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숙어
중대한 일을 앞두고 있을 때 긴장 혹은 비장의 의미로 붙이는 추임새로 쓰이는 숙어다. 한국어로는 보통 가자, 갑시다로 번역된다.비꼬는 의미로 "또 시작이네"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혼자 있을 때는 'Here I go'가 정확한 표현이지만, 이미 관용적으로 숙어로서 굳어졌기에 대개는 주어에 무관하게 'Here we go'로 통일해서 쓴다.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마리오가 더빙으로 자주 들려주는 어휘기도 하다.#
2. 파브리지오 로마노의 멘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브리지오 로마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브리지오 로마노#Here we go!|Here we go!]]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저명한 축구 기자 파브리지오 로마노가 이적 시장에서 특정 선수의 이적이 임박했을 경우 SNS에 적는 멘트다. 기자로서의 저명성과 적중률까지 매우 높아 축구팬들 사이에선 거피셜처럼 받아들여지며, 일종의 유행어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3. C+C Music Factory의 싱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re We Go (Let's Rock & Roll)#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re We Go (Let's Rock & Roll)#|]]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아라시의 앨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RE WE GO!#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RE WE GO!#|]]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THE iDOLM@STER 시리즈 수록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re we go!!#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re we go!!#|]]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온게키 시리즈 수록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re We Go(온게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re We Go(온게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