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4 20:59:27

고려대학교TV방송국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의 언론 및 커뮤니티
고려대학교 교육방송국
(KUBS)
고려대학교 TV방송국
(KTN)
고대신문 고려대학교 교육TV방송국
(KUTV)
KLUE 고파스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세종캠퍼스
]]'''
쿠플존
'''[[디시인사이드|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디시인사이드
]]'''
고려대학교 미니 갤러리

<colcolor=#fff> [[고려대학교TV방송국|
고려대학교 TV방송국 KTN
KOREA UNIVERSITY TELEVISION NETWORK
]]
파일:KTNlogo.png
<colbgcolor=#8b0029> 정식 명칭 고려대학교 TV방송국
Korea University Television Network
개국 1997년
플랫폼 유튜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인스타그램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페이스북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네이버TV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X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노션 아이콘.svg
국장 제56대 국장 전하빈 (미디어 24)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미디어관 B205호


1. 개요2. 특징
2.1. 1인 PD제2.2. 텐랑이
3. 방송국 활동
3.1. 수습 과정3.2. 정국원3.3. 정기 회의
3.3.1. 모니터링
3.4. 부서
3.4.1. 교육부3.4.2. 기술부3.4.3. 기획부3.4.4. 대외협력부3.4.5. 디자인부3.4.6. 홍보부
3.5. 정규 영상
3.5.1. 시리즈
4. 실무행사
4.1. 새내기 배움터4.2. 응원전 (응원 OT, 합동응원전)4.3. 4.18 구국대장정4.4. 대동제4.5. 입실렌티4.6. 고연전4.7. 가을축제
5. 주요 내부 행사
5.1. 영상제5.2. 오픈스튜디오5.3. 수습 작품 시사회5.4. 대잔치5.5. MT5.6. 봄소풍
6. 협력관계7. 여담

상상 그 이상의 영상, KTN

1. 개요

2025 KTN 공식 홍보영상

고려대학교 TV방송국 KTN

Korea University Television Network의 약자로, 1997년 5월 2일 개국한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대외협력처 커뮤니케이션팀 산하의 중앙 TV방송국이다. 미디어관 B205호에 KTN의 기획실이, B206호에 KTN의 편집실이 위치해 있다.

‘상상 그 이상의 영상’을 모토로 개국 이래 고려대학교의 공식 방송국으로서 고려대학교 학생 및 다양한 시청자들을 위한 영상을 제작하고 있다.

2. 특징

KTN[1]미디어학부 학생들로만 이루어진 방송국[2]으로, 영상 제작에 특히 강점을 가진다. 미디어학부생만을 선발하기도 하고, ‘1인 PD제’를 통해 영상 전문 인력을 키워내고 있다.

영화, 예능, 다큐멘터리, 뮤직비디오, 아트 필름 등 다양한 장르의 영상을 높은 퀄리티로 제작하고 있다. 모션그래픽에도 특히 강점을 가져, 매년 ‘새내기 수강신청 가이드’[3] 영상을 모션그래픽으로 제작하고 있다.

2.1. 1인 PD제

1인 PD제는 말 그대로 국원 개인이 1인 PD가 되어 영상 제작 전반을 담당하는 제도이다. 1인 PD제를 통해 모든 국원에게 자유롭게 자신의 영상을 기획, 촬영, 편집 그리고 송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부서가 나뉘어서 영상 제작 과정을 분담하는 것이 아니라, 국원 개인이 자신이 제작하는 영상의 기획부터 촬영, 편집까지 모든 과정을 담당하기 때문에 국원 개인의 영상 제작 능력이 상당히 뛰어남을 알 수 있다.

1인 PD제라고 해서 반드시 혼자 영상을 제작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국원과 함께 제작할 수 있으며, 보통 1~3인 구성으로 영상을 제작한다. 국원들의 자유로운 영상 제작을 보장하는 만큼, 국원들은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다채로운 영상을 제작하고 있다.

