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7 16:48:44

구상민(프로게이머)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e2027><tablebgcolor=#de2027>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화이트.svgNongshim RedForce
2026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de2027><colcolor=#fff>감독[[김경민(e스포츠 관련 인물)|김경민
SilKanoN
]]
코치[[소성민|소성민
sungmin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혁규|이혁규
Dambi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무빈(프로게이머)|김무빈
Franci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프로게이머)|박성현
Iv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상민(프로게이머)|구상민
Rb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지온|양지온
Persia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환(프로게이머)|정환
Xross
]]
VCT Pacific 참가팀 로스터}}}}}}}}}}}}

<colbgcolor=#de2027><colcolor=#fff> 前 CS:GO 프로게이머
現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nopad> 파일:NS_Rb_VCT_Ascension_Pacific_2025.png
Nongshim RedForce
Rb
구상민 (具相珉 | Goo Sang-min)
출생 2001년 12월 7일 ([age(2001-12-07)]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5cm
MBTI ISTJ
ID NS Rb #0712 #
경력 상금 $142,532.84 USD
(₩187,218,310.67)
[A]
소속
[ 펼치기 · 접기 ]
DRX[2]
(2020.06.07 ~ 2024.01.13)

Titan Esports Club
(2024.01.14 ~ 2025.06.17)
Nongshim RedForce
(2025.06.17 ~ )
에이전시 쉐도우코퍼레이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카운터 스트라이크 프로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경력 상금 $1,154.22 USD
(₩1,659,098.91 KRW)
[A]
소속 ikarus
(2017 ~ 2019.09.28)
MVP PK
(2019.09.28 ~ 2020.04.30)
Project_kr
(2020.04.30 ~ 2020.06.07)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선수 경력4. 대회 경력5. 주요 경력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발로란트 프로게이머. 現 VCT Pacific농심 레드포스 소속.

2. 플레이 스타일

요원폭이 굉장히 넓다. 그중에서 DRX 시절에는 네온이 가장 고평가를 받았다. 프렉처에서 알비의 네온은 세계 최고의 네온이라고 불리고 있다.[4] 공격 때엔 팀원들의 스킬과 동시에 빠른 속도로 사이트를 클리어하며 만약 잘린다 하더라도 바로 트레이드[5]가 난다. 수비 때엔 네온의 속도를 살려 한 점 돌파를 자주 하며, 이 한점 돌파로 인해 절약왕이 자주 나온다. 개인방송에서 가끔씩 플레이하는 글옵의 사설 버니합 서버를 할 때가 종종 있는데, 중상급자 티어의 맵도 어렵지 않게 돌파해 나가는 모습에서 그의 수준 높은 점프 이해도를 확인할 수 있다. 비록 자동으로 점프해주는 오토버니를 사용하는 모습만 비춰지지만 파일럿에 따라 컨트롤 난이도가 극명하기 때문에 기본기 자체가 탄탄한 셈. 즉 네온을 잘할 수밖에 없기도 하다.

특이점이라고 하면 큰 경기에서 기복이 심하다. 완전 말아먹은 경기를 Rb가 캐리 해서 힘겹게 이긴 경기도 있는 반면,[6][7] 게임의 가장 큰 패배 요인으로 뽑힐 때도 있다.

농심 입단 이후로는 소바, 바이퍼, 사이퍼 같은 역할을 담당하며, 특이점으로는 소바를 척후 역할보단 감시 역할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바이퍼를 담당했을 때 날아다니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창의적인 바이퍼 장막 사용과 더불어 상대의 허를 찌르는 획기적인 스킬 활용 및 변수 플레이에 굉장히 능한 모습을 보여준다. 아쉽게도 알비의 네온은 팀에 세계 최고의 네온이 있는 탓에 농심에서 보기 힘들 것 같다.[8]

