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18:04:17

게오르크 5세

파일:하노버 왕조 문장.png
하노버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91919>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게오르크 3세 게오르크 4세 빌헬름 4세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게오르크 5세
왕비 }}}}}}}}}
<colbgcolor=#87cefa><colcolor=#000000> 하노버 왕국 하노버 왕조 제5대 국왕
게오르크 5세
Georg V
파일:Georg_V.(Hannover)_1861_(1).jpg
이름 독일어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카를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Georg Friedrich Alexander Karl Ernst August)
영어 조지 프레더릭 알렉산더 찰스 어니스트 어거스터스
(George Frederick Alexander Charles Ernest Augustus)
출생 1819년 5월 27일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사망 1878년 6월 12일 (향년 59세)
프랑스 제3공화국 파리
재위 하노버 왕국의 국왕
1851년 11월 18일 ~ 1866년 9월 20일
배우자 작센알텐부르크의 마리 (1843년 결혼)
자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프리데리케, 마리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어머니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프리데리케 여공작
종교 루터교회
서명 파일:게오르크 5세 서명.svg
1. 개요2. 가족관계
2.1. 조상2.2. 자녀

1. 개요

하노버 왕국의 마지막 국왕. 빅토리아 여왕의 친사촌[1]이기도 하다.

하노버의 4대 국왕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2]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프리데리케 여공작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51년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가 사망하자 왕이 되었다. 왕호를 보면 알겠지만 게오르크 5세(Georg V)를 영어로 하면 조지 5세(George V)다. 만약 영국이 살라카법으로 인해 왕위가 빅토리아 여왕이 아니라,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쪽으로 넘어왔다면 영국의 조지 5세라고 불렸을 것이다. 1828년 어린 시절 질병으로 한쪽 눈을 잃었고, 1833년 사고로 다른 쪽 눈을 잃었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당시 오스트리아의 편을 들었고 결국 이종사촌 형인 빌헬름 1세[3]가 국왕으로 재위하고 있는 프로이센 왕국에게 하노버 왕국이 통째로 합병되면서 나라가 멸망한다. 이후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왕위 좀 되찾아달라고' 호소하고 다녔지만 당연히 씨알도 안먹혔다.[4] 그래도 영국의 왕자이기도 해서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컴벌랜드와 테비엇데일 공작위는 유지했다. 1878년 사망했다.

2. 가족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노버 왕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노버 왕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노버 왕조#|]][[하노버 왕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게오르크 5세
(Victoria)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Ernest Augustus, King of Hanover)
조지 3세
(George III)
웨일스 공 프레더릭
(Frederick, Prince of Wales)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아우구스타 공녀
(Princess Augusta of Saxe-Gotha-Altenburg)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샤를로테
(Charlotte of Mecklenburg-Strelitz)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카를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공작
(Duke Charles Louis Frederick of Mecklenburg-Strelitz)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엘리자베트 알베르티네 공녀
(Princess Elisabeth Albertine of Saxe-Hildburghausen)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프리데리케
(Frederica of Mecklenburg-Strelitz)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카를 2세
(Charles II, Grand Duke of Mecklenburg-Strelitz)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카를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공작
(Duke Charles Louis Frederick of Mecklenburg)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엘리자베트 알베르티네 공녀
(Princess Elisabeth Albertine of Saxe-Hildburghausen)
헤센다름슈타트의 프리데리케 공녀
(Princess Friederike of Hesse-Darmstadt)
헤센다름슈타트의 게오르크 빌헬름 공자
(Prince George William of Hesse-Darmstadt)
라이닝겐닥스부르크팔켄부르크의 마리아 루이제 알베르티네 여백작
(Countess Maria Louise Albertine of Leiningen-Dagsburg-Falkenburg)

2.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자녀
1남 하노버의 왕세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Ernest Augustus, Crown Prince of Hanover)
1845년 9월 21일 1923년 11월 14일 덴마크의 티라 공주
슬하 3남 3녀[5]
1녀 파벨라밍겐 남작부인 프리데리케 공주
(Princess Frederica, Baroness von Pawel-Rammingen)
1848년 1월 9일 1926년 10월 16일 알폰스 폰 파벨라밍겐 남작
슬하 1녀
2녀 하노버의 마리 공주
(Princess Marie of Hanover)
1849년 12월 3일 1904년 6월 4일

[1] 빅토리아 여왕의 아버지 에드워드 어거스터스와 게오르크의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가 친형제간이다.[2] 조지 3세의 5남으로 게오르크 역시 조지 3세의 친손자로서 영국의 왕족으로 분류되었다. 참고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의 영국 작위는 컴벌랜드와 테비엇데일 공작으로 게오르크는 아버지의 사후 이 작위도 상속받았다.[3] 이모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의 차남.[4] 일단 왕조가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로 교체된 대영제국부터가 프로이센 왕국과 혼맥을 맺었다.[5]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비 알렉산드라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