2.2. 텐랑이

KTN의 마스코트 캐릭터이다. 고려대학교 방송국 3사 중 마스코트가 있는 방송국은 KTN이 유일[4]하다.
파일:텐랑이.png
텐랑이

모션그래픽에 강점을 가진 방송국인 만큼, 텐랑이를 이용해 모션그래픽 영상을 자주 만든다.
‘수강신청 가이드’ 영상에서 주로 등장하며, FM 소개 영상, 새터 오프닝 영상, 2025년 홍보영상 등에서도 텐랑이가 등장했다.
2025 고려대학교 새내기 수강신청 가이드

3. 방송국 활동

3.1. 수습 과정

매년 1학기, 신입생을 대상으로 리크루팅을 2회(3월 초, 5월 초)[5] 진행하고 있다.

선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차 서류(지원서) - 필기시험 - 대면 면접
수습 과정에서는 여러 차례의 필기시험 및 실기 평가를 거치게 된다.
필기시험에서는 강령, 장비, 프로그램 등에 대한 내용을 평가한다.
실기 평가는 1분 영상, 수습 실기, 수습 작품 3번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수습 작품부터는 송출이 가능해, KTN 유튜브에서 국원들의 수습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55기 수습작품[단편영화] 1년 전 오늘
[단편영화] 퍼펙트 드링크
[단편영화] 나란히 영
[단편영화] 은방울꽃
56기 수습작품[단편영화] 미정
[단편영화] 지고뜨는

해당 과정을 무사히 마치면 2학기에 정국원으로 승격되어 활동하게 된다.

3.2. 정국원

수습 국원 과정을 모두 마치면, 입국한 다음 학기(2학기)에 정국원으로 승격되어 활동하게 된다.

강령 상 정국원은 한 학기에 정규 영상 2개 이상을 제작, 국원으로 활동하는 3학기 동안 총 6개 이상의 정규 영상을 제작해야 명예 졸업이 가능하다.

2년 차 기수 정국원은 국장단 및 각 부서의 부장과 차장이 되어 운영 기수로 활동하게 된다.

3.3. 정기 회의

학기 중에는 매주 월요일 오후 7시에 미디어관 지하 2층 SBS 스튜디오에서 정기 회의를 진행한다. 방학 중에는 매주 월요일 오후 2시[6]에 미디어관 지하 2층 SBS 스튜디오에서 정기 회의를 진행한다.

정기 회의에서는 공지사항, 논의사항, 모니터링 등 방송국 운영과 행사 준비, 영상 제작에 필요한 각종 논의를 거친다.

3.3.1. 모니터링

영상 제작에 참여하는 국원은 반드시 3번의 모니터링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야 한다. 모니터링에 참여하는 국원은 대면 및 익명 문서를 통해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영상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피드백 과정이다.

기획서 모니터링: 영상 전반적인 내용, 기획 의도, 스토리보드 등을 전 국원에게 설명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세미 마스터 모니터링: 제작된 영상의 기본적 부분들을 확인하는 모니터링이다. 촬영본, 오디오, 그래픽 등 영상에 담긴 요소와 전반적인 흐름을 확인하며, 피드백을 바탕으로 다음 모니터링까지 수정한다.

마스터 모니터링: 완성본 제출 이전의 최종 모니터링으로, 완성 직전 오류나 보완해야 할 부분을 피드백하는 단계이다. 피드백 반영 후 최종본을 제출하게 된다.

3.4. 부서

영상 제작과는 별개로, 행정적인 업무를 위해 존재하는 부서이다. 국장단[7]을 제외한 모든 국원은 하나의 부서에 속해야 한다.

3.4.1. 교육부

2번의 리크루팅 및 수습 과정 전반을 담당하는 부서이다. 수습 국원 선발부터, 수습 국원에게 필요한 각종 교육과 시험을 주관하며 정국원 승격까지의 과정을 함께한다.

3.4.2. 기술부

장비를 점검 및 관리하는 부서이다. KTN 내부 장비뿐만 아니라 외부 장비 대여 등을 통해 각종 행사에 활용될 장비를 준비하는 것 또한 기술부에서 담당한다.

