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L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91b56> | LNG Esports 역대 시즌 | }}} | |||||||
{{{#!wiki style="color: #091b56;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Snake Esports | 2014 | 2015 ☆ | 2016 | ||||||
2017 ☆ | 2018 | 2019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NG Esports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 | |||
LNG Ninebot Esports | 2023 | 2024 | 2025 |
LNG Esports의 역대 시즌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2026 시즌 |
1. 개요2. LoL e스포츠 스토브리그/20243. 2025 LoL Pro League Split 14. 2025 LoL Pro League Split 25. 2025 LoL Pro League Split 36. 시즌 총평7. 팀별 둘러보기
1. 개요
LNG Esports의 2025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2. LoL e스포츠 스토브리그/2024
12월 3일, 서포터 항과 계약을 종료하며 스토브리그의 시작을 알렸다. 이어서 다음날인 12월 4일, 스카웃과 갈라 역시 팀을 떠났으며, 동시에 섀도우 역시 계약이 종료되었다.
5일에는 마오쩌퉁 코치와도 계약이 종료되면서 24시즌 선수단은 쩡룽 감독과 지카, 웨이웨이 3명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11일, 미드 라이너로 LGD의 하이차오를, 원딜러로는 NIP의 포틱을 영입했고, 12일에는 포틱과 합을 꾸준히 맞춰온 서포터 주오와 루판 코치의 영입을 발표함과 동시에 정글러 웨이웨이와 재계약을 체결했다.
22일, RNG에서 감독을 맡았던 왕펑 코치를 영입하는 것으로 스토브리그를 마무리했으며, LNG의 2025년 로스터는 지카-웨이웨이-하이차오-포틱-주오로 결정되었다.
데마시아 컵에서는 직전 서머 시즌 성적 덕분에 8강에서 시작했으나, TT에게 1대2로 패배하며 광탈하고 말았다.
3. 2025 LoL Pro League Split 1
그리고 아니나 다를까 그룹 스테이지에서 다시 만난 TT를 상대로 또 얻어터지며 패배를 쌓았고, 이후 BLG에게까지 얻어터지며 2패를 적립했다. 그리고 BLG와 TT가 둘 모두 2승팀이 되었기 때문에 LNG는 EDG와 함께 자동적으로 탈락이 확정되었으며, EDG와의 멸망전에서도 0:3으로 대패하면서 조 꼴지로 스플릿 1을 마쳤다. TT전 1세트 승리 이후 9연속 세트패를 기록한 것은 덤이다.4. 2025 LoL Pro League Split 2
스플릿 2부터 팀명이 LNG Esports로 돌아왔다.그룹 스테이지에선 D조에 배정되었다. 상대는 징동, IG, LGD가 되었고 1~2라운드 모두 세 팀에게 연이어 패배하면서 그룹 스테이지 전패와 함께 열반조로 가게 되었다. 게다가 다른 조에선 등봉조 직행에 실패한 팀들이 서로를 상대로 1승씩을 뜯어낸 탓에 유일한 그룹 스테이지 전패팀이 되는 오명까지 뒤집어쓰는 신세로 전락했다. 스플릿 1부터 시작된 세트 연패를 끊지 못하고 되려 15연패로 늘어난데다 계속해서 부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자칫하다간 열반조에서 시즌 조기 종료를 당하거나 최악의 경우 매치 전패까지 찍을 정도로 역대 최악의 시즌을 기록할 위기에 직면해 있다.열반조 첫 경기인 EDG전에서도 1세트를 패하고 이어지는 2세트를 승리하여 세트 연패를 16연패에서 마무리했지만 3세트를 패배해 결국 매치패를 기록했고, 다음 경기인 LGD 전에선 한 세트도 못따고 열반조 2패째를 기록하면서 여전히 전패를 유지한 채 슬럼프가 이어지고 있다. 거기다 LNG는 다른 팀보다 경기가 앞에 배정되어 있어서 4월 28일에 마지막 열반조 경기가 끝나는데 이렇게 연패가 지속된다면 예전 같았으면 스프링 시즌이 막 끝날 무렵의 시기인 4월에 시즌을 마감하는 충격적인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거기다 OMG vs EDG 전에서 OMG가 패배해 기사의 길 진출 경우의 수가 크게 좁아져 UP전을 지면 탈락이 확정되는 상황까지 몰렸지만 팀의 3번째 정글러 샤오팡이 좋은 모습을 보여 2:0으로 승리하면서 UP을 제물삼아 마침내 시즌 첫 승리를 거두고 당장 들이닥친 위기에서 벗어났다.
