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N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40000><tablebgcolor=#040000> | ZETA DIVISION 2025 시즌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040000><colcolor=#fff>감독 | Changgoon ]] | |
코치 | Rascal ]]|Mobydik ]] | ||
로스터 | |||
DAMAGE | Flora ]] | AlphaYi ]] | |
Pelican ]] | |||
TANK | BERNAR ]] | ||
SUPPORT | Viol2t ]] | FiNN ]] | |
OWCS 참가 팀 로스터 | }}}}}}}}}}}} |
| |
<colbgcolor=#040000><colcolor=#fff> ZETA DIVISION FiNN | |
오세진 (Oh Se-jin) | |
출생 | 2003년 9월 19일 ([age(2003-09-19)]세) |
일본 아이치현 치타군 미나미치타조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77cm |
경력 상금 | $209,666 ₩303,386,702[1] |
ID | FiNN SEjFiNN OWATANABEH Maimutaiga |
포지션 | SUPPORT |
감도 | DPI 800 / Sens 5.2[2] / Zoom Sens 32 |
주 영웅 | |
소속 팀 |
(2024.06.13. ~ ) |
국가대표 | |
|
[clearfix]
1. 개요
|
Oh "FiNN" Se-jin |
2. 플레이 스타일
핀은 공격적인 스타일을 보여주는 서브힐러 선수로 꼽힐 정도로 공격성이 매우 강한 만큼 잘 사는 플레이도 선보인다.또한 궁극기를 아껴야 할 타이밍을 잘 보는 편이라 상대와의 심리전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이고, 모이라 또한 꽤나 준수하게 잘 다루어 2022년 당시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공격성이 지나치게 강하다는 비판또한 받았다.
2023 월드컵에서 딜러를 꺼냈을 당시 뛰어난 에임을 선보여 에임에서도 강점을 보이는 선수라는 것을 증명했다. 하지만 2023 오버워치리그에서는 팀의 부진의 원인으로 꼽히기도 하며 이러한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옵챔스에서는 ZETA DIVISION에서 아나, 키리코, 주노로 활약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안정적인 플레이를 보여줬다.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오버워치 | ||||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우승 | ||||
RunAway | → | O2 Blast | → | WGS Phoenix |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 시즌 2 우승 | ||||
WGS Phoenix | → | O2 Blast | → | 미정 |
2021 오버워치 NeXT Cup Winter 우승 | ||||
Team CC | → | O2 Blast | → | 미정 |
준우승 경력 | ||||
2021 오버워치 NeXT Cup Spring 준우승 | ||||
Bilibili Gaming | → | O2 Blast | → | Bilibili Gaming |
2022 오버워치 리그 미드시즌 매드니스 준우승 | ||||
필라델피아 퓨전 댈러스 퓨얼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서울 다이너스티 샌프란시스코 쇼크 |
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 서부 준우승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미정 |
2022 오버워치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 ||||
애틀랜타 레인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미정 |
4. 논란 및 사건사고
4.1. 2022 시즌 7주차의 보스턴전 도발 멘트 사건
2022 오버워치 리그 7주차 당시 보스턴전에서 남긴 채팅이 논란이 되었는데, 경기에서 이리저리 활약하며 예상대로 쇼크가 무난히 승리했으나 이 때에 경기가 계속 풀리지 못해 절박했던 보스턴에게 다소 분위기를 고려하지 않은 도발과 트래시 토크를 관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기 후 인터뷰에서도 계속했던 것으로 인해 선수 딴엔 장난이었겠으나 이 일은 팬들 사이에서 Profit 법규 사건과 Lastro 빅딕 사건(...) 못지않게 논란이 되고 있다.2번째 경기에서 아이헨발데 공격에서 시작한 쇼크는 기어이 파죽지세로 3거점까지를 모조리 밀고서는 계속 보스턴의 탱커 Punk가 계속 Coluge 상대로 밀렸던 탓에 수비가 시작하기전에 핀이 전체채팅으로 "sig gap(시그마 차이)." 라며 도발하자 이에 Crimzo가 이런 모습이 작년보다는 훨씬 나은 거라며 받아치는 등의 상황이 일어났다. 물론 여기까진 사실 그저 평범한 장난이었다고 충분히 여길 만 했으나 하필 보스턴이 쇼크 상대로 점점 밀렸던 탓에 보스턴 입장에선 굉장히 절박한 경기였는데 다음 수비가 시작하는 순간에도 멈추지 않고 전체 채팅을 통해 "kill me." 라며 다소 약올리는 듯한 뉘앙스로 Victoria를 도발하며 빅토리아에게 잘려 주는 사망 세리머니까지 선보이기까지 했던 탓에 아무리 아직 나이가 어려도 트로피를 여러 번 들어본 엄연한 로열로더 출신 선수로서는 다소 무례하게 보일 수 있는 도발 멘트 사용을 한 것이 화근이 되었다.