3.4.3. 기획부

방송국 내부에서 진행되는 행사를 주관하는 부서이다. MT, 봄소풍, 대잔치 등의 행사를 준비 및 진행한다. 또한 칭찬 사업 등을 통해 국원 간의 유대감과 친밀감 형성을 도모한다.

3.4.4. 대외협력부

교내 부서 및 단체, 외부 업체와의 협력 등 대외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이다. 협찬 사업 및 특별 협력 관계 유지 등 방송국 외부 사업을 주관한다.

3.4.5. 디자인부

온, 오프라인에서 활용하는 KTN의 디자인물을 제작하고 관리하는 부서이다. 더불어 KTN의 전반적인 디자인 능력 향상을 위해 국원들의 디자인물[8]에 피드백을 제공한다.

3.4.6. 홍보부

KTN의 플랫폼을 관리하고, 홍보를 진행하는 부서이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송출 플랫폼을 관리하고, 각종 행사 시기에 교내 이벤트[9] 등을 주관한다.

3.5. 정규 영상

KTN은 ‘1인 PD제’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국원들은 극, 예능, 다큐멘터리 등 장르와 형식에 제한 없이 자유롭게 영상을 직접 제작할 수 있다. 강령 상 국원 개인은 한 명의 PD로서 정규 영상을 제작할 의무가 있으며, 학기 당 2개 이상의 영상을 송출해야 한다.

3.5.1. 시리즈

2년 차 국원들은 본인의 정규 영상 중 하나로 시리즈를 제작해야 한다. 시리즈는 매년 겨울 방학 중 진행되는 정기 회의에서 그 내용과 형식을 결정한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는 ‘고려대학교 학과 소개 영상 IN&OUT’을 시리즈로 제작했다.
IN&OUT EP4. 사이버국방학과편

2024년부터는 ‘고대쩐당포’를 시리즈로 제작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어딘가에서 전당포를 운영하고 있는 ‘당포’[10]가 맡긴 물건을 찾으러 온 학생들과 수다를 떨며 정보를 제공하는 토크 예능이다.

2024년에는 응원단, 여울 등 교내 단체를 소개했다.
고대쩐당포 시즌1 EP3. 응원단 단장편

2025년부터는 고려대학교 학과를 소개하고 있다.
전당포를 운영하던 ‘(쩐)당포’가 모종의 이유로 전당포 운영을 그만두고 떠나며 사촌 동생인 ‘(쩡)당포’에게 자신의 전당포를 물려준다. 고등학생인 ‘(쩡)당포’[11]는 전당포를 맡은 뒤로 찾아오는 학생들에게 각종 학과에 대한 정보를 캐묻는다.
고대쩐당포 시즌2 EP1. 차세대통신학과편

4. 실무행사

4.1. 새내기 배움터

각 단과대학 별 새터(일명 새내기 새로 배움터)에서 상영될 영상을 제작한다. 새내기 입학 축전, 대연, FM 소개, 고뽕 충전 등 입학한 신입생들을 위한 영상을 주력으로 다룬다. 2022년도 입학 축전 영상에는 고려대학교 출신 김연아 선수가 출연한 적도 있다.
2025 고려대학교 FM 소개 영상

4.2. 응원전 (응원 OT, 합동응원전)

1학기와 2학기에 각각 한 번씩 진행되는 응원 OT와 합동응원전을 위한 실무를 진행한다. 신입생 위주의 행사인 응원 OT에서는 방송국 홍보 영상을 포함하여 FM 영상, 응원단 소개 영상 등을 제작해 전광판에 송출한다. 화정체육관에서 진행되는 행사 장면을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숏폼 콘텐츠를 송출하며, 응원가를 중심으로 현장을 기록한 스케치 영상을 제작한다.
[2025 고려대학교 3월 응원 OT 스케치] 25학번의 청춘, 고려대에서 개화하리라 🐯🌺

