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2:35:42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진행되는 대회에 대한 내용은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LCK 로고 흰색.svg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c192b><rowcolor=#fff><colcolor=#fff> 구분 대회 나이 제한 단계
프로 LoL Champions Korea | LoL Champions Korea Cup 17세 1군
LCK Challengers League 15세 2군
세미프로 LCK Academy Series 12세 연습생
아마추어 일반인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colbgcolor=#1c192b><colcolor=#fff>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컵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
정식 명칭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 (2025~ )
출범 연도 2025년 ([age(2025-01-01)]주년)
지역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운영 주체 LCK 유한회사
컬러 [1] [2]
약칭 LCK CUP
표어
공식 파트너
스폰서
중계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SOOP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A]
경기장 LoL PARK LCK Arena (2025~)
최근 우승팀
최다 우승팀
최다 우승자
1. 개요2. 참가팀3. 역대 기록4. 역사
4.1. 출범 (2025 ~ )
5. 위상

[clearfix]

1. 개요

2025년부터 라이엇 게임즈가 주관ㆍ주최하는 대한민국 지역의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2025년부터 LoL e스포츠가 개편되어 새롭게 탄생된 대회로 LCK 입장에선 프리시즌 성격의 대회지만 LoL e스포츠로선 엄연히 정규시즌으로 평가받는 대회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Hanwha Life Esports Gen.G T1 Dplus KIA kt Rolster
파일:BNK FearX 2025.pn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BNK FEARX DN FREECS Nongshim RedForce DRX OKSavingsBank BRION
LCK C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3. 역대 기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역대 기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사

4.1. 출범 (2025 ~ )

2025 시즌부터 국제 LoL e스포츠의 포맷이 대규모 개편됨에 따라 국내에서 출범한 대회이다.# 2025년부터 새롭게 신설된 국제대회인 FST에 출전하는 팀을 선발하는 대회라고 볼 수 있다. 대회 진행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 펼치기 · 접기 ]
* 그룹 대항전
  • 직전 해 LCK 우승, 준우승 팀이 각각 A, B조[4]에 배정
  • 각자 같은 조에 속할 팀을 선택
  • 선택 받은 팀이 다음 팀 선택(스네이크 방식)
  • 상대 조의 팀들과 한 번씩 대결(3전 2선승제)
  • 같은 조 성적을 합산해 많은 승리를 따내는 조가 승자조, 적은 승리를 따내는 조가 패자조가 됨
파일:lck 컵 R1.jpg
  • 플레이-인
    • 승자조 성적 기준 4~5위와 패자조 1~4위 총 6개팀 진출
    • 승자조 패자조 구분 없이 개별 팀 승수 기준으로 시드 배정
    • 세미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
    • 2라운드 승자 두 팀과 최종 라운드 승자 한 팀이 플레이오프 진출
  • 플레이오프
    • 현행 LCK 플레이오프와 동일한 방식
    • 승자조 1, 2위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 직행
    • 승자조 3위와 플레이-인 통과 세 팀이 1라운드 대결 (패배시 탈락)
    • 2라운드 승리 팀은 3라운드 맞대결/패배 팀은 하위조 편성
    • 3라운드 승자와 결승 진출전 승자가 최종 결승전
    • 우승팀 First Stand Tournament 진출

LCK 컵은 하드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적용된다.[5] 5세트까지 갈 경우 5세트 밴을 포함해서 50개의 챔피언이 금지되기 때문에 선수들의 넓은 챔프 폭이 요구되며 다채로운 전략과 밴픽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5. 위상

첫 개최된 2025년 LCK 컵의 위상에 대한 평은 크게 갈렸다. 프랜차이즈 10팀이 참가하는 대회이긴 하지만 LCK 컵에서의 기록은 LCK 공식 기록에 포함되지 않고, LCK 커리어로도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사실상 FST에 출전하게 되는 단 하나의 우승팀을 제외하면 돈과 명예 그 어떤 실익도 챙기가 어렵다. 그러나 LoL e스포츠 사무국에서 골든 로드의 조건에 FST가 포함되는 것으로 공인하였기 때문에 이 대회를 우승하지 못할 시 FST에도 출전할 수 없게 되므로 골든 로드라는 전대미문의 대업은 달성할 수 없게 된다.

LCK 내에서는 일종의 프리시즌컵 성격을 띄지만, 오히려 LoL e스포츠에서는 공식전으로 인정받는다. 따라서 이 대회의 기록은 LCK 기록으로는 추산되지 않지만 통산 기록에는 추합된다. 다소 극단적이지만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예를 들자면 이 대회에서 페이커유미를 픽하여 한 판 플레이했다고 가정했을 때 LCK에서는 유미를 플레이한 적이 없는 것이지만, 페이커의 통산 기록에는 유미를 1회 플레이한 것으로 기록한다는 이야기다.

결국 LCK 컵의 독특한 위치는 국제전도 아니고 리그에도 포함되지 않지만 통산 기록에는 합산된다는 역설적인 상황의 영향이 크다. 만약 별개의 스폰서를 받아 다른 이름으로 출발했다면[6] 컵리그만의 독자적인 위상을 구축할 수 있었겠지만, LCK 컵이라는 명칭으로 확정되어 LCK의 하위 대회 또는 새로운 국제전을 위한 선발전 취급을 받게 되었다. 그래도 LCK 컵의 순위에 따라 주최 측 지원금이 차등 지급되기에[7] 각 팀의 입장에선 가볍게 볼 이유는 전혀 없다.
[1] LCK Blue[2] LCK Red[A] 영문[4] 2025 시즌의 경우 2024 서머의 결과를 사용[5] 매치 내의 이전 세트에서 두 팀이 선택했던 챔피언을 모두 금지하는 방식.[6] ex)우리은행컵, 포스코컵[7] https://www.youtube.com/watch?v=ii5RTB5-vto 2:00 사무총장 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