우승: 박영훈 9단
준우승: 한승주 5단
3위: 강동윤 9단/오정아 4단[3]

===# 세계 남녀페어 #===
1. 4강
  • 위빈·가오싱 - 야마다 기미오·츠지 하나 // 179수 흑 불계승
  • 왕리청·위리쥔 - 유창혁·허서현 // 145수 흑 불계승
2. 결승 / 3,4위전
  • 결승: 위빈·가오싱 - 왕리청·위리쥔 // 176수 백 시간승
  • 3,4위전: 유창혁·허서현 - 야마다 기미오·츠지 하나 // 145수 흑 불계승

===# 이야깃거리 #===
국내 부문 우승 시 종합 기전의 기준으로 2단 승단을 하는데, 많은 한국 상위권 기사들이 같은 대회 세계 부문에 출전해... 적정성에 대해 의문도 드는 편.
류수항이 6월 26일 1회전에서 박재근 3단에게 승리하여 승단점수 4점을 보탠 160점으로 6단[4]에 승단했고, 송지훈 역시 같은 라운드에서 송태곤 9단에게 승리해 140점으로 5단에 승단했다.5단 별칭 생략한 건 함정 그외의 승단자들(김창훈[5], 김지명, 김민석)도 1단씩 승단해 약우若愚[6]에 승단했다.

==# 제7회 대회 #==
* 기간: 2021년 12월 10일 ~ 12일
* 장소: 신안 (세계 부문) / 영암 (국내 부문)

===# 세계 프로 개인전 #===
- 우승 상금: 5000만원
- 제한 시간: 30분 + 초읽기 40초 3회
  • 한국: 신진서 / 박정환 / 신민준 / 변상일 / 김명훈(이상 시드) / 원성진(이창석 상대 흑 불계승) / 최철한(강동윤 상대 흑 불계승, 이상 선발전 통과) / 최정
  • 중국: 판팅위 / 쉬자양 / 황윈쑹
  • 일본: 야마시타 게이고 / 고노 린 / 쉬자위안
  • 대만: 쉬하오훙 / 왕위안쥔

- 16강전 (12월 10일)

김명훈 vs 쉬자위안: 백 불계승
신민준 vs 황윈쑹(바둑TV 중계): 흑 불계승
최철한 vs 판팅위: 흑 불계승
변상일 vs 고노 린: 백 불계승
원성진 vs 쉬자양: 백 불계승
박정환 vs 쉬하오훙(K바둑 중계): 백 불계승
신진서 vs 왕위안쥔(바둑TV 메인중계): 흑 8.5집 승
최정 vs 야마시타 게이고(동시 중계): 흑 1.5집 승

- 8강전 (12월 10일)

쉬자위안 vs 황윈쑹: 흑 불계승
판팅위 vs 변상일(동시중계 및 바둑TV 메인중계): 흑 10.5집 승
쉬자양 vs 쉬하오훙: 백 불계승
신진서 vs 야마시타 게이고(동시중계): 백 불계승

- 4강전 (12월 11일 / 동시중계 및 바둑TV 메인중계)

오전 / 쉬자위안 vs 변상일: 흑 불계승
오후 / 쉬자양 vs 신진서: 백 불계승

- 결승 (12월 12일 오후): 변상일 vs 신진서: 흑 불계승 (변상일 우승)

===# 국내 프로 개인전 #===
* 출전자 16명
  • 박영훈 / 안성준 / 이창석 / 한승주 / 김진휘 / 이지현 (남) / 박하민 / 설현준 / 김정현 / 심재익 / 안정기 / 이원도 / 백현우 / 강지훈 / 한우진 / 송규상

- 16강전 (12월 10일)

안성준 vs 이원도
설현준 vs 박하민
이지현 vs 김진휘
한우진 vs 김정현
한승주 vs 박영훈(바둑TV 중계)
안정기 vs 송규상
이창석 vs 백현우
심재익 vs 강지훈

- 8강전 (12월 10일)

