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10:34:08

고려 거란 전쟁/등장인물/거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려 거란 전쟁/등장인물

파일:고려 거란 전쟁 로고 화이트.svg

[ 등장인물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676767,#010101><bgcolor=#454545><color=#ffffff><-3> ||
파일:고려거란전쟁_현종_neat_ver.jpg
파일:고려거란전쟁_강감찬_neat_ver.jpg
파일:고려거란전쟁_양규_neat_ver.jpg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고려·거란·기타 국가) 문서 참고.
[ OST ]
||<tablewidth=100%><tablebgcolor=#676767><tablecolor=#ffffff><width=25%>
파일:고려 거란 전쟁 OST Part 1.jpg
||<width=25%>
파일:고려 거란 전쟁 OST Part 2.jpg
||<width=25%>
파일:고려 거란 전쟁 OST Part 3.jpg
||<width=25%> ||
[[고려 거란 전쟁/음악#s-2.1|
Part 1

비상]]
서도밴드
2023. 12. 15.
[[고려 거란 전쟁/음악#s-2.2|
Part 2

폭풍]]
김장훈
2023. 12. 29.
[[고려 거란 전쟁/음악#s-2.3|
Part 3

적동
(붉은겨울)
]]
안예은
2024. 01. 18.
[[고려 거란 전쟁/음악#s-2.4|
Part 4

그 겨울에
나는
]]
IYAGI (이야기)
2024. 02. 03.
그 외 오리지널 스코어는 음악 문서 참고.
[ 관련 문서 ]
||<tablebgcolor=#454545><tablewidth=100%><width=1000> 방영 목록 ||<width=25%> 명대사 ||<width=25%> 역사 탐구 ||<width=25%> 평가(논란) ||

1. 개요2. 황실3. 관료4. 타초곡기
4.1. 나골4.2. 약탈병 14.3. 약탈병 2

1. 개요

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의 등장인물 중 거란 사람들을 정리한 문서. 등장인물 중에서 크게 중국식 성을 가지고 중국식 관복과 관모를 착용한 한족 관료와 거란식 성을 가지고 변발과 거란 전통의상을 착용한 거란족 관료로 나누는데, 이는 요나라 특유의 남면관•북면관제로 한족을 주현제로 통치하는 이원적 통치 구조와 문화를 묘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 황실

2.1. 야율융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야율융서(고려 거란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70707><colcolor=#fff> 야율융서
耶律隆緒
파일:고거전 야율융서 투구.jpg
배우
김혁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거란에게 고려는, 송나라를 완전히 정복하기 위해 반드시 굴복시켜야 하는 나라였다. 어린 나이에 거란제국의 황제가 된 야율융서는 친히 4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략하기 위해 압록강을 건넌다.

2.2. 승천태후

<colbgcolor=#070707><colcolor=#fff> 승천태후
承天太后
파일:고거전 승천태후.jpg
배우
손혜경 扮

원작 소설 및 드라마에서 야율융서가 친정을 하여 고려를 침공한 이유 중 하나로 나오는데, 그가 살아 생전 진심으로 사랑했으나 그녀의 허락 없이는 독단적으로 큰 일을 할 수 없었기에 그가 넘을 수 없는 벽이었고, 이 전쟁이 그녀의 그늘을 벗어나기 위한 것임이 강조된다.[1] 또한 원작에서는 한덕양을 예로 들며 승천태후가 정치나 군사 문제보다도 남자를 보는 눈과 다른 대신들의 의견을 묵살하면서까지 그들을 추진하는 능력이 뛰어났다고 설명한다. 원작 시점에서는 이미 사망했기에 언급만 되지만, 드라마에서는 2회에서 몸져 누운 상태로 나온 후 4회에서 사망한다. 고려는 승천태후가 사망하자 거란이 고려의 내부 정보를 수집할 겨를이 없으리라고 착안하여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현종의 책봉을 받아내 전쟁을 막으려 전방위로 노력하지만, 이미 고려 정벌 의지를 굳힌 야율융서가 그 와중에도 고려의 내부 정황을 파악하여 명분을 만들고는 삼년상을 멈추고 사신 한기를 보내 고려에 공식적으로 선전포고를 하며 무위로 돌아가고 만다.

3. 관료

3.1. 이름이 확인된 관료

3.1.1. 소배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배압(고려 거란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70707><colcolor=#fff> 소배압
蕭排押
파일:고거전 소배압02.jpg
배우
김준배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현종에게 현명하고 영민한 신하 강감찬이 있다면, 야율융서에게는 전장과 상대를 꿰뚫고 있는 소배압이 있다. 고려와 거란의 늙은 두 장군은 귀주대첩에서 다시 마주한다.

