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Ultra Prime|Ultra Prime]]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12021> | Ultra Prime 역대 시즌 | }}} | ||
{{{#!wiki style="color: #4EE6E5;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eStar Gaming | 2020 | 2021 | ||
Ultra Prime | 2021 | 2022 | 2023 | 2024 |
Ultra Prime의 역대 시즌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2026 시즌 |
1. 개요
Ultra Prime의 2025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1.1. LoL e스포츠 스토브리그/2024
11월 27일, 양중허 감독과 판진후이 코치와의 계약 종료를 발표했다. 뒤이어 다음 날인 28일 디케이드와 칭티안, 해커와 계약을 종료했고, 29일에는 유에카이, 도고, 니켓까지 계약을 종료하며 단 3일 만에 로스터가 공중분해되었다.이후 12월 12일, 2024 시즌 선수들 중 유일하게 남아있었던 샤오웨지와도 계약을 종료했다. 이후 2군 미드 라이너인 세이버와 서포터인 로지러브를 콜업했다.
13일에는 탑 라이너로 PCS에서 뛰었던 원지앙, 정글러로는 BLG 2군 출신의 준하오, 원딜로 원지앙과 똑같은 팀에서 뛰었던 와코의 영입을 발표함과 동시에 웡위판 코치를 영입했고, 감독 자리에 2군 코치였던 롄슈치를 선임하며 스토브리그를 마무리했다.
로스터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박한 편으로, 와코를 제외하면 죄다 1군 경력이 길지 않은 신인 선수들인 건 물론 중요한 감독 자리까지 콜업으로 때웠다는 점에서 명백한 최하위권 로스터라는 반응이 상당하다. 무엇보다 2025년부터 LPL 스플릿 2 최하위 두 팀에 들면 바로 시즌이 종료되는 규정이 생겼는데, 이대로라면 별 반전 없이 작년 LEC의 로그-바이탈리티보다도 더 빠르게 시즌을 날려먹을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
데마시아 컵에서는 당연하다는 듯이 광탈했다. 그나마 레전드컵[1] 준우승팀 SG를 잡아내며 1승으로 체면치레는 하는 데 성공했다.
1.2. 2025 LoL Pro League Split 1
B조에 배정되었고, 웨이보와 징동, OMG가 상대가 되었다.그러나 웨이보와 징동에게 연달아 졌고 그 두 팀이 2승씩을 선점하며 OMG와 함께 탈락이 확정되었다. 경기력 자체는 미드를 빼면 사전 예상과 다르게 최악은 아니었으나, 결국 승리로는 연결시키지 못하며 탈락의 쓴맛을 봐야 했다. 탈락 확정 후 OMG와의 경기에서도 2:3으로 패배해 전패로 시즌을 마쳤다.
1.3. 2025 LoL Pro League Split 2
스플릿 2에서도 B조에 배정되었고, 그룹 스테이지 상대는 AL, RNG, TT가 되었다. 1라운드 경기 전날 BLG.J 출신의 서포터 xiaoxia를 영입했고, 2라운드 경기 전날 기존 서포터 Rosielove를 내보냈다.AL에게는 예상대로 격차를 느끼며 패배했지만, 쥔하오의 하드캐리로 RNG와 TT를 상대로 깔끔한 차이로 승리를 가져오면서 1라운드 종료 기준 RNG에게 일격을 맞은 AL과 공동 1위에 올랐다. 특히 스플릿 1의 주요 비판점이었던 세이버가 자신의 단점을 고된 연습 끝에 보완해온 모습을 보였다.
이 경기력을 2라운드에서도 보여주면 등봉조 입성까지 노릴 수 있는, B조의 이변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었지만 2라운드에서 AL과 RNG에게 연달아 패배했고, 등봉조 직행이 걸린 TT전도 패배하면서 2라운드 전패와 함께 등봉조 티켓을 TT에게 넘기고 말았다. 그러나 다행히도 전적이 같은 RNG와 진행한 타이브레이커를 이겨서 코인 두개를 쥔 채 정상 승격전에 들어서게 되었다.
정상 승격전의 첫 상대는 WE가 되었고 나피리, 제드라는 깜짝 카드를 꺼냈다. 초반에 카이사가 성장부터 말리며 힘드나 싶었지만 중반부터 넘어가면서 준하오와 세이버의 맹활약으로 자신감있는 플레이를 선보이면서 승리를 거두면서 승자전으로 향했다.
승자전에서는 FPX를 만났고, 1세트에서는 초반부터 상대에게 주도권을 내주었고 중반부터 어떻게든 분전했지만 아쉽게 패배, 2세트에서도 초반 주도권을 내주었지만 그 이후 세이버의 맹활약으로 세트를 가져오는데 성공해서 게임을 3세트까지 끌었다. 그러나 3세트에서는 레넥톤이 유통기한이 일찍 찾아왔고 전 라인이 전반적으로 다 무너지면서 상대 케넨의 전기구이의 희생양이 되어버리며 아쉽게 1:2로 패배, 결국 정상 승격전 최종전에서 대기하게 되었다. 이후 패자조에서 WE가 LGD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면서 최종전은 WE와의 리매치가 되었고, 1세트를 선취했지만 이후 두 세트를 내리 패배하여 승패패로 복수를 당하며 결국 마지막 열반조 진출팀이 되어버렸다.
결과적으로는 그룹 스테이지 도중 반전의 여지를 보여줬지만, 그를 완성시키지 못해 사전 예상대로 열반조에 배정되는, 떨어질 팀은 떨어지는 결과를 거두게 되었다. 당장 지난 서머 시즌에도 기대에 비해 선전하다 같은 약팀들에게 얻어맞으면서 열반조로 떨어지고 열반조에선 손도 못 써본 채 하위권으로 탈락한 바 있는데, 이번 시즌은 열반조 하위권 2팀에게 시즌 조기 종료라는 최악의 결과가 기다리고 있기에 더 확실히 분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4. 2025 LoL Pro League Split 3
2. 시즌 총평
3. 팀별 둘러보기
| |||
| | | |
BLG | TES | LNG | WBG |
| | | |
JDG | NIP | AL | FPX |
| | | |
WE | LGD | TT | OMG |
| | | |
IG | EDG | UP | RNG |
해당 팀별 목록은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 |||
[1] 이름은 뭔가 있어 보이지만 사실은 LPL 前 프로들 및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대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