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가고시마현, 오키나와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후쿠오카현 선거구 | 사가현 선거구 | 나가사키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마쓰야마 마사지 | 시모노 로쿠타 | 노다 구니요시 | 야마시타 유헤이 | 고가 유이치로 | ||
2028년 개선 | ||||||
오이에 사토시 | 고가 유키히토 | 아키노 고조 | 후쿠오카 다카마로 | 야마모토 게이스케 | ||
구마모토현 선거구 | 오이타현 선거구 | 미야자키현 선거구 | 가고시마현 선거구 | 오키나와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바바 세이시 | 시라사키 아키 | 나가미네 마코토 | 오쓰지 히데히사 | 다카라 데쓰미 | ||
2028년 개선 | ||||||
마쓰무라 요시후미 | 고쇼 하루토모 | 마쓰시타 신페이 | 노무라 데쓰로 | 이하 요이치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12FA7><tablebgcolor=#112FA7> | 구마모토현 선거구 熊本県選挙区 | }}} | |||
| ||||||
<colbgcolor=#112FA7><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1,458,757명 (2021) | |||||
구성 행정구역 | 구마모토현 | |||||
의원정수 | 2인 | |||||
국회의원 | 2022 개선 | | 마쓰무라 요시후미 | |||
2025 개선 | | 바바 세이시 |
1. 개요2. 현재 국회의원3. 역대 국회의원4. 역대 선거 결과
4.1.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2. 제1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3.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4.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5.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6.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보궐선거4.7.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8.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9.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10.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11.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12.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13.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14.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15.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 개요
구마모토현을 관할하는 참의원 선거구.기타큐슈시와 함께 규슈에서 가장 큰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는 구마모토시가 포함된 선거구인만큼 젊은 인구가 많으며, 따라서 2010년대 초반까지는 민주당과 자민당이 5%p내 초접전을 벌이는 규슈 내의 대표적인 경합 선거구였다.
그러나 2013년 7월 21일에 열린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때 자민당이 민주당 후보를 무려 30%p차로 누르고 당선된 이후로는 자민당의 15%p 이상의 우세 형국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어 현재는 자유민주당 우세지로 분류된다.
인구는 1,471,767명이며, 2인 선거구이다. 제17회 참원선까지는 2인 선거구였다.
2. 현재 국회의원
2022년 개선 | 마쓰무라 요시후미(松村祥史) |
2025년 개선 | 바바 세이시(馬場成志) |
3. 역대 국회의원
연도(회차) | 의원명 | 소속 정당 |
1974(10회) | 타카다 코운 | |
소노다 기요미츠 | ||
1977(11회) | 미요시 신지 | |
호소카와 모리히로 | ||
1977(10회 보궐)[1] | 타시로 유키오 | |
1979(11회 보궐)[2] | 미우라 핫스이 | |
1980(12회) | 타시로 유키오 | |
소노다 기요미츠 | ||
1983(13회) | 사와다 잇세이 | |
우라타 마사루 | ||
1986(14회) | 타시로 유키오 | |
모리즈미 유신 | ||
1989(15회) | 키히라 테이코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사와다 잇세이 | ||
1992(16회) | 모리즈미 유신 | |
우라타 마사루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1995(17회) | 아소다 키요시 | |
미우라 잇스이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1998(18회) | 혼다 류이치 | |
기무라 히토시 | | |
2000(17회 보궐)[3] | 우오즈미 히로히데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1(19회) | 미우라 잇스이 | |
2004(20회) | 기무라 히토시 | |
2007(21회) | 마츠노 노부오 | |
2010(22회) | 마츠무라 요시후미 | |
2013(23회) | 바바 세이시 | |
2016(24회) | 마츠무라 요시후미 | |
2019(25회) | 바바 세이시 | |
2022(26회) | 마츠무라 요시후미 |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의원정수 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타시로 유키오 | 324,661표 | 1위 |
| 33.89% | 당선 | |
| 모리즈미 유신 | 315,654표 | 2위 |
| 32.95% | 당선 | |
無 | 키히라 테이코 | 278,237표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A] | 29.04% | 낙선 | |
