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1 03:09:34

PIANC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국제 이공학 기구 및 학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국제
파일:IET_Logo.svg.png 파일:external/www.mathunion.org/IMU-logoB.png 파일:계산기협회 심볼.svg 파일:IUPAC 로고 2.svg
공학기술연구소 국제수학연맹 계산기협회 국제순수응용화학연맹
파일:솔베이 회의 심볼.svg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파일:국제원자력기구 엠블럼.svg 파일:국제우주공학연맹 엠블럼.svg
국제솔베이협회 국제천문연맹 국제원자력기구 국제우주공학연맹
파일:PIANC LOGO.png
국제수상교통시설협회
지역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
파일:왕립학회 휘장.svg 파일:LMS.png 파일:왕립화학회 로고.png
왕립학회 런던수학회 왕립화학회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IEEE 심볼.svg 파일:미국물리학회 로고.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American_Chemical_Society_logo.svg.png 파일:미국수학회 로고.jpg
전기전자공학자협회 미국물리학회 미국화학회 미국수학회
파일:external/www.opticseducation.org/logo-osa_big.jpg 파일:ASBMB 로고.jpg 파일:ASCE.jpg
미국광학회 미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미국토목학회 }}}}}}}}}
국제수상교통시설협회
The World Association for Waterborne
Transport Infrastructure
파일:PIANC LOGO.png
<colbgcolor=#152d47><colcolor=#fff> 설립 1885년[1]
본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브뤼셀
약칭 PIANC
회원국 80개국 520개 법인회원
공용어 영어, 프랑스어
회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란체스코 에스테반
사무총장 파일:벨기에 국기.svg 헐트 반 카파옌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2. 주요 임무3. 여담

1. 개요

UN 자문 국제기구인 PIANC(The World Association for Waterborne Transport Infrastructure, 국제수상교통시설협회[2])는 항만, 수로, 연안 구조물 등 수상 운송 인프라와 관련된 국제적인 비영리 기구로, 전 세계의 공공 및 민간 부문 전문가들이 기술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1885년에 설립된 PIANC는 해양 및 내륙 수운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 가이드라인, 보고서, 워킹그룹 활동 등을 통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왔으며, 현재는 65개 이상의 국가가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협회는 정부기관, 항만청, 엔지니어링 회사, 학계, 연구기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연결하며,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수상 운송 인프라의 개발 및 운영에 중점을 두고 있다.

PIANC는 특히 기후변화 대응, 자연기반 해안방어(NNBF), 디지털항만 및 미래 수상교통 전략 등 최신 이슈에 대응하는 기술 연구를 선도하고 있으며, MarCom(항만분과위원회), EnviCom(환경분과위원회), InCom(내륙수로분과위원회), RecCom(레크레이션분과위원회), YP-Com(차세대전문가분과위원회) 등의 전문분과 위원회를 통해 국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2. 주요 임무

PIANC는 항만 및 수상교통 인프라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국제적인 항만 기술 및 환경 기준의 제정을 주도하며, 각국 전문가들의 활동을 바탕으로 기술적 가이드라인과 실무 지침을 개발·제공함으로써 글로벌 기준을 형성한다. 이러한 자료는 항만 설계, 유지관리, 환경영향 최소화 등에 실질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항만 및 수운 분야의 국제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회원국 간 기술 교류와 공동 연구를 장려한다. 이를 위해 매년 국제 연차 총회(AGA, Annual General Assembly)를 개최하고, 4년마다 세계대회(PIANC World Congress)를 열어 최신 기술 동향과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한다.

2010년,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아 한국 지부 격인 (사)한국수상교통시설협회가 PIANC-Korea로 출범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강범구 PIANC-Korea 회장이 한국인 최초로 PIANC 국제본부 부회장에 선출되며, 한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국제 임원직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2023년에는 김현동 PIANC-Korea 사무국장이 국제본부 국제분과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며, 두 번째 한인으로 PIANC 국제본부 임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3. 여담


[1] 초기 상설국제항로회의(Permanen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Navigation Congress)에서 1998년 9월 국제수상교통시설협회로 명칭 변경[2] 세계수상교통시설협회 라고도 불린다[3]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512_000317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