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8a160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역사 | 상징 | |||||
| 대학원 | 캠퍼스 및 시설 | 학부 | ||||
| 학생회 | 동아리 | 학생자치기구 | ||||
| 교내 언론 | 출신 인물 | 중앙도서관 | ||||
1. 개요
광운대학교 대학원은 1979년 광운대학교에 개원한 대학원으로써 33개 학과에 개설된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을 운영하고 있다.1.1. 연혁
| 1979년 12월 15일 | 대학원 설립인가 석사과정 정원 36명 2개학과 석사과정 신설: 전자공학과(18명), 전자통신공학과(18명)  | 
| 1979년 12월 07일 | 초대 대학원장 전풍진 이학박사 취임 | 
| 1980년 07월 11일 | 제2대 대학원장 조정현 법학박사 취임 | 
| 1980년 11월 03일 | 학칙 개정에 따른 대학원생 정원 증원 및 학과 신설 석사과정 정원 70명으로 증원 3개학과 석사과정 신설: 전기공학과, 전자계산학과, 경영학과  | 
| 1981년 11월 25일 | 학칙 개정에 따른 석사과정 1개학과 신설: 전자재료공학과 | 
| 1982년 07월 01일 | 학위 과정별 정원제 운영인가 (1982. 3. 1.부터 적용) | 
| 1982년 11월 22일 | 학칙 개정에 따른 대학원생 정원 증원 석사과정 정원 78명으로 증원  | 
- 1983년 2월 14일
 - 제3대 대학원장 서국철 공학박사 취임
 - 1983년 10월 29일
 - 학칙 개정에 따른 대학원생 정원 증원 및 학과 신설
 - 석사과정 정원 108명으로 증원
 - 박사과정 36명으로 증원
 - 1개학과 석사과정 신설 : 전자계산기공학과
 - 6개학과 박사과정 신설 : 전자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계산학과, 전자재료공학과, 경영학과
 - 1984년 11월 27일
 - 학칙 개정에 따른 대학원생 정원 증원 및 학과 신설
 - 석사과정 정원 120명으로 증원
 - 박사과정 46명으로 증원
 - 2개학과 석사과정 신설 : 무역학과, 행정학과
 - 1개학과 박사과정 신설 : 전자계산기 공학과
 - 1987년 10월 29일
 - 종합대학 승격
 - 1987년 11월 9일
 - 학칙 개정에 따른 대학원생 정원 증원 및 학과 신설
 - 석사과정 정원 138명으로 증원
 - 박사과정 55명으로 증원
 - 1개학과 박사과정 신설: 행정학과
 - 1988년 11월 30일
 - 학칙 개정에 따라 박사과정 정원 59명으로 증원
 - 1990년 11월 8일
 - 학칙 개정에 따른 대학원생 정원 증원 및 학과 신설
 - 석사과정 정원 162명으로 증원
 - 2개학과 석사과정 신설: 화학공학과, 법학과
 - 1991년 11월 15일
 - 학칙 개정에 따른 대학원생 정원 증원 및 학과 신설
 - 석사과정 정원 207명으로 증원
 - 박사과정 84명으로 증원
 - 4개학과 석사과정 신설: 제어계측공학과, 화학과, 물리학과, 국어국문학과
 - 1개학과 박사과정 신설: 화학공학과
 - 1992년 7월 28일
 - 학칙 개정에 따른 대학원생 정원 증원 및 학과 신설
 - 석사과정 정원 249명으로 증원
 - 박사과정 111명으로 증원
 - 3개학과 석사과정 신설: 환경공학과, 수학과, 영어영문학과
 - 3개학과 박사과정 신설: 제어 계측 공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 1996년 11월 2일
 - 학칙 개정에 따라 대학원생 정원을 입학정원제로 하고 증원 및 증과
 - 석사과정 입학 정원을 246명으로 증원 (총 재적생 수: 458명)
 - 4개학과 석사과정 신설: 전파공학과, 건축공학과,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 박사과정 입학 정원을 50명으로 증원 (총 재적생 수: 134명)
 - 교육부 방침에 의해 '97년부터 총 정원제에서 입학 정원제로 변경됨
 - 1997년 2월 20일
 - 삼성전자 지원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 센터 설립
 - 1997년 10월 11일
 - 신기술연구소가 한국통신 기초연구사업 지정 대학연구센터로 선정
 - 1997년 10월 31일
 - 노원구청과 상호 교류 협약 체결
 - 1997년 11월 17일
 - 통상산업부 및 반도체 3사(현대, LG, 삼성) 지원 반도체 설계 교육 지역 센터 인가
 - 1998년 6월 20일
 - 대학원 동문회 창립(회장:권혁조)
 - 1998년 9월 3일
 - ‘98년도 정보통신 우수시범학교 지원사업 지원대상학교 선정
 - 2000년 5월 28일
 - 학연산 협동연구 석/박사과정 학위설치 운영에 관한 약정서 체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정보보호센터
 - 2000년 7월 18일
 - 신문방송학과, 경영정보학과 박사과정 신설
 - 석사과정 16명, 박사과정 7명 증원
 - 학연산 협동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및 한국정보보호센터 각각 석사과정 10명, 박사과정 4명 증원
 - 2001년 7월 26일
 - 학연산 협동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석사과정 8명, 박사과정 3명 증원
 - 2001년 9월 1일
 - 국제지역학과 석/박사과정 학위설치, 산업심리학과 박사과정 학위설치
 - 2002년 5월 15일
 - 전자부품연구원과 학연산 협동연구 석/박사과정 학위설치 운영에 관한 약정서 체결
 - 2003년 2월 3일
 - 대학원 학점교류 협정 체결(국민대학교외 7개 대학)
 - 2004년 9월 1일
 - 석박사 통합과정 학위 설치
 - 2005년 9월 1일
 - 학과간 협동과정 정보디스플레이학과 석/박사과정 학위설치
 - 2006년 3월 1일
 - 학과간 협동과정 범죄학과 석/박사과정 학위설치
 - 2007년 3월 1일
 - 학과간 협동과정 부동산학과 박사과정 학위설치
 - 2007년 9월 1일
 - 학과간 협동과정 방위사업학과 석/박사과정 학위설치
 - 2008년 9월 1일
 - 학과간 협동과정 모바일임베디드SW공학과 석사과정 학위설치
 - 2010년 3월 1일
 - 학과간 협동과정 건설법무학과 박사과정 학위설치
 - 모바일임베디드SW공학과 임베디드SW공학과로 학과명 변경
 - 임베디드SW공학과 고용계약형 학과(정원외)로 모집단위 변경
 - 2011년 7월 29일
 - 정보디스플레이학과를 플라즈마바이오디스플레이학과로 학과명 변경
 - 2012년 8월 21일
 - 홀로그래피3D콘텐츠학과 재교육형학과(정원외) 박사과정 학위설치
 - 2013년 7월 24일
 - 전자물리학과를 전자바이오물리학과로 학과명 변경
 - 부동산학과를 도시계획부동산학과로 학과명 변경
 - 2014년 7월 15일
 - 제어계측공학과를 로봇학과로 학과명 변경
 - 2014년 11월 25일
 - 학과간 협동과정 교육학과 박사과정 학위설치
 - 방위사업학과 경영정보전공 석/박사과정 학위설치
 