안성준 vs 박하민(바둑TV 중계)
김진휘 vs 김정현
박영훈 vs 안정기
백현우 vs 강지훈

- 4강전 (12월 11일 - 바둑TV 중계)
오전 / 안성준 vs 김정현
오후 / 박영훈 vs 강지훈

- 결승 (12월 12일 오전): 안성준 vs 박영훈
박영훈 백 불계승으로 우승

==# 제8회 대회 #==
* 기간: 2022년 8월 12일 ~ 15일
* 장소: 전남 영암 (세계 부문) / 전남 신안 (국내 부문)

===# 세계 프로 개인전 #===
- 우승 상금: 7500만원(이전 대회 대비 +2500만원)
- 제한 시간: 제한시간 각자 30분, 40초 초읽기 5회
  • 한국: 신진서 / 박정환 / 신민준 / 변상일 / 김명훈(이상 시드) / 김지석 / 원성진(이상 선발전 통과(해당 선발전 대진표(모바일웹))) / 강동윤 (와일드 카드)
  • 중국: 미위팅 / 딩하오 / 자오천위
  • 일본: 이치리키 료 / 이야마 유타 / 쉬자위안
  • 대만: 왕위안쥔 / 라이쥔푸
제8회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 셰계프로최강전
일정 대국 대진 결과
8/13
10:00
16강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62수 백 불계승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석 269수 흑 반집승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천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229수 흑 불계승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141수 흑 불계승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139수 흑 불계승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왕위안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214수 백 불계승
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55수 흑 뷸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24수 백 불계승
8/13
14:00
8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석 15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천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220수 백 시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245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156수 백 불계승
8/14 4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184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146수 백 시간승[7]
8/15 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176수 백 시간승
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九단

16강 중계의 경우 K바둑에서는 신진서-미위팅/박정환-이치리키 료/변상일-딩하오 대국으로 이 부문의 대국들만 중계했다(섬네일 기준). 바둑TV에서는 박정환 부분을 뺀 대신 국내부문인 박영훈-박민규 대국을 중계해줬다. 변상일-딩하오의 경우는 타이젬TV에서도 중계.
오후에 치러지는 8강전 중계의 경우 K바둑은 모든 대국을 중계하려고 했으나(섬네일에 기재됨) 중계가 된 대국이 박정환 대국 뿐이었고(...), 바둑TV에서는 신진서-김지석/박정환-자오천위 대국만 중계한다. 타이젬TV에서는 변상일-신민준 대국 중계.
4강전 중계부터는 위의 언급된 방송사(개인방송 포함)들이 모든 대국을 중계했다.

