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16:56:06

HB식 흑연 등급

HB Graphite Scale에서 넘어옴
HB식 흑연 등급
(HB Graphite Scale)
12B 11B 10B 9B 8B
7B 6B 5B 4B 3B
2B B HB F H
2H 3H 4H 5H 6H
7H 8H 9H 10H
▶ 12B ~ 3H: 미술용, 3B ~ 2H: 필기용, B~ 5H: 밑줄용, 2H ~ 5H: 설계용, 6H ~ 10H: 암석 표시용으로 주로 쓰인다.
▶ 2B부터 2H까지의 경도는 각각 순서대로 0, 1, 2, 2½, 3, 4라고도 한다.


1. 개요2. 종류3. 목록4. 기타5. 흑연 및 점토 비율

1. 개요

현대의 연필심은 흑연점토를 혼합해서 만드는데 이 비율에 따라 연필심의 강도와 진하기가 달라진다. 보통 그 정도를 H(Hardness), B(Blackness), 혹은 F(Fine Point 또는 Firm[1])로 나누어 표시하고 H와 B는 다시 앞에 붙은 숫자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H는 연필심에 점토[2]가 많이 첨가되어 색이 연하고 단단한 연필로 숫자가 늘수록 더욱 연하고 강도가 강해지며, B는 연필심에 흑연이 많이 첨가되어 진하고 무른 연필로 숫자가 늘수록 더욱 진하고 약하다. 여기에 중간 단계로 HB가 있으며 HB와 H 사이에 F 등급도 있지만 거의 쓰이지 않는다.[3][4] 현재 생산되는 연필의 등급은 10H에서 12B까지, F를 포함해 총 24단계가 존재한다. 9H쯤 되면 글씨가 매우 연하고 단단한지라 그냥 HB 연필로 글씨 쓰듯이 쓰면 이게 쓴 건지 안 쓴 건지 헷갈릴 지경이다.

HB에서 흑연과 점토의 비율은 회사마다 다르지만 약 70:30(7:3)이며 4B는 약 83:17(5:1), 7H는 약 50:50(1:1)이다.

2. 종류

보통 필기용으로 쓰이는 연필은 B나 HB이고, 속기용으로는 더 진한 2B~3B를 쓴다. HB보다 연한 심은 필적이 흐리고 필기감이 거칠어서 대체로 필기에는 맞지 않으나, 심이 단단해서 마모가 느린(덜 닳는) 특성상 번짐이 적고 획의 굵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취향에 따라서는 F나 H를 쓰기도 한다.

미술용으로 쓰이는 연필은 4B와 6B.[5] 4B는 정밀묘사나 소묘에 주로 사용하나[6] 깨끗이 지우기가 힘들기 때문에 소묘가 아닌 이상 만화 데생이나 수채화의 밑그림 등은 더 심이 연한 연필로 해결한다. 다만 모종의 이유로 종이 뒷면에 소묘를 하게 된 경우[7]도 그렇게 그리기도 한다.[8] ,

미술용 연필세트를 사면 4B 이상의 물건도 볼 수 있기는 하다. 이 경우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8B까지 생산되며, 드물게 9B까지 나오는 사례 역시 존재하기는 한다. 심이 무르고 진한 만큼 나무보다 심의 굵기가 꽤 굵은데 그래도 날카롭게 깎으면 곧잘 부러진다. 순전히 명암용.

데생 계열에선 보통은 4B로 그리지만, 입시생 등 빠른 시간 내에 그려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명암을 빠르게 넣기 위해 6B를 활용하기도 한다. 4B로 여러 번 그어야 할 것을 두어 번으로 단축해준다. 이게 편하다 보니 굳이 입시생이 아니라도 명암 용도로 6B를 종종 활용한다. 굳이 6B인 이유는 이 이상은 시중에서 쉽게 찾기 힘들기 때문. 더 진한 걸 찾는다면 목탄이 있다.[9] 9B 이상은 흑연의 순도가 높기 때문에 필기용보다는 흑연 본연의 연구 목적으로 더 많이 쓰인다. 스테들러에서 12B를 생산하며 국내에도 들어온다. 써 보면 상당히 미끄럽다.

설계나 작도용으로는 4H나 2H 연필도 곧잘 쓰인다. 5H 정도만 와도 종이에 쓰면 거의 보이지 않고, 6H부터는 아예 암석에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위와 같이 H와 B로 경도를 나누는 HB Graphite Scale은 유럽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쓰이며, 한국에는 국가표준(KS G2602)으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로 흑연이나 점토의 함량은 표준 내용이 아니며 경도 기호(6B~9H), 분광기를 사용한 HB의 농도(0.2~0.36)만이 표준으로 되어 있어 같은 KS규격 제품, 또는 같은 JIS규격 제품이라도 농도가 다를 수 있는 것. 이외에도 숫자와 분수로 표기하는 Numerical Graphite Scale이 있는데, 19세기경 프랑스의 니콜라 자크 콩테[10]가 고안하고 이를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미국으로 도입했기 때문에 이들의 이름을 따서 Conté/Thoreau's system이라고도 한다. 이 표기는 특히 미국에서 자주 사용된다.

