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 블랙홀 Black Hol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rowcolor=#000,#fff> 구조 | 사건의 지평선 | 빛 구 | 제트 | 중력 특이점 |
용어 | 호킹 복사 | 에르고 영역 | 밀집성 | 티플러 원통 | 에딩턴 광도 | 블랙홀 정보 역설 | |
기타 | 웜홀 | 화이트홀 | 마이크로 블랙홀 | 이중 블랙홀 | |
인물 | 스티븐 호킹 | 킵 손 | 로저 펜로즈 | |
문서가 있는 블랙홀 | 궁수자리 A* | 포웨히 | 백조자리 X-1 | S5 0014+81 | XTE J1650-500 | Tonantzintla 618 | 봉황자리 A | | }}}}}}}}} |
[[백조자리#구성원|백조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데네브 Deneb | 베타성 알비레오 Albireo | 감마성 사드르 Sadr | 델타성 파와리스 Fawaris | |
엡실론성 알자나 Aljanah | 제타성 백조자리 제타 ζ Cyg | 에타성 백조자리 에타 η Cyg | 세타성 백조자리 세타 θ Cyg | |
이오타성 백조자리 이오타1·2 ι Cyg | 카파성 백조자리 카파 κ Cyg | 람다성 백조자리 람다 λ Cyg | 뮤성 백조자리 뮤 μ Cyg | |
누성 백조자리 누 ν Cyg | 크시성 백조자리 크시 ξ Cyg | 오미크론성 백조자리 오미크론1·2 ο Cyg | 파이성 백조자리 파이1·2 π Cyg | |
로성 백조자리 로 ρ Cyg | 시그마성 백조자리 시그마 σ Cyg | 타우성 백조자리 타우 τ Cyg | 웁실론성 백조자리 웁실론 υ Cyg | |
피성 백조자리 피 φ Cyg | 카이성 백조자리 카이 χ Cyg | 프시성 백조자리 프시 ψ Cyg | 오메가성 백조자리 오메가 ω Cyg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백조자리 1 | 백조자리 2 | 백조자리 3 | 백조자리 4 | |
백조자리 5 | 백조자리 7 | 백조자리 8 | 백조자리 61 | |
그 외 백조자리에 속한 항성 | ||||
백조자리 P | HDE 226868 | 백조자리 NML | - |
}}}
}}}
- [ 심원천체 ]
- ||<-5><tablebgcolor=#fff,#1c1d1f><width=9999><nopad>산개성단
틀:별자리 · 백조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X-1 Cyg 백조자리 X-1 X-1 Cygnus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9h 58m 21.67574s |
적위 | +35° 12′ 05.7845″ | |
별자리 | 백조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A: 블랙홀 B: 청색초거성 / LBV | |
분광형 | A: - B: O9.7Iab | |
거리 | 7,300 ± 300 광년 2,250 ± 80 파섹 | |
반지름 | B: 20~22 R⊙ | |
질량 | A: 21.2 M⊙ B: 20~40 M⊙ | |
평균 온도 | B: 31000 K | |
나이 | 4.8~7.6백만 년 | |
운동 | 시선속도 | -2.70±3.2 km/s |
자전 속도 | B: 181~199 km/s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8.95 | |
절대 등급 | -6.5±0.2 | |
광도 | B: 300,000~400,000 L⊙ | |
명칭 | ||
AG (or AGK2)+35 1910, BD+34 3815, HD (or HDE) 226868, HIP 98298, SAO 69181, V1357 Cyg |
[clearfix]
1. 개요
Cygnus X-1백조자리에 있는 대표적인 X선 쌍성계로, 21.2 태양질량을 가진 블랙홀과 그 동반성으로서 밝은 청색변광성인 HDE 226868로 이루어져 있다. 태양계로부터 약 6천 광년 떨어져 있다.
2. 상세
발견연도는 1964년으로, 하늘에서 가장 밝은 X선 천체중 하나로 가장 먼저 발견됐다. 발견 당시에는 이 천체의 정체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였으나 이후 여러 관측을 통해 블랙홀일 가능성이 가장 높음이 검증되었고, 현재는 블랙홀임이 밝혀진 최초의 천체로 인정받고 있다.
백조자리 X-1의 강착원반은 동반성인 HDE 226868의 항성풍으로 만들어 졌으며 백조자리 X-1과의 거리는 0.2AU, 지구와 태양간 거리의 1/5밖에 되지 않는다.
3. 여담
- 일반인들을 위한 우주 천체 관련 과학 교양 서적에서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대체로 블랙홀을 설명하면서 "블랙홀이 중력이 그렇게 강해서 빛도 탈출할 수 없다면, 어떻게 블랙홀을 우리가 인지할 수 있을까?"라고 할 때 "우주에 있는 별 대부분은 쌍성계니까[1] 적색거성이 된 쌍성계 중 어느 한 쪽이 이미 블랙홀이 되었다면, 쌍성계 다른 한 쪽 적색거성의 가스가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건 볼 수 있겠지?"라고 추측했고 백조자리 X-1이 거기에 딱 부합하는 천체였다고 설명하는 식이다.
물론 이는 아주 초기의 이론[2]이고, 특이점이 정적인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에 국한되는 이야기고, 커(Kerr) 블랙홀 등 특이점이 회전하거나 하는 블랙홀들은 해당이 없다. 게다가 이제는 블랙홀에도 강착 원반이 있고 회전축 방향으로 고압 고속의 가스를 내뿜는다는 것 등이 잘 알려져 있다.
- 이 천체는 1974년 스티븐 호킹과 킵 손 사이에 벌어졌던 내기의 대상이 되기도 했는데, 내기의 내용은 '이 천체는 블랙홀이 맞다/아니다' 였으며 손은 맞다, 호킹은 아니다에 걸었다. 사실 당연히 호킹도 블랙홀이 맞다고 생각했으나 아니라는 쪽에 건 이유는 맞으면 이론이 맞아서 좋은데다가, 설령 블랙홀이 아니더라도 결국은 내기에 이긴거나 다름없으니 그걸로 위안이 되므로 상관없었다. 내기 상품은 상대 국가의 성인잡지 1년 구독권이었으며, 이 천체가 블랙홀이라는 것이 입증되자 1990년 호킹은 내기에 졌음을 인정하고 손 박사에게 <펜트하우스> 1년 구독권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