연세대학교와 함께 진행하는 합동응원전[12]에서는 행사 장면을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숏폼 콘텐츠를 송출한다. 또한 연세대학교 홍보팀 소속 기록영상단 YVAC과 협업하여 합동응원전 및 고연전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13]를 제작한다.
합응🐯🦅에서 다이어트로 퀸👑을 가리다 | 다이어트 퀸합응 (KTN X YVAC)

4.3. 4.18 구국대장정

1960년 4월 18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의거를 기념하여 매년 진행되는 행사인 4.18 구국대장정을 기록한다. 행진하는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현장을 생생하게 촬영하며, 현장을 기록한 스케치 영상을 제작한다. 특히 2024년에는 ‘꼬리의 꼬리를 무는 이야기’의 형식을 패러디하여 고려대학교 구국대장정의 의의를 설명한 영상을 제작했다.
고대의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4.18 구국대장정

4.4. 대동제

대동제 기간에 홍보 영상, 응원 주의 사항, 오프닝 영상 등을 제작해 무대 전광판에 상영한다. 대동제 기간 여러 부스와 주점 등의 행사를 즐기는 모습 또한 촬영해, 스케치 영상으로 제작한다.

또한 공식 방송국으로서 축제 무대 및 연예인 직캠을 촬영, 편집하여 업로드한다. 아티스트 당 최소 2곡에서 많게는 전곡까지, 고대 방송국 3사 중 가장 많은 양의 직캠 영상을 업로드하고 있다.

2022년도의 경우 잔나비의 민족의 아리아 영상이 106만 회의 조회수를 달성하기도 했다.
[4K 직캠] 민족의 아리아 - 잔나비(JANNABI) | 220525 고려대학교 대동제

2025년도의 경우 아이브 직캠 풀 버전이 49만 회의 조회수를 달성하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4K]250522 아이브 (IVE) Full Ver | 2025 고려대학교 석탑대동제 (REBEL HEART, IAM, etc)

4.5. 입실렌티

입실렌티 기간에 대연, 주의 사항 등의 CF 영상[14]을 제작해 방송제 시간에 무대 전광판에 송출한다. 응원, 무대, 푸드트럭 등 학생들이 입실렌티를 즐기는 모습을 스케치 영상으로 제작한다.

대동제와 마찬가지로 공식 방송국으로서 축제 무대 및 연예인 직캠을 촬영, 편집하여 업로드한다. 아티스트 당 최소 2곡에서 많게는 전곡까지, 고대 방송국 3사 중 가장 많은 양의 직캠 영상을 업로드하고 있다.

2022년도의 경우 싸이 직캠 풀 버전이 180만 회의 조회수를 달성하기도 했다.
[220527 고려대학교 입실렌티] 싸이 PSY_4K 직캠 Full ver.

4.6. 고연전

매년 2학기에 개최되는 고연전을 기록한다. 고연전 개최 전 스케치 코미디, 예능 등 여러 사전 콘텐츠를 제작해 송출하고, 고연전 이후 각 종목 별 클립과 하이라이트, 고연전 스케치 영상 등을 제작하여 매년 고려대학교의 경기 내용을 기록한다.
[2024 정기고연전] 8년만의 고연전 야구 승리! 정원진 완봉승 몰아보기 (2024.09.27)ㅣKTN SPORTS

4.7. 가을축제

총학생회, 동아리연합회, 애기능동아리연합회에서 주최하는 가을축제 무대 및 연예인 직캠을 촬영, 편집하여 업로드한다. 2024년 처음 가을축제 촬영을 시작하였으며 1년 차 국원들이 중심이 되어 촬영과 편집을 담당한다.

5. 주요 내부 행사

5.1. 영상제

매년 2학기[15] KTN에서 개최하는 대규모 영상 상영회이다. 정규 및 실무 영상과 별도로, 2년 차 정규 국원이 연출로서 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상영한다. 다양한 외부 업체 및 안암 상권의 협력이 이루어진다.

