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4097><tablebgcolor=#004097>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1.#26
[1] 보물로 승격[2] 보물로 승격[3] 보물로 승격[4] 사적 제530호로 승격[5] 보물 제1754호로 승격[미상] 해당 유형문화유산에 대한 정보 불명[7]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0호로 지정변경[8]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1호로 지정변경[9] 보물 제1808호로 승격[10] 보물 제615호로 승격[11]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변경[12]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3호로 지정변경[13]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4호로 지정변경[14]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8호로 지정변경[15]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9호로 지정변경[16]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변경[17]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호로 지정변경[18]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4호로 지정변경[19]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변경[20] 보물 제1627호로 승격[미상] [미상] [미상] [미상] [25]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5호로 지정변경[26]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6호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무학대사비
1.#76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1.#126 나만갑선생신도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봉녕사 석조삼존불
1.#176 의정부약수선원목조보살입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광주극락사석조지장보살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류상운 약재집 초고본
1.#276 의정부 망월사 간행 진언집 책판 관련 목판 4종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고양 원각사 불조삼경
1.#326 영조예필-송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375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2025. 10. 2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1. 개요
高陽 圓覺寺 達磨大師觀心論. 불교 선종의 대표적 논서인 관심론 지침서. 우리나라에는 조선 세조 9년(1463)에 처음 만들어지고 훗날 중종 33년(1538)에 복간한 책 한권이 남아 있다. 현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2호로 지정되었다.2. 내용
달마대사관심론은 불교 선종의 창시자로 알려진 보리달마(菩提達摩, ? ~528)의 심론을 적은 선종의 지침서로, 불교 관심론 및 파상론의 제1 강요서이다.현재 한국에 전해지는 달마대사관심론은 고양 원각사에 소장된 단 한 권만이 남았다. 책의 서문에 "천순계미(天順癸未 1463년)"라는 간기가 있고 "중침(重鋟)"이란 표현도 있으므로 조선 세조 9년(1463)에 간경도감에서 왕의 명을 받아 처음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연구 결과 세조 9년(1463)에 세조의 명으로 처음 만들어진 책을 저본으로 하여 중종 33년(1538)에 전라도 고창군의 문수사에서 그대로 재간행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2호는 세조 때 처음 만들어져 중종 때 복간된 선종의 제1 지침서로, 조선시대 전국의 사찰에서 가장 먼저 간행된 판본으로 전래본이 거의 없는 희귀본이라 그 가치가 매우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