2. 일반대학원
2.1. 인문사회계열
- 경영학과(석, 박사)
 - 국제통상학과(석, 박사)
 - 행정학과(석, 박사)
 - 법학과(석, 박사)
 - 국어국문학과(석, 박사)
 - 영어영문학과(석, 박사)
 - 산업심리학과(석, 박사)
 - 커뮤니케이션학과(석, 박사)
 - 경영정보학과(석, 박사)
 - 국제지역학과(석, 박사)
 - 문화산업학과(석, 박사)
 
2.2. 자연과학계열
- 전자바이오물리학과(석, 박사)
 - 화학과(석, 박사)
 - 수학과(석, 박사)
 
2.3. 공학계열
- 전자공학과(석, 박사)
 - 전자통신공학과(석, 박사)
 - 전기공학과(석, 박사)
 - 전자재료공학과(석, 박사)
 - 컴퓨터공학과(석, 박사)
 - 로봇학과(석, 박사)
 - 화학공학과(석, 박사)
 - 환경공학과(석,박사)
 - 전파공학과(석, 박사)
 - 건축공학과(석, 박사)
 - 건축학과(석, 박사)
 - 컴퓨터과학과(석, 박사)
 
3. 특수대학원
3.1. 환경대학원
- 환경경영전공
 - 환경공학전공
 - 영향평가전공
 - 재난안전관리전공
 - 민간부문재해경감관리
 
3.2.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https://gsba.kw.ac.kr/department/management05.php)
 - 서비스경영학과
 - 바이오의료경영학과
 - 국방기술경영학과(https://gsba.kw.ac.kr/department/defense.php)
 
3.3. 정보콘텐츠대학원
- 스마트시스템학과
 - 게임학과
 - 뷰티융합전공
 - 관광산업전공
 -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의료기 산업전공
 
3.4.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전공
 - 부모교육전공
 - 상담심리전공
 - 생활체육교육전공
 - 심리치료교육전공
 - 언어재활. 치료교육전공
 - 조기영어교육전공
 - 코칭심리전공
 - 특수교육전공
 - 평생 다문화교육전공
 - AI융합교육전공
 
3.5. 상담복지정책대학원
- 상담심리치료학과
 - 사회복지학과
 - 사회복지전공
 - 실버복지전공
 - 아동청소년전공
 - 마약범죄정보학과[1]
 
3.6. 건설법무대학원
- 건설법무사법전공
 - 건설법무공법전공
 - 건설소송실무전공
 
4.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