다음에는 2연패를 기록한 OMG와 경기를 치르게 되었는데, 여기서 지면 2025 시즌 5대 리그 첫 시즌 종료팀이 될 가능성이 높은 사실상 단두대 매치로 여겨졌고, 2:0 승리를 거두면서 매치 2연승, 세트 4연승을 기록하며 스플릿 3 잔류의 희망을 살려내는데 성공한다.
5. 2025 LoL Pro League Split 3
6. 시즌 총평
BLG나 TES같은 초강팀에는 미치지 못해도 2021년부터 2022년을 빼면 항상 월즈에 진출해왔고[1] 작년만 해도 서머 시즌 등봉조 2위에, 월즈 3시드로 진출하면서 호성적을 기록했던 LNG였지만, 스토브리그에서 핵심 전력들이 대거 이탈해 버리면서 비관적인 스타트를 끊었다.그래도 2023년 돌풍의 주역이었던 지카, 월즈 준우승 정글러 웨이웨이, 2024년 서머에서 내로라하는 미드들을 제압하며 LGD의 1옵션으로 발돋움했었던 하이차오, 루키 원맨팀으로 불리긴 했지만 그래도 나름 중상위권에는 들었었던 NIP의 봇듀오 포틱, 주오를 영입하면서 비록 스카웃은 보내줬어도 중위권은 사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고, 실제로 스토브리그에서도 중~중하위권 정도는 사수할만한 전력으로 평가받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지카를 제외한 전 인원이 장점은 커녕 단점만 극대화된 채 단체로 호러쇼를 펼쳤고, 네임밸류 따위는 온데간데 없이 내핵을 뚫는 성적을 나날이 갱신하고 있다. 이전 성적을 생각해보면 참으로 다이나믹한 추락이 아닐 수 없다.
LNG가 이렇게 처참하게 추락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작년부터 폼이 아리송했었던 웨이웨이와 포틱의 파멸적인 폼. 하이차오와 주오도 작년에 비해서 기량이 심각할 정도로 크게 떨어졌다. 계속된 연패 탓인지 팀합 자체가 붕괴되어버린 모습이며, 1군 프로팀의 경기력이라고 보기 도저히 어려울 정도로 눈이 썩는 경기력만 내내 보여주고 있다. 팀 내부에서도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었는지 웨이웨이와 포틱을 밴치로 강판시키고 2군 정글러였던 5t5를 콜업하고 LP를 영입하여 주전으로 기용했지만, 쌩신인 정글러에 어정쩡한 원딜이었던 LP가지고는 유의미한 전력보강이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힘든 것이 사실이며, 예상대로 열반조 입성 후에도 탈락을 목전에 둘 정도로 부진하여 샤오팡을 영입하기 전까지 연패를 쌓아갔다.
7. 팀별 둘러보기
| |||
| | | |
BLG | TES | LNG | WBG |
| | | |
JDG | NIP | AL | FPX |
| | | |
WE | LGD | TT | OMG |
| | | |
IG | EDG | UP | RNG |
해당 팀별 목록은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 |||
[1] 월즈 진출을 하지 못한 2022년에도 선발전 최종전까지 가서 RNG와 풀꽉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