3. 선수 경력


4. 대회 경력

구상민 대회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발로란트 챔피언스
5-8위 2021 발로란트 챔피언스 베를린
3위 2022 발로란트 챔피언스 이스탄불
5-6위 2023 발로란트 챔피언스 로스앤젤레스
발로란트 마스터스
우승 2021 VCT Stage 1 Masters Korea, MVP
5~8위 2021 발로란트 마스터스 베를린
5위 2022 발로란트 마스터스 레이캬비크
5위 2022 발로란트 마스터스 코펜하겐
7-8위 2023 발로란트 마스터스 도쿄
VCT Pacific
준우승 2023 VCT Pacific
{{{#fff VCT CN}}}
6위 2024 VCT CN Kickoff
9-10위 2024 VCT CN Stage 1
11위 2024 VCT CN Stage 2
11위 2025 VCT CN Kickoff
7위 2025 VCT CN Stage 1
{{{#fff VCT LOCK//IN}}}
4강 2023 VCT LOCK//IN São Paulo
{{{#fff VALORANT Challengers Korea}}}
1-2위 2021 VCT Korea Stage 1 Challengers 1
1-2위 2021 VCT Korea Stage 1 Challengers 2
3-4위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Korea Stage 2
우승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Korea Stage 3
우승 2022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
우승 2022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2
{{{#ff4654 발로란트 퍼스트 스트라이크 코리아}}}
우승 발로란트 퍼스트 스트라이크 코리아
기타 대회
우승 A.W EXTREME MASTERS ASIA Invitational
5-6위 AfreecaTV VALORANT LEAGUE
수상
2024 VCT CN Stage 1 Player of Week 1
}}}}}}}}} ||

===# 대회 기록 #===

5. 주요 경력

우승 경력
발로란트 퍼스트 스트라이크 코리아 우승
대회 출범 Vision Strikers 대회 폐지[12]
2021 발로란트 지역 마스터스[13] 우승
대회 출범 Vision Strikers Sentinels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Korea Stage 3 우승
NUTURN Gaming Vision Strikers 챌린저스 출범
2022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 우승
2022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2 우승
대회 출범 DRX Dplus KIA
준우승 경력
2023 VCT Pacific 준우승
대회 출범 DRX Paper Rex

