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중앙부3. 동부
3.1. 대운동장3.2. 3호관 교수연구동3.3. 5호관3.4. 18호관 종합강의동3.5. 6호관
4. 서부3.5.1. 건강증진센터
3.6. 7호관3.6.1. 7호관 별관
3.7. 8호관3.8. 9호관3.9. 바람의 언덕3.10. 풋살장4.1. 13호관 학생회관4.2. 14호관 철도아카데미4.3. 17호관 BLS센터4.4. 스포츠키움관 (지성관)4.5. 11호관4.6. 12호관 창의융합교육센터4.7. 22호관 국제교류교육원4.8. R&DB센터4.9. 종합체육관4.10. 산학교육관4.11. 자율주행차융합기술연구소4.12. KIUm 스포츠파크4.13. 버스정류장
5. 생활관1. 개요
| 경일대학교 하양캠퍼스 전경 |
경일대학교는 개교부터 2번의 이사를 거쳐 현재 자리잡은 하양캠퍼스는 3번째 캠퍼스이다.
처음 개교 당시 위치는 신암동 294번지, 지금의 동대구역 자리였으나 동대구역 건설을 위해 1968년 효목동 55번지로 교사를 한 차례 이전하였다. 효목동 캠퍼스는 1994년 하양 이전까지 10개 동으로 26년 간 수업하였고, 지금은 진로이스트타운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현재의 하양캠퍼스는 1994년에 대대적인 공사를 벌여 이전한 것으로, 그 당시 효목동 캠퍼스 건물들이 노후화가 심하기도 했고 시내에 있던 학교들이 시외로 나가는 것이 붐이었다고 한다. 캠퍼스의 전체적인 질서를 위해 건축과에서 마스터플랜을 짜고 일반설계에 들어갔는데, 이 때 설계를 맡은 교수들과 건축본부로부터 도서관을 캠퍼스의 중심에 두는 마스터플랜이 정해졌다고 전해진다. 교내 대부분의 건물이 이 때 한번에 지어진 건물들이라서 건물들의 양식이 거의 유사하고 2000년대 이후 지어진 목련관, 일청관 등에 비해 특색 없는 외관을 띠고 있다. 그래도 여느 대학들이 그렇듯이 주기적으로 외부 재도색을 하기도 하고, 실내 교육시설도 리모델링을 하면서 캠퍼스 전체적으로 낙후되지는 않고 있다.
하양캠퍼스는 금호강변 대경로에서 약 500m 안으로 들어간 야트막한 구릉에 위치해 있다. 정문부터 본관까지는 완만한 오르막이 있고, 캠퍼스 안은 거의 평지이다. 중앙의 본관과 도서관을 중심으로 도로가 로터리처럼 둘러싸고 있다.[1] 도서관 북서쪽에 식당과 편의시설이 있는 학생회관이 있고, 그 주변에 BLS센터 17호관[2], 철도학과 건물인 14호관이 있다. 그 뒤로는 기숙사인 지성관, 사진학과 건물인 11호관, 창의융합센터 12호관, 국제교육원 22호관, 교내입주기업 건물인 R&DB센터가 순서대로 자리해 있다.
반대쪽 동쪽 영역의 건물들은 원래 이름이 제 1, 2, 3, 4 공학관이었으나 지금은 공대랑은 상관 없는 간호, 응급구조, 미디어학과 등도 들어가 있어 공학관이라는 이름은 잊혀진 지 오래이다.
남동쪽 끝에 대운동장이 위치하고, 그 위로 교수연구동인 3호관, 인문사회/종합강의동인 5호관과 18호관이 있다. 보통 교양수업들은 이 쪽에서 듣게 된다.
학교 동쪽 끝의 외곽도로에는 벚나무가 심어져 있는데 이 때문에 러브로드라고 불리우며 벚꽃 시즌이 되면 꽃이 만개하며 부호리 최고의 사진스팟으로 변한다. 도로 양변으로 벚나무 꽃가지가 터널처럼 드리워진 풍경이 장관이라 학생, 교직원, 지역주민 불문하고 인기가 좋아 매년 봄 벚꽃축제를 열고 있다.
반면 기숙사 올라가는 언덕은 경사와 길이가 제법이라 오래전부터 학생들에게 ㅅㅂ고개라고 불려 오고 있다.
2022년부터 시내버스들이 학교 안으로 들어오도록 연장되어 종합체육관 맞은 편 정류장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하양읍, 경산 시내로 나갈 수 있다.[3]
거의 모든 건물 옥상에 태양광 발전패널을 설치했다.
2. 중앙부
2.1. 정문
| 경일대학교 정문 |
이어서 정문 좌측에 표지석을 새로 만들고 주변을 정리했다. 문주 철거로 인해 시야가 시원하게 트여 반응은 좋은 편이다. 우측에 아이엠뱅크 ATM이, 좌측 표지석 너머에 짬뽕집이 입주해 있는 식당 건물이 있다.
