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발사체. 이 우주선과 이 발사체를 모티브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람이 탑승해야 발사가 되며, 최대 4명까지 탑승할 수 있다. 만약 발사 절차가 시작되었다면 로켓의 하단부 근처에서 엔진에서 나오는 열기로 인해 죽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가까이 가지 않는 것이 좋다. 여담으로 공개 서버에서는 1%, 비공개 서버에서는 10% 확률로 발사에 실패한다. 이에 대해서는 배지 문단 참고.
ISS에서 지구로 되돌아 올시 오리온 우주선으로 귀환된다. 이때 바다 한가운데로 불시착하긴 하지만, 곧 "리조트로 돌아가기" 버튼이 활성화 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플로리다 우주 센터로 오면 볼 수 있는 발사체. 이것과 이것을 모델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솔로 서버나 비공개 서버에서 이 발사체를 타면 ISS에 직접 도킹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도킹에 성공한다면 "First Solo ISS Docking!"라는 배지를 얻음과 동시에 돈이 나온다. 모바일에서는 도킹이 거의 불가능하다. 공개/솔로/비공개 상관없이 ISS와 도킹을 해제하고 나면 조종사가 직접 플로리다 활주로에 기체를 착륙시켜야 한다. 착륙하면 "Space Glider" 라는 배지와 함께 돈이 벌린다. 이것도 역시 모바일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2024년크리스마스업데이트때 추가된 유인우주선이다. SLS 발사체를 타고 달이나 화성, 또는 세레스에 가면 볼수있다. 조작법은 자동착륙이랑 수동착륙이 있다. 가격은 1,000,000달러이고 탐사선 안에 실을 수 있는 샘플의 개수는 최대 224개이다. 1개의 간이 탐사차[8]를 포함하고 있으며 탐사선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는 내장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만 한다. 안에는 화장실, 수면 스테이션 등이 매우 고퀄리티로 구현되어 있다. 딱히 쓸모는 없다.
[1] 달까지 가는데 실제로 3일이 걸리는 등.[2] 또한, 모바일로 플레이를 하면 일부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 이는 게임 내 설명에도 포함되어 있다.[3] 실제 우주복도 50kg을 넘어갈 정도로 무겁다. 이를 고증한 것으로 보인다.[4] 정확히는 국제우주정거장의 피얼스(Pirs) 모듈 내[단위] 1m는 약 3.4 스터드이다.[6] 참고로 우주선 안에 있는 동안에는 우주복을 입지 않아도 살 수 있다.[7] 록히드 마틴에서 설계 중인 MADV(Mars Ascent/Descent Vehicle)를 기반으로 한다.[8] 최대 샘플 개수는 10개이다. 조종실 계기판에서 열면 탐사차가 밑으로 내려온다.[9] 착륙선 착륙 지점 근처에 덩그러니 스폰된다.[10] 참고로 루나 크루저는 감압과 가압을 할 수 있는데, 차량 내부가 가압이 된 상태가 아니라면 노랫소리가 들리지 않는다.[11] 참고로 이는 진공 상태에서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을 고증한 것이다.[12] 2명는 안에, 2명은 밖에 탄다.[13] 하지만 내부 가압이 되기 때문에 우주복을 벗은 채로 운전 가능.[14] 착륙선 착륙 지점에서 좀 떨어진 곳이 덩그러니 스폰된다.[15] 위 사진은 날 수 있는 차량.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SPACE SAILORS|SPACE SAILORS]]}}}{{{#!if external != "o"
[[SPACE SAILORS]]}}}}}}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SPACE SAILORS?uuid=4af478d1-ed9d-4368-bee9-53a272d80907|r27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SPACE SAILORS?uuid=4af478d1-ed9d-4368-bee9-53a272d80907#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SPACE SAILORS?from=275|이전 역사 보러 가기]]}}}
위 버튼중 ISS와 랑데부를 누르고 초당 25000 스터드[단위]가 충족될때까지 기다리면 갈수 있는 정거장이다.[21]즈베즈다 모듈, 데스티니 모듈과 같이 여러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소유즈 우주선, 오리온 우주선으로 지구로 돌아가거나 오리온 우주선으로 달 정거장에 갈수 있다.