| 쿠리타 카즈유키 | 39,493표 | 7위 |
4.1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958,045표 | 투표율 78.23%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337,791인 |
4.2. 제1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無 | 키히라 테이코 | 332,699표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A] | 34.70% | 당선 | |
無 | 사와다 잇세이 | 284,325표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9.66% | 당선 | |
| 우라타 마사루 | 198,022표 | 3위 |
| 20.66% | 낙선 | |
| 이와사키 하치오 | 121,155표 | 4위 |
| 12.64% | 낙선 | |
| 다케미야 노리유키 | 22,491표 | 5위 |
2.35%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959,692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3.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의원정수 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모리즈미 유신 | 211,414표 | 1위 |
| 26.31% | 당선 | |
無 | 우라타 마사루 | 163,525표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35% | 당선 | |
| 가와무라 미쓰오 | 148,922표 | 3위 |
''' 연합 '''[6] | 18.54% | 낙선 | |
無 | 나카야마 요시타카 | 135,986표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6.93% | 낙선 | |
無 | 야가미 마사요시 | 102,558표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76% | 낙선 | |
無 | 아다치 쿠니노리 | 20,805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59% | 낙선 | |
| 다케미야 노리유키 | 20,243표 | 7위 |
2.5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803,453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4.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의원정수 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아소다 키요시 | 315,898표 | 1위 |
| 43.27% | 당선 | |
無 | 미우라 잇스이 | 279,273표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8.26% | 당선 | |
無 | 키히라 테이코 | 113,194표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51% | 낙선 | |
| 다케미야 노리유키 | 20,790표 | 4위 |
2.85% | 낙선 | ||
無 | 아라 타카오 | 826표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11%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730,081표 | 투표율 52.94%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422,387인 |
4.5.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4.6.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보궐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無 | 우오즈미 히로히데 | 386,674표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5.15% | 당선 | |
| 가야마 마리코 | 322,229표 | 2위 |
| 37.62% | 낙선 | |
無 | 하야시다 요이치 | 73,923표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63% | 낙선 | |
| 니시카와 에츠코 | 73,617표 | 4위 |
8.60%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856,443표 | 투표율 61.85%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7.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미우라 잇스이 | 477,997표 | 1위 |
| 55.46% | 당선 | |
| 가야마 마리코 | 300,321표 | 2위 |
| 34.85% | 낙선 | |
| 니시카와 에츠코 | 46,566표 | 3위 |
5.40% | 낙선 | ||
| 미스미 카즈오 | 21,242표 | 4위 |
자유연합 | 2.46% | 낙선 | |
| 이시다 히로후미 | 15,677표 | 5위 |
| 1.8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861,803표 | 투표율 62.24%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475,987인 |
4.8.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기무라 히토시 | 411,542표 | 1위 |
| 48.92% | 당선 | |
| 혼다 류이치 | 372,469표 | 2위 |
| 44.28% | 낙선 | |
| 야마모토 노부히로 | 57,196표 | 3위 |
6.80%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841,207표 | 투표율 59.6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488,507인 |
4.9.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마츠노 노부오 | 440,742표 | 1위 |
| 48.38% | 당선 | |
| 미우라 잇스이 | 432,686표 | 2위 |
| 47.50% | 낙선 | |
| 하시다 요시아키 | 37,483표 | 3위 |