영상제 작품 이외에도 1년 차 국원들이 제작하는 CF 영상, 오프닝/엔딩 영상, 브릿지 영상, 메이킹 영상 등 다양한 실무 영상들이 동반되어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2025년 11월 21일, KTN의 25번째 영상제 <틈>이 개최될 예정이다.

5.2. 오픈스튜디오

매년 1학기 개강 전후로 열리는 행사로, 고려대학교 미디어관 지하 2층 SBS 스튜디오에서 진행된다.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KTN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행사이다. 카메라, 붐 마이크, 짐벌, 조명 등 KTN에서 사용하는 장비들을 직접 체험해 보고, 조별로 레크리에이션을 진행하며 미디어학부 신입생들의 KTN에 대한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2025 KTN 오픈스튜디오 스케치

5.3. 수습 작품 시사회

수습 국원들이 제작한 수습 작품을 상영하는 행사이다. 정기 회의 이후 모든 국원이 참석하여 수습 작품 팀 별 작품을 감상하고, 수습 국원에서 정규 국원으로 승격한 국원들을 축하해 주는 시간을 가진다. 상영되는 수습 작품은 KTN 공식 유튜브에서 라이브로도 송출된다.

5.4. 대잔치

매년 12월 종강 무렵 KTN을 졸업한 명예 국원 선배님들을 초청하여 KTN의 국원 및 운영 방안, 예산 등을 소개하고 선후배 간 친목을 다지는 행사이다. 주로 SBS 스튜디오에서 국장단의 보고 이후, 뒤풀이 장소로 이동하여 레크리에이션을 진행하고 상품을 배부하는 등 KTN 현 국원과 명예 국원의 친목을 도모한다.

5.5. MT

KTN은 1년간 여름 MT, 영상제 MT, 굿바이 MT까지 총 3번의 MT를 진행한다. 일반적인 MT와 달리[16] 여러 업무들로 지친 국원들이 추억을 쌓고 대화를 나누기 위한 친목을 도모하는 성격이 강하다.

여름 MT는 리크루팅 이후 수습 국원을 포함하여 모든 국원이 참석하는 MT이다. 이름에 걸맞게 주로 바다가 있는 장소에서 진행하며, 기존 MT의 인식과 달리 ‘힐링’이라는 경향이 강한 편이다.

영상제 MT는 영상제를 마치고 국원들 간 회포를 풀기 위한 목적의 MT로 비교적 무박으로 진행되며, 가까운 장소로 선정하는 편이다. 다른 MT보다 가벼운 느낌으로, 레크리에이션 중심으로 진행되며 수습 국원들의 수습 작품 시사회와 정국원들의 영상제가 끝난 시기에 진행되는 MT로서 그간 국원들 사이에서 쌓인 감정을 진솔하게 풀어내고 더욱 가까워지는 기회가 된다.

굿바이 MT는 2년 차 정국원이 명예졸업 후 마지막으로 참여하는 MT로 보통 2박 3일로 진행된다. 운영 기수가 된 1년 차 기수와 명예 국원이 된 2년차 기수가 함께 마지막으로 회포를 풀고 작별 인사를 나누는 시간이 된다.

5.6. 봄소풍

홀수기 수습 국원이 입국한 이후 5월에 진행하는 행사로, 보통 한강[17]에서 레크리에이션을 진행하며 친해지는 시간이다. 기존 명칭은 봄 MT였으나 가벼운 행사의 성격으로 변하면서 봄소풍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6. 협력관계

고려대학교 성우 동아리 온보이싱과 2018년부터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수강신청 가이드 영상에서의 ‘텐랑이’ 목소리[18] 더빙, 각종 다큐멘터리 내레이션 등 전문적인 성우 인력이 필요한 영상에서 온보이싱과의 협력 관계를 통해 퀄리티 높은 영상을 제작한다.

연세대학교 홍보팀 소속 기록영상단 YVAC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합동응원전에서 협업콘텐츠를 제작하곤 한다.

