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룡 관련 문서 🦕 | |
<colbgcolor=#f5f5f5,#2d2f34> 용반목 | <colbgcolor=#fff,#1c1d1f>용각아목 · 수각아목(새) · 헤레라사우루스과※ |
조반목 | 합치류(각룡류 · 조각류 · 후두류 · 검룡류 · 곡룡류) · 헤테로돈토사우루스과 |
분류 불명 | 칠레사우루스 |
상위계통 | 공룡양류 · 지배파충류 · 석형류 |
기타 | 깃털 공룡 · 공룡 착색 · 공룡상목 생물 목록 · 대중문화 |
※: 공룡이 맞는지는 논쟁이 있음 |
1. 공룡상목에 속하는 생물의 알
1.1. 개요
말 그대로 공룡의 알. 정확히는 비조류 공룡이 낳은 알의 화석을 보통 일컫는다. 사람이 흔히 먹는 계란이나 메추리알같은 새알들도 계통상으로는 공룡알이다. 새는 공룡 그 자체기 때문.공룡들의 이미지가 굉장히 크다는 점에서 알도 엄청 크다는 인식이 있고 일부 대중매체에서도 공룡의 알이 굉장히 크게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 발견된 공룡알 화석들은 새 중에서 가장 큰 알을 낳는 코끼리새의 알보다도 작으며 타조의 알과 비슷하거나 더 작다. 알이 커지면 알껍데기도 덩달아 두꺼워지기 때문에 산소 공급도 되지 않고, 새끼가 알을 깨고 나올 수가 없게 되며, 눈에 잘 띄게 되어 잡아먹히기도 쉬워지기 때문에 알은 일정 크기 이상으로는 커질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덩치가 큰 대형 용각류들은 성체와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 차가 굉장히 심하기에 새끼 양육이 거의 불가능했고 대신 알을 많이 낳아 소수의 새끼들이 살아남아 어느 정도 몸집이 커졌을 때 무리에 합류시켜 보호하는 방식으로 양육을 해야 했을 것이다.
사람이 흔히아는 계란의 딱딱한 이미지는 공룡의 알에서 진화했다는 의미인데 일단 현재 연구상으로는 공룡알의 딱딱한 껍데기는 3번이나 독자적으로 진화하였다고 한다.[1]
위의 딱딱한 알 껍데기 연구와 관련으로 이 딱딱한 껍데기가 조류 계통이 현재까지 존속한 이유 중 하나일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왜냐하면은 평범한 파충류의 물렁거리는 껍데기는 양서류만큼은 아니지만 외부환경의 습도와 온도에 굉장히 민감하다. 지금 당장 악어의 알도 온도에 따라 성별이 구분되는 메커니즘이다. 이 공룡으로부터 진화한 딱딱한 껍데기는 아마 대멸종으로 인해 일어난 환경변화로부터 태아를 어느 정도 지켜주는 탱커 역할을 충실히 해낸것으로 보인다.
1.2. 알 화석이 발견된 공룡[2][3]
- 마이아사우라
- 히파크로사우루스
- 에올람비아
- 오비랍토르
- 키티파티
- 기간토랍토르[4]
- 테리지노사우루스[5]
- 세그노사우루스
- 로우린하노사우루스
- 디플로도쿠스
- 살타사우루스
- 프로토케라톱스[6]
- 마소스폰딜루스
- 무스사우루스
- 코끼리새
트로오돈힙셀로사우루스
2. 장난감
흔히 '공룡알 키우기'라고 불리며 개구리알처럼 물에 넣으면 커지는 장난감이다. 입욕제처럼 물에 녹는 재질의 알껍데기 안에 물을 흡수해 커지는 스펀지 재질의 공룡 장난감이 들어있는 구성으로 되어있으며 물에 넣으면 알이 녹거나 스펀지 공룡이 부풀면서 알을 깨고 부화하여 계속 커진다. 하지만 그렇게 부풀어오른 장난감의 모습이 마치 물에 불은 시체처럼 혐오스런 외형이 되며 촉감도 기분 나쁘다.주로 동네 문방구에서 볼 수 있고 다이소에서도 판매하고
코디아 에서도 판매한다 이쪽은 공룡알 뿐만 아니라 바다친구 키우기 뿐만 아니라 악어알 도 판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