소련에서는 H와 B를 각각 Твёрдый(단단한), Мягкий(부드러운)에서 따와 Т와 М이라 쓰기도 했다. 또한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제국에서는 영어를 '적성어'라 부르며 배척하는 일종의 언어 순화 운동이 있었는데, 이 HB 표기 또한 그 대상이 되었다. HB는 중용(), H는 경(), B는 연()으로 표기했다. 앞에 붙은 숫자는 그대로 쓰되 그 숫자가 1이어도 생략하지 않고 1경, 1연으로 표기하였다. 다만 국가표준화된 것은 아니고 톰보연필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표기이다. #

3. 목록

<rowcolor=#fab93d> 색깔[11] 경도 용도
12B 연필 공예
11B 연필 공예
10B 연필 공예, 미술
9B 연구[12], 미술
8B 미술
7B 미술
6B 미술
5B 미술
4B 미술
3B 필기, 미술
2B (#0) 필기, OMR 기입, 미술
B (#1) 필기, OMR 기입, 미술
HB (#2) 필기, OMR 기입, 미술
F (#2½) 필기[13]
H (#3) 필기, 제도
2H (#4) 필기, 설계, 제도
3H 설계
4H 설계
5H 고고학
6H 고고학
7H 고고학, 연필 공예
8H 고고학, 연필 공예, 지적측량 제도
9H 지적측량 제도, 보호유리 테스트[14]
10H 지적측량 제도

4. 기타

제조기업에 따라, 원료로 쓰인 흑연과 심을 만드는 과정에 따라 실제 연필 사이에서는 진하기의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표기가 HB로 같다고 해서 실제 진하기가 같다고 볼 근거가 되지는 못하며, 같은 제조사의 같은 브랜드에 속한 연필들 사이에서 구별할 때만 기준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파버카스텔의 카스텔9000과 그립2001은 B가 스테들러 마스 루모그래프의 HB와 비슷하고, 같은 스테들러 사의 연필도 루모그래프 HB와 비교할 때 노리스 HB는 더 진하고 WOPEX나 노리스 에코는 HB가 더 연하다. 미국이나 일본의 연필은 표기가 같은 연필끼리 비교하였을 때 독일의 것보다 심이 진하고 무른 경향이 있다. 또 어떤 종이에 쓰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더 커 보이기도 하고 작아 보이기도 한다.

샤프심 문서에 따르면 3H 이상으로는 심으로 손톱을 긁으면 오히려 손톱이 긁힌다는 소문이 있다. 안 긁힌다. 모스 경도기 5~6 정도 되는 9H라면 손톱보다 모스 경도가 높기 때문에 이론상 손톱이 긁힐 수 있다.

참고로 10H부터 10B까지 모두 있는 연필을 구매하고 싶다면 미쓰비시 하이유니 연필 세트(총 22개)를 추천한다. 해외배송이기는 하지만 더 싸게 판매하는 곳도 찾을 수 있다. 독일의 스테들러 마스 루모그래프도 10H부터 12B까지 있는 24경도 세트를 구매할 수 있으며 이쪽은 하이유니 세트와 달리 한국에 정발도 되어서 국내에서 판매처는 적지만 구매할 수 있다. 단품으로는 11B와 10H를 제외한 22개 경도를 구할 수 있다.

5. 흑연 및 점토 비율

파일:The-Ratio-of-Graphite-to-Clay-in-Pencils.jpg
Mario Costa Sousa, John W. Buchanan에 의해 조사된 9H부터 8B까지의 흑연, 점토, 왁스 비율이다.# 평균적인 것이므로 회사마다 비율이 다를 수 있다.

[1] F만 설이 2가지로 갈린다. 일단 HB식 흑연 등급이 정립될 때부터 써온 노포 기업들인 코이노어파버카스텔에서는 Firm이라고 하고 있다. F라고 해서 심이 더 가늘게 깎이지는 않는다.[2] 샤프심의 경우 고분자 화합물[3] H와 B 사이에서 HB 등급이 나왔고 다시 H와 HB 사이에서 F가 나왔는데, H와 B 사이를 이렇게 세분하니 H와 F, F와 HB는 서로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가 되었다. 등급별 흑연심 제조에 자신 있는 회사의 고급 제품이 아니면 F심 연필은 찾아보기 힘들다.[4] 샤프심의 경우는 그래도 uni펜텔 등에서 F심을 생산하기 때문에 비교적 구하기 쉽다. 단, 0.5mm 직경 이외에는 찾아보기 매우 어려운 수준을 넘어서 그냥 없다고 보면 된다. 실제로 없기도 하다. 현재 미쓰비시, 파이롯트, 펜텔 모두 F심이 있는 라인업은 0.5가 유일하다.[5] 다만 HB도 스케치용으로는 쓰이는 편이다.[6] 가끔 크로키를 4B로 그리는 사람도 있다.[7] 종이 뒷면은 색이 잘 깔리지 않는다.[8] 대체로의 경향성이 그렇다는 것이고 숙달되면 거의 웬만한 연필로는 모두 잘 그리는 경지에 이르기도 한다.[9] 다만 연필은 기본적으로 유광이기 때문에 목탄과는 질감이 다르다. 진한 연필에서 이 광택이 더 두드러진다. 물론 스테들러Mars Lumograph Black같은 무광 연필도 존재한다.[10] 흑연과 점토를 섞고 구워서 경도와 진하기가 다른 심을 만드는 방법을 고안한 사람이다. 미술용품 콩테의 유래이기도 하다.[11] 물론 연필심은 기본적으로 유광이므로 이 표의 색깔과 완벽히 일치하지는 않는다.[12] 특히 그래핀의 연구 목적으로 많이 쓰인다.[13] 일부 제품 외에는 시판되지 않는 등급이다. 단, HB가 숫자로는 #2½에 해당하는 제품군이 있으며 이 경우 F에는 대응하는 숫자가 없다. 이런 회사에서 나오는 HB가 타사 F에 대응한다.[14] 많은 강화유리에서 홍보하는 9H등급은 “이 연필로 긁어도 안 긁힌다” 라는 의미로 실제로는 모스경도 5~6에 해당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