당시 경기가 쇼크의 압도적 승리인 3대 0으로 끝났는데, 경기 중에서만 그쳤으면 그냥 예전의 라스트로처럼 톡식한 밈이 되면서 조금 소란스럽게 끝날 정도였으나 인터뷰에 나가서도 핀은 본인 팀 힐러들은 잘 살았고 킬뎃 수치가 0데스였는데 보스턴의 펑크는 0킬이었단 언급을 통해 제아무리 쇼크 측 경기 내용이 좋았던들 대놓고 상대 팀 소속 선수를 상대로 자기 팀원들의 실력과 비교하며 폄하하기까지 한 탓에 해프닝으로 지나갔을 일이 문제가 커졌던 것이다. 결국 이로 인해 해당 경기 영상의 댓글에서도 갑론을박이 오고 가고 있는 가운데 해당 발언과 행동을 옹호하는 측의 논리는 대체로 '농담인데 뭘 심각하냐', '당사자들이 잘 받아주지 않았냐', '방송인데 그냥 방송으로 봐라', '흔한 트래시 토크 아니냐' 등이 있었으나 핀의 발언 수위가 도발 치곤 너무 나갔던 탓에 여전히 의견이 갈리고 있는 상태이다.[3]
5. 장비, 감도, 세팅
<rowcolor=#fff> 마우스 설정 (Mouse Settings) | |||||
<rowcolor=#000> 마우스 | eDPI | DPI | 감도 | 조준감도 | 그립법 |
Logitech G703 LightSpeed | 4640[4] | 800 | 5.2[5] | 32 | Palm grip |
<rowcolor=#fff> 최종 업데이트 2023년 09월 16일 [수정일] |
<rowcolor=#fff> 장비 (Hardware) | ||
<rowcolor=#000> 마우스 | 마우스패드 | |
Logitech G703 LightSpeed | Artisan Zero XSOFT [7] | |
<rowcolor=#fff> 모니터 | 주사율 | 엔비디아 제어판 세팅 |
ASUS ROG SWIFT PG258Q | 240hz | |
<rowcolor=#000> 키보드 | 헤드셋 | |
Wooting 60HE | SONY INZONE H5 | |
<rowcolor=#fff> 최종 업데이트 2023년 08월 21일 [수정일] |
<rowcolor=#fff> 인게임 설정 (Ingame Settings) | ||
<rowcolor=#000> 그래픽 | 그래픽 품질 | |
해상도 1920 * 1080[9], 랜더링 스케일 100% | 낮음 | |
<rowcolor=#000> Nvidia Reflex | 초정밀 마우스 | 조준선 |
활성화 | 비활성화 | |
<rowcolor=#fff> 최종 업데이트 2023년 09월 16일 [수정일] |
6. 여담
- ta1yo와 듀오 플레이를 하면서 밝혀진 내용인데[13] 사실 FiNN은 한일혼혈로, 일본에서 약 6년간 일본의 시골에서 살았다고 한다. 미나미치타조라는 아이치현에 위치한 마을이라 밝혔는데, 초등학교 중학교도 지냈다고 한다. 친구한테 살았던 곳에 대해 말했더니 너의 이름은.에서 봤던 곳 같은 데서 살았다고 했다는 게 압권.
