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치자리#발견된 천체|황새치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황새치자리 알파B α Dor | 베타성 황새치자리 베타 β Dor | 감마성 황새치자리 감마 γ Dor | 델타성 황새치자리 델타 δ Dor | |
엡실론성 황새치자리 엡실론 ε Dor | 제타성 황새치자리 제타 ζ Dor | 에타성 황새치자리 에타1·2 η Dor | 세타성 황새치자리 세타 θ Dor | |
카파성 황새치자리 카파 κ Dor | 람다성 황새치자리 람다 λ Dor | 누성 황새치자리 누 ν Dor | 파이성 황새치자리 파이1·2 π Dor | |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황새치자리 1 | 황새치자리 30 | 황새치자리 36 | 황새치자리 40 | |
황새치자리 50 | 황새치자리 60 | 황새치자리 70 | 황새치자리 80 | |
B: 바이어 명칭에 있는 항성, 취소선: 항성이 아닌 것 | ||||
변광성 명칭 순 | ||||
황새치자리 R | 황새치자리 S* | 황새치자리 AB | ||
그 외 황새치자리에 속한 항성* | ||||
황새치자리 G | HD 27713 | HD 31754 | - | |
*: 황새치자리 S를 제외한 대마젤란은하 내부에 위치해 있는 별들은 대마젤란은하/항성 문서를 참고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황새치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HD 269722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32m 18.834203064s |
적위 | -66° 24′ 12.041141832″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O형 주계열성 | |
분광형 | OBe | |
거리 | 160,000 광년 49,900 파섹 | |
반지름 | 48.55 R⊙ | |
질량 | 56.35 M⊙ | |
평균 온도 | 28,200 K | |
나이 | -년 | |
운동 | 시선속도 | - km/s |
자전 속도 | -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11.43 | |
절대 등급 | -7.83 | |
광도 | 1,343,000 L⊙ | |
명칭 | ||
HD 269722, KMHK 1036, TIC 425086260, [H2013] LMCe 1116, AL 291, LHA 120-S 45, TYC 8891-3334-1, Gaia DR1 4660299378865252096, CPD-66 429, 2MASS J05321882-6624120, UBV M 28755, Gaia DR3 4660299383207361280, GEN# +1.00269722, SK -66 132, UCAC2 2673927, GSC 08891-03334, SSTISAGEMC J053218.81-662412.1, UCAC4 118-008511 | ||
출처 | ||
위키피디아&SIMBAD |
1. 개요
HD 269722HD 269722는 N55 내부에 위치한 산개성단의 중심별로, 특이하게 O형 주계열성이지만 Be 별의 스펙트럼을 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