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適性
간단히 말하면, 무언가에 잘 맞는 것이 적성이라고 한다. 또는 무언가와 같은 소질이나 성격을 말하기도 한다.흔히 적성이 맞지 않아 대학교를 자퇴하거나 직장을 그만두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정말 적성을 찾기는 어렵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처음에는 적성에 맞는 듯 했으나 하면 할수록 자신과 맞지 않는다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되는 사례 역시 상당히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아니면 그냥 적성에 안 맞는 공부나 운동이나 직무 등을 참으면서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럴 경우 삶의 만족도는 크게 떨어질 수 있다.
2. Aptitude
국내 근대화 당시 번역 역량의 한계로 Aptitude를 적성으로 번역한 것이 굳어진 표현이다. 인적성검사에서의 적성도 이 적성이다.3. 敵性
서로 적대되는 성질. 군사적으로는 그냥 적이라는 뜻이다. 표준 군대부호에서는 육상 기준으로 적색의 마름모꼴로 나타내며 적성으로 추정하는 경우에는 물음표(?)를 덧붙인다.4. 단양 적성(丹陽 赤城)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양 적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양 적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신라가 현재의 단양군 단양읍 일대에 쌓은 산성. 적성산성이라고도 한다. 삼국의 땅따먹기 각축장이었으며 성 안에는 단양 신라 적성비가 있다. 중앙고속도로 단양휴게소(춘천방면)에서 가볍게 걸어서 올라갈 수 있다.
5. 경기도의 지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적성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적성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積成
누적당한 (수능 혹은 내신) 성적의 준말. 대학은 적성(適性)을 따라 가는 게 아니라 이 의미의 적성을 따라 가는 것이라는 슬픈 전설이 존재한다. 인터넷에서 쓰는 약어이긴 한데 사실 잘 안 쓰이는 말. 아무리 해당 학과가 나에게 적성이 가장 잘 맞는다 해도 성적에서 밀리면 갈 수 없는 현실에서 비롯된 말이다.7. 용비불패의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적성(용비불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적성(용비불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