6. 여담

  • 조카가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로 보일만큼 어리며 대회 관람객으로 여러번 등장했다.
  • 닉네임의 유래는 넥슨의 RPG 게임인 엘소드에서 대전이라는 컨텐츠를 제일 잘하는 플레이어의 닉네임을 따왔다고 한다.
  • 본인이 아는 카스는 넥슨 카스 온라인이 전부였으나 학교 친구가 카스 글옵스팀 등 다양한 게임을 알려주면서 FPS 업계로 넘어왔다고 한다. 그러다 본인이 대회를 자주 출전하고 싶어서 Ikarus라는 아마추어 팀을 만들고 활동하다가 MVP PK라는 팀에서 그 당시 감독인 termi가 스카웃을 하면서 우리가 아는 Rb가 된다.
  • 요원을 많이 다루게 된 계기는 자신이 주도하진 않았고 termi의 다양한 요원을 해달라는 부탁과 발로란트같은 회사의 게임인 리그 오브 레전드처럼 언젠가 요원이 많이 생겨 밴픽을 할 날이 올지도 모르니 그냥 하겠다고 했다.
  • 과거 한국 서버 1등을 마코와 함께 가져갔었다.
  • 2025년 4월 18일, DRG와의 경기에서 VCT CN 리그 내 1000킬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
  • 농심에 돌아온 이후로 알비가 다시 왔다는 의미에서 알비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5]
  • 과자 중 가장 좋아하는 것은 새우깡, 감자깡, 고구마깡이며, 라면은 신라면을 좋아한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e2027><tablebgcolor=#de2027>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화이트.svgNongshim RedForce
2026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de2027><colcolor=#fff>감독[[김경민(e스포츠 관련 인물)|김경민
SilKanoN
]]
코치[[소성민|소성민
sungmin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혁규|이혁규
Dambi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무빈(프로게이머)|김무빈
Franci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프로게이머)|박성현
Iv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상민(프로게이머)|구상민
Rb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지온|양지온
Persia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환(프로게이머)|정환
Xross
]]
VCT Pacific 참가팀 로스터}}}}}}}}}}}}
구상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9093><tablebgcolor=#0D9093>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VCT CK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우승팀 선수
2022 스테이지 1 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Zest · stax · Rb · BuZz · MaKo · BeYN
2022 스테이지 2 Zest · stax · Rb · BuZz · MaKo
2023 스테이지 1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Esperanza · allow · exy · Estrella · Lakia
2023 스테이지 2 Esperanza · allow · exy · Estrella · Lakia · Wenty · NGen
2024 스테이지 1 파일:LFG_Portal_logo1.png Sunday · Hate · Ash · NakJi · Moves
2024 스테이지 2 파일:Sin Prisa Gaming notext.png Dambi · Francis · Ivy · margaret · Persia · Jerry
2024 스테이지 3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 Xross · Cloy · SID · Kally · Banger
2025 스플릿 1 파일:BNK FEARX 로고.svg Hermes · Cloy · SID · Kally · Banger
2025 스플릿 2
2025 스플릿 3 파일:T1 로고.svg Moothie · exa · Gangpin · Pkm · Efina
2025 어센션 진출전 파일:SLT 로고.svg C1ndeR · Klaus · XuNa · oonzmlp · zexy · Ray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9093,#0D9093><tablebgcolor=#0D9093,#0D9093>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VCT Ascension
역대 승격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ff> 시즌 리그 승격팀 선수
<rowcolor=#fff><colbgcolor=#fff> 2023 파일:VCT_2023_Americas_League_symbol.png 파일:The_Guard.png valyn · neT · JohahP · trent · tex
파일:VCT CN Logo Only.png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colcolor=#cb4038> TvirusLuke · Nicc · Zeno · vo0kashu · Dingwei · YuChEn
파일:VCT_EMEA_Logo_lightgreen.png 파일:Gentle_Mates.png TakaS · nataNk · logaN · beyAz · Wailers · APO
파일:VCT Pacific 심볼.svg 파일:Bleed_eSports.png Deryeon · crazyguy · juicy · sScary · nephh
2024 파일:VCT_2023_Americas_League_symbol.png 파일:2Game_Esports_allmode.png Iz · PryZee · silentzz · spikeziN · zap
파일:VCT CN Logo Only.png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Kr1stal · Rarga · happywei · MrCANI · MarT1n · Satoshi
파일:VCT_EMEA_Logo_lightgreen.png 파일:Apeks 로고.png AvovA · hype · kaajak · MOLSI · soulcas
파일:VCT Pacific 심볼.svg 파일:Sin Prisa Gaming notext.png Dambi · Francis · Ivy · margaret · Persia · Jerry
2025 파일:VCT_2023_Americas_League_symbol.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nvyus_Logo.png파일:Team_EnVyUs_darkmode.png canezerra · Eggsterr · inspire · ion2x · P0PPIN
파일:VCT CN Logo Only.png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Akeman · Flex1n · Nicc · SpiritZ1 · vo0kashu
파일:VCT_EMEA_Logo_lightgreen.png 파일:380px-ULF_Esports_lightmode.png파일:ULF Esports darkmode.png echo · nekky · audaz · s0pp · Favian
파일:BBL_PCIFIC_full_allmode.png Crewen · Lar0k · Loita · Rosé · umu7
파일:VCT Pacific 심볼.svg 파일:SLT 로고.svg C1ndeR · Klaus · oonzmlp · XuNa · zexy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 Ivy · Francis · Rb · Xross · Dambi · Persia
}}}}}}}}} ||

[A] Rb 경력 상금.[2] 팀명 변경: Vision StrikersDRX[A] [4] Rb의 네온을 세계 1-2등급 네온이라 평하는 선수들도 많다.[5] 빠른 트레이드는 DRX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이다.[6] 파일:vct champions22 rb2.gif[7] 파일:vct champions22 rb1.gif[8] 담비의 네온은 두말하면 입 아플 정도로 세계 정상급이며, 심지어 프란시스도 네온을 사용할 줄 알기 때문에 알비의 네온이 나오기 힘든 환경이다.[9] 2021 마스터스 코리아[K] 2021 Stage 3, 2022 Stage 1, 2022 Stage 2[K] [12] VCT 개편[13] KR[14] 2025 VCT CN Stage 1부터 IGL도 담당했었다...[15] 한국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인스타에서 진행하는 스프레이 제작소라는 컨텐츠에서 해당 밈의 스프레이가 제작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