4.11%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910,911표 | 투표율 63.1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496,506인 |
4.10.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마쓰무라 요시후미 | 393,674표 | 1위 |
| 44.23% | 당선 | |
| 혼다 코이치 | 349,398표 | 2위 |
| 39.26% | 낙선 | |
| 혼다 마코 | 101,869표 | 3위 |
| 11.45% | 낙선 | |
| 아다치 야스토 | 30,517표 | 4위 |
3.45% | 낙선 | ||
| 마에다 타케오 | 14,552표 | 5위 |
''' 일본창신당 ''' | 1.64%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890,010표 | 투표율 61.9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488,495인 |
4.11.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바바 세이시 | 450,617표 | 1위 |
| 60.56% | 당선 | |
| 마츠노 노부오 | 221,553표 | 2위 |
| 29.77% | 낙선 | |
| 야마모토 노부히로 | 58,982표 | 3위 |
7.93% | 낙선 | ||
| 모치다 타카시 | 12,944표 | 4위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1.7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744,096표 | 투표율 52.30%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484,583인 |
4.12.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마쓰무라 요시후미 (松村祥史) | 440,607 | 1위 |
[7] | 59.14% | 당선 | |
無 | 아베 히로미 (阿部広美) | 269,168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8] | 36.13% | 낙선 | |
| 키노시타 준코 (木下順子) | 20,742 | 3위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2.78% | 낙선 | |
| 혼도 테츠야 (本藤哲哉) | 14,493 | 4위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975ca9,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00, 내용=지지정당 없음)] | 1.95%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712,381 | 투표율 51.46%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500,518 |
4.13.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바바 세이시 (馬場成志) | 307,894 | 1위 |
[9] | 56.40% | 당선 | |
無 | 아베 히로미 (阿部広美) | 262,664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10] | 39.06% | 낙선 | |
| 사이소지 타쓰야 (最勝寺辰也) | 30,539 | 3위 |
| 4.54%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선거인수 | 1,471,767 | 투표율 47.23% |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수 | 601,907 |
제23회 중원선 당시 접전지였던 구마모토현에서 상대 후보를 30%p차로 누르고 압승해 본격적인 이 선거구 자민당 전성시대를 알렸던 바바 세이시 참의원이 이번에도 17%p차로 공산당과 사민당 공동 추천 후보인 아베 히로미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자민당 바바 세이시 당선자는 아라오시를 제외한 구마모토현 내 모든 시구정촌에서 무소속 야권 후보인 아베 히로미 후보에 앞섰다. 사실 그저 앞선 수준이 아니라 양 후보간 격차가 10%p 이내인 곳이 49개 시구정촌 중 아라오시를 포함해 단 9곳밖에 없을 정도로 크게 승리했다.
4.14.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마쓰무라 요시후미 (松村祥史) | 426,623 | 1위 |
[11] | 62.17% | 당선 | |
| 데구치 신타로 (出口慎太郎) | 149,780 | 2위 |
[12] | 21.83% | 낙선 | |
| 다카이 지토세 (高井千歳) | 78,101 | 3위 |
[[참정당| 참정당 ]] | 11.38% | 낙선 | |
| 혼마 아키코 (本間明子) | 31,734 | 4위 |
| 4.6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712,381 | 투표율 49.12%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450,209 |
여당 자민당에서는 현직 3선 참의원이자 현재 참의원 결산위원장을 맡고 있는 마쓰무라 요시후미 참의원이 4선 도전에 나섰다. 연립 여당인 공명당 역시 마쓰무라 후보를 추천했다.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에서는 당 구마모토현련 부대표이자 과거 장애아 시설 임원을 맡고 있던 데구치 신타로가 사민당의 추천을 받아 도전에 나섰다. 이 선거구에서는 일본공산당과 독자 노선을 천명한 국민민주당이 별도 후보를 내지 않으면서 여야 1대1 구도가 형성되었다.
그 외 NHK당에서는 웹제작회사 임원 출신의 혼마 아키코 후보를, 참정당에서는 치과 의사인 다카이 치토세 후보를 내세웠다.
4.15.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구마모토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바바 세이시 (馬場成志) | 표 | |
| % | ||
| 야마구치 세이타로 (山口誠太郎) | 표 | |
[[참정당| 참정당 ]] |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표 | 투표율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