===# 국내 프로 개인전 #===
  • 우승상금: 2500만원
  • 예선(대진표(모바일웹)) 일차별 대진은 한프바 유튜브 스트리밍과 수순중계 기준이며, 오전/오후 대국으로 진행된다.(단, 3일차인 결승만 오후대국)
대국일 구분 오전조(1~16조) 대국 오후조(17~29조) 대국 비고
(각주)
1일차 박진영 - 허서현(6조 Y/수순)
한웅규 - 김은지(12조 수순)
박상진 - 서능욱(17조 수순)
송규상 - 강지훈(20조 Y)
김노경 - 박정수(22조 수순)
[8]
[9]
2일차 박진솔 - 안성준(3조 수순)
유오성 - 박영훈[10](10조 Y)
최정 - 이도현(16조 수순)
이창호 - 김영삼(18조 Y)
최재영 - 오유진(21조 수순)
이호범 - 김경은(27조 수순)
[11]
[12]
[13]
3일차
결승
이도현 - 강승민(16조 Y)
박상진 - 문민종(17조 수순)
오유진 - 임진욱(21조 수순)
[14]
[15]
[16]
[17]
조별결승 지연대국
중계없음
한우진 - 김현찬(1조)
홍성지 - 윤성식(11조)
김동엽 - 김채영(15조)
1조/11조: 7월 1일
15조: 7월 2일
  • 본선
각각 한국랭킹 9위와 10위인 박건호, 이창석이 랭킹 시드로 배정되었고, 이와 함께 후원사 시드 선수가 본선에 안착하게 된다. 타 대회와 차이가 있다면 전기 시드가 없다는 점. 그래서 전기 우승자 박영훈도 예선에 출전했다.
  • 진출자
2회전 때부터 오전대국으로 일정을 당겨 대국했었던 위태웅 선수가 가장 먼저 이름을 올렸다.
중계대국 조였던 16조의 강승민과 17조의 문민종, 김은지를 제외한 유일한 여자기사인 21조의 오유진을 제외하고 조별로 윤준상/박진솔/한승주/심재익/허영락/홍무진/최명훈/황진형/박영훈, 양건/박신영/한태희, 강승민/박승화/이지현男/양유준/박민규/이현호/이원영/최철한/장건현/백현우/고근태 선수가 본선에 이름을 올렸다.
지연대국이 종료되면서 여자기사 둘(오유진과 김채영)을 포함한 29인이 결정되었다. 와일드카드는 이창호가 받았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10><tablebordercolor=#dcdcdc><tablebgcolor=#fff,#1f2023> 제8회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 국내프로토너먼트 ||
32강 16강 8강 4강 결승
(부전승)[18] <colbgcolor=#dcdcdc> 이지현 <colbgcolor=#dcdcdc> 한태희 <colbgcolor=#dcdcdc> 이원영 <colbgcolor=#dcdcdc> 이원영
우승
이현호 한태희 한태희
박영훈 박민규 박영훈 이원영
고근태 이원영 이원영
최철한 황진형 최철한 최철한 박건호
양유준 문민종 문민종
박건호 한우진 박건호 박건호
오유진 장건현 오유진
이창석 윤준상 이창석 박승화 백현우 홍성지
준우승
최명훈 박승화 박승화
박진솔 양 건 박진솔 백현우
백현우 이창호 백현우
심재익 강승민 강승민 김채영 홍성지
홍무진 김채영 김채영
홍성지 위태웅 홍성지 홍성지
박신영 허영락 허영락
  • K바둑에서는 중계가 없었고 바둑TV의 경우 32강 박영훈-박민규, 16강 박건호-오유진, 8강 김채영-홍성지, 준결 이원영-박건호를 중계했다.
  • 한프바의 경우 32강 이창호-백현우, 16강 강승민-김채영, 8강 최철한-박건호, 준결 홍성지-백현우 대국을 중계했다.
  • 대회 결과 이원영 九단이 결승에서 홍성지 九단을 상대로 흑 7집반승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원영은 프로 입단 13년만에 감격의 첫 우승을 맛보게 됐다. 바둑TV에서는 해당 대국을 밤 10시 본방송으로 대신했다(...)

==# 제9회 대회 #==
  • 이번 대회부터 국내프로토너먼트가 폐지되고 세계프로최강전과 국제청소년바둑대축제만 진행한다. 여기서는 세계프로최강전 부문을 다루며, 이번 세계프로최강전은 전라남도 신안에서 대회를 진행하고 모든 대국을 대면대국으로 진행한다.

===# 세계프로최강전 #===
제9회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 셰계프로최강전
일정 대국 대진 결과
7/26
10:00
16강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민규 224수 백 불계승
파일:일본 국기.svg 사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4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판팅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원도 169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황윈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44수 백 불계승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174수 백 불계승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린수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석 14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셰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280수 흑 반집승
파일:일본 국기.svg 이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32수 백 불계승
7/26
14:00
8강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4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판팅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56수 백 불계승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석 295수 흑 1집반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25수 흑 불계승
7/27 4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28수 백 불계승[20]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31수 흑 불계승
7/28 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52 수 백 불계승
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九단

==# 제10회 대회 #==
  • 이번 대회부터 우승 상금이 1억원으로 인상되는 등 상금 규모가 커졌다.
제10회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 셰계프로최강전
일정 대국 대진 결과
8/3
10:00
16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천위 315수 백 반집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승민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 252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광호 파일:중국 국기.svg 판팅위 216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민규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233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233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파일:중국 국기.svg 왕싱하오 210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291수 흑 3집반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185수 흑 불계승
8/3
14:00
8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승민 267수 흑 3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판팅위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284수 흑 반집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196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186수 백 불계승
8/4
10:00/14:00
4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327수 흑 9집반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49수 흑 불계승
8/5
10:00
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296수 흑 반집승[23]
우승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八단[24]