달 정거장에서 "지구를 떠나기"라고 쓰여진 구역에서 화성을 가기로 선택하면 올 수 있는 곳. 이동 시 걸리는 시간은 실제 시간으로 7달.[26] 착륙 방법은 달과 동일하다. 화성에도 마찬가지로 깃발을 꽃거나 샘플을 주워서[27]팔 수 있다. 화성에도 달처럼 기지가 있다.
달 정거장을 둘러보면 "달로 착륙"이 있을거다. 그걸 누르자. 그리고 좀 기다리면 소형 우주선이 자동으로 착지하며, 달로 이동한다. 달에서는 중력이 더 약하며 달릴 수 있다.[28] 달에 착륙하면 3가지의 아이템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샘플 채취, 하나는 관측 기록, 마지막으로 아이템중에 깃발이 있을텐데 자신의 국기를 선택했다면 자기의 초상화와 국기가 그려져 있는 깃발, 선택하지 않았다면 양쪽이 자신의 초상화로 그려져 있는 깃발을 꽂을 수 있다!
달 샘플을 가져가서 달 정거장에 팔면 돈을 벌수 있다. 인벤토리에는 2개밖에 못 집지만 위 사진의 착륙선에는 모으고.. 모으고... 또 모아서 40개 까지 모을수 있다.
최근 업데이트로 생긴 라마 착륙선이다. 가격은 200,000달러. 착륙선 안에 담을 수 있는 최대 샘플은 144개. 또한 달로 착륙을 하면 랜덤한 위치에 라마 착륙선 창고가 생성되는데. 이 안에는 여러 물품들이 있다. 이 물품들을 차에 실어서 기지로 가져간후 기지 안에 저장을 하면 돈이 벌린다. 착륙선 안에는 빨간색으로 숫자가 쓰인 작은 상자가 있다[33] 이를 들고 있으면 주기적으로 체력이 닳는다.[34]800,000 이상이 적힌 상자[35]를 옮기면 "Radioactive Special Delivery!" 라는 밷지를 받고 돈도 많이 벌린다.
화성의 특정 방향으로 기지와 16.7km멀어지면 생성되는 피라미드.[38] 크키도 매우 큰 편인데, 높이만 무려 300m에 달하며, 2km 밖에서도 피라미드가 보일 정도이다. 꼭대기엔 보석이 존재는데, 이것을 가져가면 심한 모래폭풍이 오며 보석을 계속 들고 있으면 주기적으로 체력이 닳는다.[39] 이 보석을 착륙선에 싣고 화성 정거장으로 가면 20만원과 함께 배지를 얻는다.
달 정거장에서 세레스[40]를 선택하고 1년을 기다리거나 빨리감기를 하면 세레스 정거장에 도착한다.[41]정거장의 특정 모듈에 가면 세레스로 착륙을 할 수 있다. 달, 화성과 마찬가지로 깃발을 꽂을 수 있고, 샘플을 팔아서 돈을 벌수 있다. 착륙선에는 샘플을 최대 45개 보관가능하다.[42]
우주 탐사 이외에도 스카이다이빙을 체험할수 있다. 방법은 스폰 지점의 뒤에 있는 스카이다이빙 발판을 밟으면 높은 고도로 텔레포트 된다.[45] 그리고 사다리를 타고 올라간 후에 뛰어 내리거나 옆에 고도를 더 높여주는 발판을 밟자. 최대로 올라갈수 있는 고도는 1,000,000 스터드, 즉 294km이다.[단위] 우주복이나 승무원 탈출복을 착용하지 않는다면 죽으니 주의.
