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8 14:17:42


공경할 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ただ, つつし-む
-
표준 중국어
zh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祗는 '공경할 지'라는 한자로, '공경하다' 또는 '구하다'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공경하다
중국어 표준어 zhī
광동어 zi1
민남어 chi
일본어 음독
훈독 ただ, つつしむ

유니코드는 U+7957에 배정받았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戈火竹心一(IFHPM) 또는 戈火竹女戈(IFHVI)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보일 시)와 소리를 나타내는 (근본 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 (다만 단, 거짓 탄)
  • (오직 유, 누구 수)
  • (공손할 공)
  • (공경 경)
  • (공경할 흠, 신음할 음)
  • (공경할 건)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𪀍(꿩 기)
  • (지신 기)
  • 𦐠(날 시/힐)
  • (궁둥이 저)
  • /(꾸짖을 저)
  • (낮을 저)
  • (막을 저)
  • (보는모양 저, 볼 시)
  • (부딪힐/숫양 저)
  • (비탈 저)
  • (뿌리 저)
  • (속적삼 저)
  • (수레감속막대 저)
  • (숫양 저)
  • 𥿄(실의찌꺼기 저)
  • (씨름 저)
  • 𡛜(여자의자 저)
  • (해기울 저)
  • (활 저)
  • (가죽신 제, 등자 정)
  • 𨠏(맑은술 제)[1]
  • (민망할 제)
  • 𦨢(싸움배 제)
  • (제호 제)
  • (개미알 지)
  • (굳은살 지, 볼기 제)
  • (굳은살 지, 짓밟을 제)
  • (다만/시작할 지)
  • (머뭇거릴 지/저)
  • (모래섬 지)
  • (물이름 지/저/치)
  • (산이름 지)
  • (숫돌 지)
  • (조개 지)
  • (핥을 지)
  • 𦕑(고할 진)
  • 𩶅(자가사리 치)
  • 𤝬

[1] (제호 제)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