정문에서 직진해 올라가면 본관, 도서관, 여러 강의동이 있는 교내 중심부가 나오고, 좌회전하면 기숙사, 야구장, 체육관 등 서쪽부분으로 이어진다. 894, 809 등 캠퍼스 내까지 들어가는 버스들은 이쪽으로 들어간다.
2.2. 1호관 본관
| 경일대학교 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3층 |
| 학부(과) 및 부서 | 본부 행정부서, 총장실, 법인사무국 등 |
2.3. 2호관 중앙도서관
| 경일대학교 중앙도서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6층, 지하 1층 |
| 부서 및 시설 | 학술정보원, 학생서비스센터, 학생처, 서점, 복사실, 예비군연대 등 |
원래는 2층에 다른 대학 도서관처럼 출입 게이트가 있었는데, 리모델링을 하면서 사라졌다.
2.3.1. 도서관 강당
| 경일대학교 도서관 강당 |
3. 동부
3.1. 대운동장
| 경일대학교 대운동장 | |
| <colbgcolor=#a40e17> 준공 | 2022년 |
| 규모 | 164m x 112m (18,368㎡) |
| 학부(과) 및 부서 | 축구부, 미식축구부, 럭키스, 뮤즈 등 |
밴드부인 뮤즈와 럭키스 동방이 운동장 스탠드 아래에 있어 합주하는 소리를 자주 들을 수 있다.
가끔 운동장에서 드론 조종 교육을 하므로 보행 시 주의가 필요하다. [5]
3.2. 3호관 교수연구동
| 경일대학교 3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3층, 지하 1층 |
| 학부(과) 및 부서 | 교수연구실, KIU스포츠단, 디지털포렌식수사센터 |
3.3. 5호관
| 경일대학교 5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4층 |
| 학부(과) 및 부서 | 스포츠재활의학과, 스포츠복지학과, 스포츠지도학과, 스포츠융합학부, 축구학과, 경찰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
1층 끝에 강당을 가지고 있어 사이버강의 시험을 이곳에서 많이 치고, 학과 행사나 특강을 하는 곳이다. 3호관과 구름다리로 연결되어 있는데 교수님들이 많이 오간다.
3.4. 18호관 종합강의동
| 경일대학교 18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9년 |
| 규모 | 지상 4층 |
| 학부(과) 및 부서 | 만화애니메이션학부, 디자인학부, 뷰티학과, 항공서비스학과 |
3.5. 6호관
| 경일대학교 6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4층, 지하 1층 |
| 학부(과) 및 부서 |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
3.5.1. 건강증진센터
6호관과 7호관 사이에 있다. 보건실 같은 역할을 하고 있어서 학교에서 갑자기 아프거나 다쳤을 때 가면 된다. 교내시설인 만큼 재학생은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학과 행사 때 필요한 구급약품도 빌려 주고 있고 그 외에도 인바디 검사도 해 주고 있다.3.6. 7호관
| 경일대학교 7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4층 |
| 학부(과) 및 부서 | 간호학과, 응급구조학과,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
3.6.1. 7호관 별관
| 경일대학교 7호관 별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3층 |
| 학부(과) 및 부서 | 취업처,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
취업처 사무실과 학생상담센터에서 쓰는 건물이다. 취업처에서 취업진로상담을 포함해서 현장실습이나 인턴, 몇몇 특강 같은 업무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종종 갈 일이 있다. 상담센터에서는 매달 바뀌는 여러 가지 상담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외부에서 돈 주고 받아야 하는 심리상담 같은 걸 재학생은 무료로 받아볼 수 있다.
3.7. 8호관
| 경일대학교 8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4층, 지하 1층 |
| 학부(과) 및 부서 | 소방방재학부, 간호학과 |
3.8. 9호관
| 경일대학교 9호관 | |
| 규모 | 지상 4층 |
| 학부(과) 및 부서 | 건축학과, 건축토목공학과, 미디어크리에이터학과, 부동산지적학과 |
3.9. 바람의 언덕
| 경일대학교 바람의 언덕 |
3.10. 풋살장
| 경일대학교 풋살장 |
4. 서부
4.1. 13호관 학생회관
| 경일대학교 학생회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3층 |
| 입주시설 | 학생식당, 카페테리아, 카페, 동아리방, 총학생회, 신문사, 편의시설 등 |
1층에는 식판에 배식하는 카페테리아,[6] 김밥, 우동, 덮밥, 국밥 등을 파는 학생식당이 왼쪽에 위치해 있고, 커피 등 음료와 토스트를 파는 카페, 파스타, 필라프를 파는 서가네쿡,[7] 세븐일레븐 편의점이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그 밖에는 우체국과 대구은행 365코너가 있다.
2층에는 안경점, 열쇠집 등의 편의시설이 있고 백운면이라는 국수집이 복도 끝에 있다. 총학생회와 총동아리 학회실도 이곳 2층에 있다.
3층에는 각종 동아리방들이 자리한다.