행성 샘플을 주워서 판매하기 가장 기본적인 돈벌이. 달이라면 40개, 화성이나 세레스는 45개의 샘플을 채취해 판매할 수 있다. 다만, 한 번에 2개씩 밖에 줍지 못하는 데다가 그만큼의 효율도 나오지 않기에 초보자가 아니라면 비추천한다.
레코드(Observation) 판매하기[47] 레코드를 저장 후 착륙선에 실으면[48] 또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에 있던 샘플 및 레코드는 꺼낼 수 없다.
리마 우주선에서 상자를 기지로 옮기기[달만] 가장 돈이 잘벌리는 방법으로 리마 우주선에서 상자를 기지로 옮기는 것이다. 한 상자에 못해도 8000원은 넘게 주니 혜자가 따로 없다. 다만, 상자의 취급이 어려우니 가능하면 차량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광산에서 광물을 채굴해 판매하기(달,화성,세레스) 기지에서 곡괭이를 들고와서 광산에 간 다음 광질 가능 구역에서 캐다보면 광석이 나온다.[50] 이 광석은 하나 당 596원에 팔 수 있다.
국제우주정거장에서 Cygnus 우주선을 도킹시키기 데스트니 모듈 Canadaarm 조작 컴퓨터 반대쪽[51]에 보면 보급품 개수를 표시하는 노트북이 있다. 개수가 1000 미만으로 떨어지면[52] Cygnus 보급선이 스폰된다. Canadaarm WorkStation으로 가서 우주선이 올라오면 "Grapple Here"이란 곳에 로봇팔의 끝을 붙이면 된다. 그리고 도킹 포트를 하모니 모듈[53] 밑으로 갖다 대면 도킹되면서[54] 돈이 1000달러~8000달러 정도로 많이 벌린다. 도킹한 후 우주선 안을 보면 벽과 바닥에 보급품과 함께 바닥에 있는 보급품 위 흑갈색 돈 가방이 10개정도 있는 경우가 있는데[55], 이를 주우면 도킹하는것 만큼이나 많이 벌린다.
국제우주정거장 부속품 교체하기/수리하기 우주정거장에는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것들이 총 5가지가 있다. 모두 우주 밖으로 나가야 할 수 있는 작업들이며 위의 Cygnus 우주선을 도킹시키기에서 서술한 노트북과 가까이 있는 노트북에서 교체해야 할 부품 개수를 볼 수 있다. 교체/수리하는 방법은 가까이 가서 상호작용하면 된다. 교체의 경우 점검 후 교체할 아이템을 장착한 상태에서 교체해야 한다.
배터리 태양 전지판 가운데 부분, Integrated Truss Structure에 있다. 여분 배터리는 에어록(가압/감압실) 옆 구조물에 위치해 있다. 배터리는 凸 모양[56]으로 교체하면 1개당 4000~8000달러 정도 나온다. 단, 배터리의 수가 정거장에 50개 넘게 있고 고장나는건 최대 9개까지이니 그리 추천하지는 않는다
CMG 배터리 상술한 일반 배터리와는 다르다. 얘는 원반 모양에 검정색이다. 유니티 모듈 위 구조물에 덮개를 열면 있다. 여분은 에어로크로 나가서 직선 방향으로 봤을때 Integrated Truss Structure에 매달려 있다.[57] 돈도 많이 나오고[58] 점검하는 개수도 적어 추천한다.
SGANT 안테나 CMG 배터리가 있는 위치에 있는 안테나이다. 여분은 CMG 배터리와 같은 위치에 있다. 안테나의 수신기 부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
태양 전지판 구멍 주황색 태양 전지판에 보면 무언가 충돌한 흔적이 있다. 가까이 가서 고쳐주면 끝.[59] 돈은 아주 적게 나온다[60]. 루나 게이트웨이에서도 가능하다.
즈베즈다 모듈의 엔진 엔진 고장 여부는 즈베즈다 모듈의 ISS 재추진 노트북에서 볼 수 있다. 빨간색의 Service Required 글자가 뜬 경우에만 가능하다. 우주로 나가서 프로그래스 보급선이 도킹하는 쪽으로 가면 엔진 2개가 커버가 덮힌 채로 있을 것이다[61] 점검 후 수리하면 끝.