2. 관련 문서



[1] 물론 이 때문에 개막식을 중계할 때 사람들은 "아 축사 릴레이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한국기원 부총재(또는 총재), 전남지사, 전남교육감, 강진군수, 영암군수, 신안군수' 순으로(...) 축사를 진행하다 보니 지옥과도 같은 반응이 많은 것. 해외 쪽은 덤이다(...)[2] 164수 백 불계승[3] 오정아 4단의 이 기록은 2019년도 국내 대회(및 국수산맥배) 최초 여자 기사 4강 진출 기록이 되었다[4] 별칭: 통유通幽(깊고 그윽함을 통해 안다)[5] 다만, 김창훈의 승단점수 충족 당시 상대가 누구인지 승단소식 기사에서 기재되지 않았다.[6] 2단의 별칭[7] 대마가 잡힌 상황이라 원성진 선수가 시간을 흘려 보내는 것으로 사실상 돌을 거둔것을 갈음했다.[8] 이 날 5조에서 송상훈 선수와 윤희우 선수의 대국이 모종의 사정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진출자도 없게 되면서 2회전에 배정되어 기다리고 있던 주치홍 선수가 결승에 안착하게 됐다.[9] 오후조인 24조의 박지영-이현호, 25조의 김기범-정서준 대국은 오전으로 당겨 미리 진행되었다.[10] 전기 우승자[11] 1조의 한우진-선승민, 11조의 홍성지-조승아, 15조의 김채영-권효진(七) 대국은 이 다음날 오전으로 연기됐다. 1조와 11조 결승은 7월 1일에 진행되지만 15조 결승은 김채영 선수의 일정상 사유로 7월 2일로 다른 조 연기대국들보다 더 밀렸다.[12] 오후조였던 19조의 위태웅-김준석 대국은 오전으로 당겨 미리 진행되었다.[13] 2회전 진출자의 1회전 때 대진: 박진솔 - 김지명, 유오성 - 강우혁, 최정 - 최기훈 / 이형진 - 이창호, 최재영 - 박재근, 문지환 - 이호범[14] 강승민 선수는 2회전에 배정되어 1회전에서 김정현 선수를 이기고 올라온 이영구 선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결승에 올랐다.[15] 박상진 선수가 2회전에서 금지우 선수를 이기고 올라왔고 문민종 선수의 경우는 1회전에서 이원도 선수, 2회전에서 김민정 선수를 이기고 올라왔다.[16] 임진욱 선수는 2회전에 배정되어 1회전에서 강다정 선수를 이기고 올라온 김민서 선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결승에 올랐다.[17] 19조의 김선기-위태웅 대국은 위태웅 선수의 사정상 10시에 미리 대국하게 된다. 이는 2회전부터 그랬다.[18] 한승주 선수가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아 불참.[19] 이번 대회는 바둑TV가 단독 중계한다.[20] 변상일이 다 이겼던 바둑을 역전패 당하고 말았다.[21] 전기 대회 우승자이기도 하다.[22] 처음엔 불참하였으나 와일드카드를 받아 출전하게 됐다.[23] 신진서가 미세하지만 확실히 우세한 상황에서 끝내기에 들어갔으나, 라이쥔푸가 신진서보다 훨씬 더 빠르게 마지막 초읽기에 몰린 와중에서도 80~90여수에 달하는 끝내기 과정에서 거의 모든 수를 블루스팟만 찾아가는 신들린 끝내기 실력을 보였고, 여기에 신진서가 감각적으로 끝내기를 하려다 실수가 몇차례 발생하여 바둑이 뒤집혀버리고 말았다.[24] 2007년 저우쥔쉰 九단의 제11회 LG배 우승 이후 약 17년만의 대만 국적 기사의 세계대회 우승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