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15 18:36:36

Xbox Copilot


파일:Windows Copilot 로고.svg 파일:copilot_text.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Microsoft Copilot Edge Copilot Windows Copilot
Microsoft 365 Copilot Microsoft Copilot for Security Microsoft Copilot for Finance
Xbox Copilot
Copilot+ PC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07c11><tablebgcolor=#107c11> 파일:Xbox 아이콘 화이트.svg XBOX
관련 문서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 5px 0; width: 100%; background: #107c11; border-radius: 10px;"
Xbox Ecosystem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 -10px 0px -5px"
<colcolor=#fff> 파일:xbox_console_icon.png
콘솔
콘솔 모델컨트롤러하위호환
파일:Xbox_pc_icon.png
PC
파일:Battle.net 로고.svg파일:Xbox 아이콘 화이트.svg Windows PC Xbox 앱파일:Windows 아이콘 2021_화이트.svg Windows용 Xbox 기능
파일:xbox_cloud_icon.png
클라우드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이밍(소유게임 스트리밍)파일:Xbox 아이콘 화이트.svg TV Xbox 앱
파일:xb_mobile_icon.png
모바일
파일:Xbox 아이콘 화이트.svg 모바일 Xbox 앱 }}}
}}}
분류
역사IDXbox
Microsoft Gaming (Xbox 사업부)
산하 개발사소속 개발자비게임개발사폐쇄 스튜디오개발자 지원
게임
주요 콘솔/피시 게임주요 모바일 게임게임 출시 일정
플랫폼 기능
엑스박스 플레이 애니웨어엑스박스 네트워크 엑스박스 코파일럿
게임 구독제
Xbox Game Pass (Day 1 출시 게임 | 오리지널 콘텐츠)
Minecraft Realms PlusMinecraft Marketplace PassFallout 1st
행사
마인콘퀘이크콘블리즈컨
IDXbox 쇼케이스Xbox 게임즈 쇼케이스Xbox 개발자 다이렉트
기타
Kinect엑빠블빠Power On: The Story of Xbox
}}}


1. 개요2. 사용 방법3. 우려4. 기능

1. 개요

Microsoft의 게임 지원 인공지능 서비스. 2025년 4월 일반 대중을 상대로 테스트 서비스가 진행될 예정이다. 테스트 서비스에선 아주 기초적인 기능만 지원할 예정이다.

정식 서비스 명칭은 아직 불명확 하며, 초창기 개발자 발표회에선 엑스박스 코파일럿이나 코파일럿 포 게이밍 등의 이름으로 지칭되었다.

2. 사용 방법

비디오 게임 특성상 한가하게 타자를 치며 AI에게 질문이나 명령을 하기 쉽지 않다. 게임 특성을 고려해 실시간 음성 대화 방식으로 코파일럿을 사용하는걸 전제로 개발되었다. 마이크가 기본으로 내장된 Kinect가 단종이 안되었으면 상관이 없었을텐데, 음성 인식을 할 디바이스가 없어서 Xbox App(모바일)을 통해 스마트폰을 경유해 AI와 소통한다. 향후 세컨드 스크린 활용 방식에서 탈피해 다양한 디바이스로의 확장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는 해, 마이크가 장착된 개인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극초기 코파일럿 프레젠테이션 당시 모든 게임이 코파일럿을 지원하지는 않을 수 있단 암시가 있었다. 일단 코파일럿 시연회에 등장한 게임들이 전부 Microsoft Gaming의 퍼스트 파티 게임들뿐이라 어느정도 신빙성이 있는 추측이다. IGN 기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타사가 제작한 서드파티 게임은 별도의 학습을 거쳐야 이용이 가능하며 지원되는 서드파티 게임을 확대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코파일럿은 게임 화면을 직접 볼 수 있다. 그래서 이름 모르는 캐릭터를 질문해도 코파일럿은 즉각 답변이 가능하다. 수집 데이터를 모델 학습에 사용하지 않도록 막는 개인정보 보호 설정을 제공한다.

3. 우려

  • 실시간 음성 대화를 핵심축으로 하여 작동하는 서비스라 한국어 음성 대화 지원이 절실하다. 다행스러운 점은 최근 Microsoft Copilot이 한국어 대화를 지원하기 시작해 엑스박스 코파일럿의 한국어 대화 지원 걱정도 기우일 수 있다.
  • 다른 코파일럿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구독형 요금제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생산성과 직접 연관이 있는 Microsoft 365 Copilot도 개인이 사용하기엔 부담이 커 기업 차원에서 직원들에게 지원을 해줘야 써보는 경우가 있지만, 단순히 게임만을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에 돈을 지불하기엔 어느정도 심리적 저항이 있다. 이용 요금이 Xbox Game Pass 제공 품목으로 통합되면 가격 장벽을 허물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있다.
  • 여태 다른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도 마찬가지지만 쓰는 사람들은 쓰고, 안 쓰는 사람들은 끝까지 안 쓰는 기능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 레딧과 같은 해외의 커뮤니티에서도 엄청 기대된다고 흥분하는 게이머랑, 이게 대체 뭐라고 심드렁한 반응의 게이머로 의견이 양분되고 있다.
  • 유저 테스트 발표회 때 공개된 정보를 보면 극초기 개발자 발표회 때 공개된 기능 대부분을 언급하지 않고 넘어갔으며, 그나마 공개된 기능 대부분도 컨셉 데모라는 이름으로 시연되어 아직 상용화 하기엔 성숙되지 않은 기술로 보인다. 제대로 된 서비스를 하려면 아무래도 상당히 오랜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4. 기능

프리뷰 테스트 단계에서는 아주 기초적인 기능만 해금할 예정이라고 하며, 정식 출시시 어떤 기능이 제공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기술적으로 아직 성숙되지 않았단 징후가 보이고 있으며, 초기 시연회 때 공개된 사실과 다르게 2025년 3월 발표에서는 대부분의 기능이 '컨셉 데모'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 게임 가이드
    코파일럿이 게임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인크래프트에서 아이템 조합법을 알려준다거나, 입문자가 단계별로 해야 할 일을 차근차근 알려준다. 퍼즐 요소가 있는 게임은 퍼즐을 푸는 방법을 알려준다.
  • 실시간 게임 분석
    실시간으로 게임 상황을 분석해준다. 오버워치 2에서 의문사를 당하면 어떤 영웅에게 어떠한 이유로 죽었는지를 알려준다. 마인크래프트에서는 눈 앞에 서있는 정체 모를 몹에 대해 질문하면 몹도 인식해 몹에 대해 설명해준다. 적대적인 몹에게 죽으면 해당 몹에 대응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정보 제공
    게임의 주요 정보를 제공해준다. 마인크래프트의 경우 게임의 민감한 부분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허용해주면 눈 앞에 보이는 블록을 몇 블록만 파보면 석탄이 나올거라는 말로 석탄 블록의 위치를 코파일럿이 플레이어에게 직접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2020)의 경우 착륙 가능한 가장 가까운 공항이 어딨는지 질문하면 코파일럿이 해당 공항의 위치를 알려준다. 오버워치 2에서는 플레이어의 이전 게임 데이터를 분석해 해당 맵에서 가장 승률이 높을 영웅을 추천해준다.
  • 기타
    유저 세이브 파일 내용을 확인해 지난 스토리를 요약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