4.2. 14호관 철도아카데미
| 경일대학교 14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3층 |
| 학부(과) 및 부서 | 철도학부, 철도아카데미 |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KIU철도아카데미}}}에 대한 내용은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KIU철도아카데미: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원래는 제2학생회관이라는 이름으로 동아리방들이 이곳에 있었는데, 2019년에 철도아카데미 설립을 하면서 동아리방들이 학생회관으로 이사 가고 14호관은 철도학부에서 쓰게 되었다.
국토부 인가를 받아야 운영할 수 있는 철도아카데미 답게 우수한 철도차량 운전 시뮬레이터들이 설치되어 있고, 그 외에도 컴퓨터 실습실과 강의실들이 있다. 14호관 뒤의 잔디밭에는 벤치와 휴식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4.3. 17호관 BLS센터
| 경일대학교 17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6년 |
| 규모 | 지상 3층 |
| 학부(과) 및 부서 | 사진영상학부, 게임콘텐츠학과 |
4.4. 스포츠키움관 (지성관)
| 경일대학교 스포츠키움관 |
4.5. 11호관
| 경일대학교 11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2층, 지하 1층 |
| 학부(과) 및 부서 | 사진영상학부 |
4.6. 12호관 창의융합교육센터
| 경일대학교 12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4년 |
| 규모 | 지상 2층 |
| 시설 | VR/AR실습실, 캡스톤실, 드론스포츠단, 미디어센터 등 |
4.7. 22호관 국제교류교육원
| 경일대학교 22호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2001년 |
| 규모 | 지상 4층, 지하 1층 |
| 학부(과) 및 부서 | 국제교육원, 국제교류원 |
지하에 강당과 사진과에서 쓰던 스튜디오가 1곳 있다.
4.8. R&DB센터
| 경일대학교 R&DB센터 | |
| <colbgcolor=#a40e17> 준공 | 2006년 |
| 규모 | 지상 4층 |
4.9. 종합체육관
| 경일대학교 종합체육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2002년 |
| 규모 | 지상 2층 |
| 학부(과) 및 부서 | 스포츠재활의학센터, 스포츠지도학과, 피트니스산업학부, 태권도학과 |
평일에는 스포츠 전공 및 교양수업을 하고, 태권도부와 배구부 훈련이 있는 곳이다. 그 외 시간에는 학생들도 사용신청을 하고 쓸 수 있다. 주말에 자주 대관을 하여 외부 행사를 하기도 한다.
4.10. 산학교육관
| 경일대학교 산학교육관 |
4.11. 자율주행차융합기술연구소
큰 차고 같은 건물로 자율주행, 자동차부품 관련 부서들이 사용 중이다. 자율주행 기술을 연구하는 교수기업인 a2z가 이곳에 주소를 두고 있다.4.12. KIUm 스포츠파크
| 경일대학교 KIUm 스포츠파크 | |
| <colbgcolor=#a40e17> 준공 | 2025년 |
| 규모 | 지상 2층, 10,489㎡ |
지하 1층에는 444㎡ 규모의 무도 종목 전용공간인 ‘KIUm Martial Arts Hall’이 들어섰다. 이곳은 태권도학과(태권도부)와 주짓수전공(주짓수부) 선수들의 훈련장으로 사용된다. 이 외에 402㎡ 규모의 실내 야구훈련장과 탈의실, 보관실 등 부대시설도 함께 마련되어 전천후 훈련이 가능하다.
4.13. 버스정류장
종합체육관 건너편에 위치해 있다. 2022년에 처음 생겨서 대구/하양·영천 방면 통학편의가 많이 좋아졌다. 894, 809, 818-1, 진량1, 진량2, 하양1, 와촌1, 와촌2 버스를 이곳에서 타고 내릴 수 있다.5. 생활관
5.1. 일청관
| 경일대학교 일청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2014년 |
| 규모 | 지상 15층, 지하 1층, 266실 |
5.2. 목련관
| 경일대학교 목련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2008년 |
| 규모 | 지상 9층, 지하 1층, 남자 98실, 여자 60실 |
5.3. 웅비관
| 경일대학교 웅비관 | |
| <colbgcolor=#a40e17> 준공 | 1999년 |
| 규모 | 지상 4층, 지하 1층, 120실 |
5.4. 피트니스센터
| 경일대학교 피트니스센터 |
[1] 그래서 교내 주도로가 일방통행인데 처음 와보는 운전자들이 역주행을 하는 광경을 가끔 볼 수도 있다.[2] 아이맥 강의실, PC 강의실, 프린팅 실습실 등이 있는데 주로 사진학과에서 쓰고 있다.[3] 안심 방향으로 가려면 1호선 부호역을 이용하거나 부호역 건너의 경일·호산대학교 버스 정류장에서 급행5번, 802번, 814번, 818번, 55, 555번을 이용해야 한다.[4] 전광판이 10년 넘게 24시간 켜져 있어 고장날 만도 했다. 정문 앞은 밤에도 상당히 밝았고 주변 원룸들까지 빛이 들기도 했다.[5] 1종 무인멀티콥터 기체라서 굉장히 크고 출력도 강하다.[6] 교직원 식당 같은 분위기지만 이용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7] 원래 서가앤쿡이었는데 계약이 만료됐는지 언젠가부터 이름이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