7. 여담

미디어학부 교수님들 중 KTN 출신이 곳곳에 포진해있다. 교수님들과 사담 나누다가 ‘너 몇 기야’를 당하는 식겁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매주 정기 회의 전 기획실, 편집실, SBS 스튜디오를 청소하는 ‘그린 프로텍터’ 활동을 진행한다.
줄여서 ‘그프’라고 부르는데, 어느 순간부터 잔반 없이 밥을 깨끗하게 다 먹는 것 또한 ‘그프했다’고 부르기 시작했다.

편집실에 국원들의 기록을 남기는 ‘벡터스코프’가 있다. 함께 쓰는 일기처럼, 본인의 생각과 경험 등을 적어두는 곳이다. 벡터스코프는 다 작성하면 새것으로 바꾸고, 예전의 벡터스코프는 편집실 책장에 모아둔다. 1997년 개국 당시 벡터스코프부터 남아있을 정도로 보관이 잘 되어 있다.

기획실에 소품으로 존재하던 마네킹에게 ‘케승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돌봐왔으나, 2025년 기획실을 리모델링하며 사라졌다… 현재는 녹음실에 있는 강아지 인형에게 ‘텐뭉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심신의 안정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1] 줄여서 ‘케텐’이라고 부른다.[2] 과거 정경학부생도 모집한 적 있으나, 현재는 미디어학부생만을 선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언론학부(미디어학부 전신), 정경학부, 미디어학부생만으로 이루어져왔다.[3] 고려대학교 새내기들을 위한 수강신청 안내 영상이다. 수강신청을 하는 방법부터, 개편사항, 주의 사항, 꿀팁 등을 담고 있다. 수강신청 사이트에 해당 영상 링크가 연결되어 있어 매년 새내기들의 수강신청을 돕고 있다.[4] 그만큼 국원들 또한 텐랑이에 애정이 커서, 매년 텐랑이 인형탈을 제작하자는 의견이 나오곤 한다.[5] 국원으로서 활동 기간 및 명예졸업 일정을 공통적으로 맞추기 위해, 타 방송국과 달리 2학기 아닌 1학기에 리크루팅을 2회 진행하고 있다.[6] 방학 전 정기 회의에서 방학 중 정기 회의 시간을 정한다. 25년 2학기 기준으로 오후 2시에 진행하고 있다.[7] 국장과 부국장[8] 영상 썸네일, 인스타그램 게시물 등[9] 새내기 이벤트, 입실렌티 이벤트, 고연전 이벤트, 영상제 이벤트, 온라인(인스타그램) 이벤트와 오프라인 홍보부스를 진행한다.[10] 전당포를 운영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사실 전당포 운영에는 별 관심이 없는 듯하다. 워낙 수다 떨기를 좋아해 물건 찾으러 온 학생들을 한참 붙잡고 수다를 강요한다. 특히 사랑 이야기를 좋아한다.[11] 이전 당포와 마찬가지로 수다를 좋아하고, 특히 사랑 이야기를 좋아한다. 연애 밸런스 게임이 취미이자 특기.[12] 1학기 고려대학교, 2학기 연세대학교에서 진행된다.[13] 제작된 콘텐츠는 연세대학교 공식 유튜브에도 업로드된다.[14] 특히 대연 CF의 경우 현장 반응이 좋다. 2025년에는 SNL의 ‘직장인들’을 패러디한 ‘고대생들’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 [2025 KTN 대동제 입실렌티 방송제] 고대생들 | 퇴근 시간에 날아든 치킨[15] 매번 9월쯤에 진행되어 왔으나, 일정 상의 문제로 24년과 25년에는 11월에 진행되었다.[16] 술 또한 단순한 소주, 맥주가 아니라 ‘케텐주’를 제조해 마신다. 상당히 맛있어서 술이 약한 사람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 레시피는 기획부의 기밀사항이다.[17] 날씨로 인해 2024년과 2025년에는 실내에서 진행하였다…[18] 고려대학교에 입학하는 거의 모든 새내기가 시청하게 될 영상이므로, 온보이싱 내에서도 ‘텐랑이’ 더빙에 대한 관심이 크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