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우타이테}}}에 대한 내용은 [[that(우타이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hat(우타이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hat(우타이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우타이테: }}}[[that(우타이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hat(우타이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hat(우타이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That[ðæt]은 영어의 지시사 중 하나이다. 기초적인 의미는 'this'와 맞대응되어 한국어의 '저, 저것'과 대응되나 문법적인 쓰임이 많다. 이 때문에 중ㆍ고등학교 영어 문법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2. 용법
2.1. 지시사
보통 '저것'이라는 지시대명사나 '저~' 라는 지시형용사로 많이 쓰인다. 지시대명사일 때 복수형은 those. 한국어 '이/그/저' 삼분체계와는 달리 영어는 'this/that'의 이분체계이므로 '그'에 대응되기도 한다. 변형생성문법의 X-bar에서 Determiner에 자리한다.That's too bad.
그거 참 안됐네.
그거 참 안됐네.
Who's that girl?
저 여자 누구야?
저 여자 누구야?
'그렇게'라는 뜻의 부사로도 사용된다. 주로 부정문에서 쓰일 때가 많다.
I don't need that much money.
난 그렇게 많은 돈은 필요 없어.
난 그렇게 많은 돈은 필요 없어.
That easy.
그렇게 쉽다.
그렇게 쉽다.
2.2. 관계대명사
that의 용법 중 상징이 되는 게 바로 '~하는'을 뜻하는 이 용법이다. 소유격 관계대명사를 제외한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바꿔 쓰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관계대명사 참조.The store that sold much cake (that)[1] she loved closed down
그녀가 좋아한 케이크를 많이 팔았던 그 가게는 폐점했다.
그녀가 좋아한 케이크를 많이 팔았던 그 가게는 폐점했다.
2.2.1. It is ~ that 구문
대표적으로 It is ~ that '강조구문' 과 '가주어ㆍ진주어 구문'[2]이 있다. It ~ that의 용법중 가주어ㆍ진주어 구문과 강조구문의 차이점은 가주어ㆍ진주어는 that 이하의 절에 초점을 맞추며 강조구문은 It that 사이의 구를 강조한다는 차이이다. 강조구문에는 It that 사이에 형용사가 올 수 없으며 주어, 목적어, 부사 등이 오며, that절을 선행사(강조대상)에 맞는 관계사(what 제외)로 바꿀 수 있다. 반대로 가주어ㆍ진주어 구문은 it that 사이에 형용사가 올 수 있으며, that을 바꿀 수 없다. 구별하는 문제가 중2ㆍ중3 내신에 종종 나온다.- It that 가주어ㆍ진주어 구문
It's impossible that he is so smart.
그가 영리하다는 것은 불가능해
그가 영리하다는 것은 불가능해
It can't happen that the aliens come here through Xen.
외계인들이 Xen을 통해 여기로 온다는 건 일어날 수가 없어.
외계인들이 Xen을 통해 여기로 온다는 건 일어날 수가 없어.
- It is ~ that 강조구문
It was my X GFRIEND that(=who) I met at Gangnam yesterday.
어제 강남에서 본 사람은 나의 전 여자 친구였다.
It is ~ that 구문에서 시제가 과거면 was를 쓴다. 그리고 that 이하는 관계사 역할을 하므로 강조하는 어구에 따라 who, where, when, why가 들어가기도 한다.어제 강남에서 본 사람은 나의 전 여자 친구였다.
2.3. 명사절
명사절을 이끌 수도 있다. 문장을 명사화 시켜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이게 한다. 이 경우 보통 That~ 로 쓰이며 해석은 '~라(다)고' 으로 해석된다. 목적어절로 쓰일 경우, 완전타동사에서는 목적어의 역할을, 수여동사에서는 직접목적어의 역할을 한다. 또한 that을 생략할 수도 있다.I think (that) she is beautiful.
난 그녀가 아름답다고 생각해.
난 그녀가 아름답다고 생각해.
My parents always tell me (that) I can do it.
우리 부모님들은 내게 항상 할 수 있다고 말씀하신다.
우리 부모님들은 내게 항상 할 수 있다고 말씀하신다.
동사가 명령/제안/주장/요구 등을 나타낼 때, 원형이 쓰일 수 있다. should가 들어가기도 한다.[3]
I insisted that he (should) clean up his room by himself.
나는 그가 자신의 방을 스스로 치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는 그가 자신의 방을 스스로 치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2.3.1. 동격
관계대명사 that처럼 명사 뒤에 와서 명사를 설명해 주는 완벽한 절이 오고, 하나의 문장성분으로 포함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That 절은 앞 명사의 내용을 알려준다. "~한다는"으로 해석한다.The rumor that he had killed himself was proved false.
그가 자살했다는 소문은 거짓으로 판명되었다.
그가 자살했다는 소문은 거짓으로 판명되었다.
2.4. 그밖의 구문
- so A that B : B하도록 A했다/너무 A해서 B했다.
- so 형용사 a 명사 that
- such a 형용사 명사 that
- A so that B: B하기 위하여 A했다. 'in order that'과 유사하다. 이 때 쓰인 that은 목적 부사절을 이끈다.
- it is not until A that B : A 하고 나서야 비로소 B하다. it ~ that 강조구문의 변형판이다. 이 구문은 고등학교 올라가면 배울 것이다.
- that's Why ~. : 그런 이유로 ~.
3. 기타
- 이렇게 용법이 많기 때문에 말장난으로 that을 덕지덕지 붙여 문장을 만들기도 한다.[4]
I think that[5] that[6] that that[7] that[8] man used in that[9] sentence is wrong.
He says that[10] that[11] that is not that[12] that that[13] should be used in that case.
나는 그 사람이 그 문장에 사용한 그 that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는 그 that이 그런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그 that이 아니라고 말한다.
He says that[10] that[11] that is not that[12] that that[13] should be used in that case.
나는 그 사람이 그 문장에 사용한 그 that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는 그 that이 그런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그 that이 아니라고 말한다.
- 또 that과 뜻이 같은 영단어 중 yon이 있다.
[1]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이 가능하다.[2] It이 가주어 that 절이 진주어[3] 통시적으로는 접속법의 흔적이고 should가 들어간 형식이 나중에 나타난 것이다. 오늘날에는 영어의 접속법이 따로 다루기엔 너무 퇴화됐기 때문에 '원래 should가 들어가는데 should가 생략되어 원형이 남은 것'이라고도 가르친다.[4] 비슷하게 buffalo는 명사/동사 용법이 모두 있고 도시 버팔로도 있어서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버펄로 시의 버팔로들이 위협(버팔로)하는 버펄로 시의 버팔로들이 버펄로 시의 버팔로들을 위협(버팔로)한다") 식의 말장난이 있다.[5] 접속사[6] 지시형용사[7] 관계대명사[8] 지시형용사[9] 지시형용사[10] 접속사[11] 지시형용사[12] 지시형용사[13] 관계대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