그러면 이제 Shooting Star 배지가 얻어진다. Shooting Stars 노래도 동시에 재생된다. * 기본 로비의 해변에는 모닥불이 존재하는데, 해당 모닥불에 닿을 경우 즉사한다. * 기본 로비의 해변에 있는 파라솔을 밟으면 높이 뛴다. * 일부 게임패스[66]를 제외하면 전부 SPACE SAILORS의 게임머니로 살수 있다. 게다가 게임머니로 구매하든 로벅스로 구매하든 영구 소유가 가능하다. * 국제우주정거장에 하모니 모듈에 있는 환풍구를 잘 살펴보면 흰색 어몽어스가 존재했었다. 지금은 없어졌다. * ISS 재진입 업데이트 이후 ISS를 고의로 추락시키는 유저들이 생겨났다, 원래는 단순히 이러이러한 뱃지가 있다 정도의 뱃지였지만 점점 ISS의 고도 저하 이벤트에서 즈베즈다의 엔진을 가동시키지 않거나 아예 즈베즈다의 엑세스 컴퓨터를 가려서 고의로 ISS를 추락시켜 뱃지를 얻으려는 악질 유저들도 있다, 만약 ISS 안의 모든 유저들의 동의를 얻지 않는한, 이러한 행동은 피하도록 하자. * 달 기지에 있는 차량들이 다른 행성의 기지에 있는 차량보다 종류가 많다. * 우주복을 착용할 때, 낮은 확률로 어몽어스 캐릭터가 입어진다. * 우주복을 입고 국제우주정거장 밖으로 나간 후, 오리온이 도킹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도킹할 때 오리온과 정거장 사이에 있으면 우주에 나온 판정으로 우주정거장 안을 돌아다닐 수 있다! 그래선지 노래도 나온다. 하지만 감압실에 들어가면 바로 풀리니 조심 * 정거장 안을 조금 돌아다니다 보면 찾을 수 있는 지구 모양의 동그란 공은 움직일 수 있다.[67] * 리조트의 바다는 보트가 돌아다니는 곳에만 있다. 바다 옆은 통과가 가능한 거대한 파란 파트다. 그래서 플레이어가 바다 바깥으로 나가면 그냥 땅바닥에 내려않는다. * 가끔 물리엔진의 오류로 세레스 땅속으로 탐사선이 빠져 못 돌아가는 경우가 있다. -???- * 미국 동부 시간대로 매년 12월 31일, 처음으로 스폰되는 장소[68]에서 새해 카운트다운 이벤트를 한다. 이벤트에 참가하면 한정 배지도 얻을 수 있다.
[16] 이 문서는 SLS 발사체의 조종법을 서술하며, 기타 이동 수단은 설명하지 않는다.[17] 조종사로 로켓에 탑승할 시 4분 이내에 발사를 하지 않으면 퇴출된다.[18] 번역 오류로 인해 "다시 입력"이 되었다. 원문은 Re-entry.[19] 보통 줄여서 ISS라고 부른다.[단위][21] 속도가 충족되면 실제 시간으로 45분 기다리거나 빨리 감기할 수 있다.[22] 번역오류. 원래는 달로 발사(Shoot for the Moon)로 번역되어야 한다.[23] 실제 3일을 꾸역꾸역 기다린다면 배지를 준다. 할 일이 없고 컴퓨터 사양이 좋다면 한 번 해보자.[24] 일반 무료 착륙선과 라마 착륙선, 아레소니우스 착륙선을 이용할 수 있다.[25] 예전에는 번역오류로 인해 케레스(Ceres)로 표시되었다. 현재는 세레스(ceres)로 대부분 수정되었다.[26] 7달 기다리기 도전(도전을 해도 배지는 없다. 그냥 하고 싶으면 해보자.)을 할 사람을 제외하고 빨리감기를 누르자.근데 도전할 사람들의 컴퓨터가 받쳐줄지는...[27] 최대로 담을 수 있는 샘플은 45개로, 세레스와 동일하다.[28] 지구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는 달릴 수 있다.[29] 찾기가 귀찮다면 리스폰을 하자.[30] 실제처럼 우주 생활을 위한 필수품이 전부 비치되어 있다.