3.1.2. 야율분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야율분노(고려 거란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70707><colcolor=#fff> 야율분노
耶律盆奴
파일:고거전 야율분노 투구.jpg
배우
이상홍[2]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급급한 승리에 미쳐 삼수채에서 고려 진영을 급습하지만, 끝내 고려를 항복시키지 못하게 되는 근원을 만드는 인물.

3.1.3. 야율적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야율적로(고려 거란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70707><colcolor=#fff> 야율적로
耶律敵魯
파일:고거전 야율적로01.jpg
배우
박정환 扮

3.1.4. 한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기(고려 거란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70707><colcolor=#fff> 한기
韓杞
파일:고거전 한기.jpg
배우
김구택[3]

3.1.5. 마수

<colbgcolor=#070707><colcolor=#fff> 마수
馬壽
파일:고거전 마수01.jpg
배우
강석원 扮
8회에 노전과 함께 통주성에 항복 사절로 왔지만, 김훈과 최질에 의해 제압되었다가 13회에 양규에 의해 풀려나 개경의 거란 진영으로 돌아왔다.[4] 드라마 방영분이나 넷플릭스 내의 정식 자막으로 나오지 않는 인물 중에서 유일하게 웨이브의 한국어 해설 자막에서 배역이 고유 이름으로 등장하는 유일한 케이스이다. 21회에서 자주색 관복을 입고 말을 타면서 압록강을 넘는 모습으로 다시 등장했는데, 친조를 약속한 기간이 넘었다며 따지는 모습이다.

3.2. 이름이 확인되지 않은 관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려 거란 전쟁/등장인물/거란/이름이 확인되지 않은 관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타초곡기

아래 세 인물들은 무기로 갈퀴를 들고 다니는데, 이 점 때문에 팬들에겐 종종 '거블린'이나 '효자손 트리오'(...)라는 애칭으로 불리곤 한다. 참고로 이들은 시청자들에게 '거란의 야만성을 보여주는 캐릭터'로 구성되었는데, 시종일관 괴성을 지르며 원숭이처럼 펄쩍펄쩍 뛰어다니고 과장되게 눈을 굴리는 등 전형적인 야만족 클리셰 연기를 보여주었다.[5] 정확히 이들의 정체는 '타초곡기(打草穀騎)'라고 하여 거란군이 전쟁을 벌일 때 해당 지역에서 사람이나 물자를 가리지 않고 약탈하는 존재이다. 이들은 드라마에 전쟁 장면마다 약탈하는 모습으로 등장했고, 후반 귀주대첩 당시에도 서전에 흙먼지를 일으키고 이후 소배압의 명에 앞으로 돌격하다가 각성한 고려군의 검차 위력에 깔려 전멸당했다.

4.1. 나골

<colbgcolor=#070707><colcolor=#fff> 나골
파일:고려거란전쟁_약탈병02.jpg
배우
연성빈 扮

4.2. 약탈병 1

<colbgcolor=#070707><colcolor=#fff>
파일:고려거란전쟁_약탈병01.jpg
배우
고한민 扮

실질적으로 타초곡기의 리더 포지션을 보여주는 캐릭터로, 13회에서 전쟁이 길어지자 빨리 약탈물을 분배해 주고 집에 보내 달라는 약탈병들이 시위를 벌일 때도 맨 앞에 있었으나 소배압이 이들을 상대하다가 오히려 넘어진 보초병 하나를 본보기로 베어 죽이자 굽실거리며 도망치듯 원대복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4.3. 약탈병 2

<colbgcolor=#070707><colcolor=#fff>
파일:고려거란전쟁_약탈병03.jpg
배우
김경희 扮


[1] 특히 원작에서 강조를 사로잡은 후 그가 죽게 되자 개인적으로 멋진 기개라고 높이 평가하면서도 드디어 어머니의 그늘에서 벗어나 진정한 황제로서의 첫 결정적인 대승을 거두었다며 하늘을 날아갈 것만 같은 기분이 되었다고 묘사된다.[2] 실미도에서는 훈련병 재용,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여진족 추장, 안시성에서는 이도종을 연기했다. 또한 정도전 15회에서 남은에게 곤장을 맞는 권문세가댁 마름을 맡았다.[3] 천군에서 니탕개를, 대풍수에서 이지란 역을 맡았다.[4] 원작에서는 통주성에서 잡힌 후 돌아갔다는 언급이 따로 없다.[5] 거란은 이 시기 한족 문물을 받아들여 어느정도 문명국이 되어있었는데, 이렇게 야만족 티를 내는 건 말이 안되는 일이다. 징발된 거란족 계통의 사내들일 수도 있지만 실위, 조복 등 다른 이민족 사내들일 가능성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