- 아나 줌감도는 32를 사용한다.
- 감도는 같은 팀 딜러 Proper와 같은 DPI 800에 인게임 7.02였으나...[14] 2022년 11월 기준으로 인게임 5.8[15]으로 감도을 소폭 낮추었다. 원래 감도였던 7.02는 EDPI 5616으로 리그 내 감도가 알려진 서브힐러들 중에서는 가장 고감도였다.[16]
- 닉네임 FiNN은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인스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서 제일 좋아하는 영화로 꼽은 적이 있다.
- 리그에 입성하면 등번호로 99번을 달 것이라 밝혔는데 자신의 생일이 9월 19일, 어머니의 생신이 9월 9일이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는데 그 말대로 리그로 가며 소원을 이뤘다.
성공한 프로 핀
- 성격이 상당히 밝고 쾌활해보인다. 위에 서술된 도발 사건도 그렇지만 경기 중 페이스캠을 보면 항상 웃거나 무슨 말을 쉴새 없이 하는 모습이 잡힌다. 심지어 경기에서 진 상황에서도 씁쓸한 웃음을 짓는 것으로 보아 정말 상황 자체를 즐기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옆에 페어 힐러인 바이올렛의 표정과 비교하면 확실히 웃는 모습이 더 많다.[17]
- 2023년 12월부터 일본어로 방송 및 유튜브 컨텐츠를 진행한다.
7. 갤러리
| | |
오버워치 컨텐더스 2021시즌 | 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 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
| |
| | |
오버워치 챔피언스 | EWC 2024 | 오버워치 챔피언스 |
|
[1] 2025년 1월28일 기준[2] 바티스트만 5.5[3] 또한 이 사건 이전에 평소에 핀이 선수로서 켜는 개인방송이나 경쟁전 도중에 보여왔던 게임 태도에서 다소 팀원, 상대에게 화를 자주 낸다거나 민감하게 반응하는 때가 잦았던 일들을 통해 성격에 대한 평가가 사실 이전부터 "좋지 못하다 vs 다른 팀도 이런 케이스가 많은데 왜 유독 핀에게만 그러냐" 같이 팬덤과 비판 측의 이견들이 팽팽히 오갔는데, 이 일로 인해 핀의 이미지가 방송 상 해프닝 및 풍문 정도에 그치다 어느 정도 금이 가게 되었다. 여러모로 팀 내 선배인 바이올렛과 비슷한 케이스.[4] 바티스트는 4480. 과거에는 5680을 사용했다.[5] 과거에는 7.1를 사용했다.[수정일] [dday(2023-09-16)]일 지남.[7] 이전에는 Zowie G-SR을 사용하였다.[수정일] [dday(2023-08-21)]일 지남.[9] FHD 240hz[수정일] [dday(2023-09-16)]일 지남.[11] I can speak 🇰🇷🇯🇵🇺🇸[12] 한국어, 일본어, 영어[13] https://youtu.be/KIeMaJi570Q[14] 이후 7.1로 한번더 변경[15] 바티스트는 5.6[16] 이러한 고감도 서브힐러로 알려진 대표적인 인물은 북미 아나장인 스트리머 mL7. 그는 DPI 800에 인게임 7, 줌감도 50의 서브힐러 치곤 상당한 고감도를 사용한다.[17] 바이올렛은 오버워치 프로게이머들 중에서도 승부욕이 엄청나기로 정평이 나있다. 그래서 경기에서 졌을 때 페이스캠을 보면 확실히 표정이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