[31]Light Lander for Advanced Manned Applications를 줄여서 LLAMA, 즉 라마라고 부른다.[달만] 화성과 세레스에는 없다.[33] 일정 확률로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34] 이를 기지로 옮기려면 점프해서 상자를 떨구고 체력이 풀피가 되면 다시 줍는 노가다를 하면서 가면 된다. 차량에 실으면 편하다.[35] 스폰 확률이 매우 낮다.[36] 이는 고증 오류이다. 화성은 달보다 질량이 크기 때문에 중력도 더 세야하기 때문이다.[37] 역시 마찬가지로 우주 생활을 위한 필수품들이 전부 비치되어 있다.[38] 위 사진에서 찍힌 차인 매티로버를 이용하면 왕복 40분 정도가 걸린다.[39] 만약 이 보석을 팔거라면 다음 내용을 잘 숙지하는게 좋을 것이다. 보석은 자동차의 창고에 넣을 수가 없어서 들고 운전을 해야하는데 이때 피가 어느 정도 없으면 체력을 채우고 다시 운전하며 가야하는 노가다를 하면서 가자. 참고로 보석은 백스페이스를 누르면 드랍된다.[40] 인 게임에서는 케레스를 선택하자.[41] 외형은 화성 정거장과 동일하다.[42] 이는 화성과 같다.[43] 사진에는 담아지지 않았는데 촬영자의 뒷편에 태양광 전지가 있다.[44] 여기도 기지 구조는 같지만 공간이 다른데 하지만 비슷하다.[45] 다시 돌아가려면 청록색 발판을 다시 밟자.[단위][47] 가끔씩 버그로 레코드가 더 이상 뜨지 않는 현상도 있다.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는 걸로 봐서는 제작자도 해결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48] 차량에 싣는 건 불가능하다.[달만] 화성과 세레스는 이 방법을 사용하지 못한다.[50] 하지만 많이 나오는 편은 아니다.[51] 유니티 모듈과 가까운 쪽[52] 유니티,즈베즈다 모듈에서 음식을 가져올 수 있다. 음식은 인벤토리에 최대 6개까지 가져올 수 있고, 클릭하면 먹을 수 있다.[53] 오리온 우주선이 도킹하는 쪽[54] 후술할 ISS 재진입에서 같이 타서 분해된다.[55] 솔로 서버보다 공개 서버가 확률이 좀 더 높다.[56] 거의 직육면체이다.[57] 흰색 천으로 씌워져 있다.[58] 4000~7000달러.[59] 태양 전지판이 움직이기 때문에 난이도가 있다.[60] 100~600달러.[61] 플레이어가 엔진을 가동하면 엔진 덮개가 열리게 된다.[62] 자세한 이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생김새를 보아 스피릿이나 오퍼튜니티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63] 인게임에서는 독창성으로 직역했다. 번역도 독창적이다[64][65] 용량이 6MB의 움짤이여서 접기 문법으로 가렸다. 해당 문서 참조.[66] TP to Launch Site!, Lunar Cruiser + 1.4x Money Multiplier, Permanent 2x Money Multiplier[67] 키보 모듈에 있다.[68] 스카이다이빙 건물 일대[69] ISS의 추진기를 제때 작동시켜주지 못해 궤도가 고도 140km 이하로 낮아지면 발생한다.즈베즈다 모듈로 가서 엔진을 가동시켜 얻어낸 출력으로 ISS의 속력을 올려 다시 궤도로 올려주어야 한다. 실패하면 ISS는 결국 정상 궤도에서 이탈해 지구 대기권으로 떨어지며 불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