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23:23:50

Escape from Duckov/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scape from Duckov
<colbgcolor=#1a303d,#1a303d> 파일:Escape from Duckov 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a303d,#1a303d> 게임 정보 <colcolor=#000> 구역 · · 퀘스트 · 노트 · 이벤트 · 모드
아이템 아이템 ( 무기 · 부착물 · 장비 · 소모품 · 제작법 ) }}}}}}}}}

1. 개요2. 일반 개체
2.1. 폭주 넝마꾼(Rampaging scavenger)2.2. 넝마꾼(Scavenger)2.3. 늑대2.4. 용병(Mercenary)2.5. 방랑자(Wanderer)2.6. 보행 버섯(Walking Mushroom)2.7. 기계 거미(Spider-Bot)2.8. 테스트 대상(Test Object)2.9. 폭풍 생물(Storm Creature)2.10. 폭풍 벌레(Storm Bug)2.11. 폭풍?(Storm?)2.12. 흥흥이(little_Xing)
3. 보스
3.1. 감금소
3.1.1. 교도관
3.2. 제로존
3.2.1. 라이트맨3.2.2. 꼬마덕
3.3. 창고 구역
3.3.1. 로든3.3.2. 급속 단장
3.4. 농장 마을
3.4.1. 샷건3.4.2. 폭탄광3.4.3. 비다3.4.4. 쓰리샷 형님3.4.5. 파리 대장3.4.6. BA 대장3.4.7. 일진3.4.8. 폭주 아케이드3.4.9. 미셀3.4.10. 고급 엔지니어3.4.11. 폭주 기계 거미3.4.12. 광산장3.4.13. ???
3.5. 데모 얼티메이트 챌린지
3.5.1. 흥이
3.6. J-lab 연구소
3.6.1. 바리케이드
3.7. 폭풍 구역
3.7.1. 푸룽푸룽3.7.2. 팔라팔라3.7.3. 빌리빌리3.7.4. 구루구루3.7.5. 코코코코
3.7.5.1. 보스 방 진입 방법

1. 개요

Escape from Duckov에 등장하는 적 캐릭터들.

적들끼리도 같은 소속이 아니면 서로 싸우며 먼저 어그로를 끈 대상이 있다면 자기가 공격당하는 것을 무시하고 어그로 대상을 먼저 처치하려는 Ai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뒤통수를 노리거나 서로 죽고 남은 전리품들을 루팅하는 식으로 어부지리를 노릴 수 있다.

모든 적들은 죽이면 루팅할 수 있는 최소 8칸의 공간을 가진 전리품을 남기는데 이는 죽인 적마다 외형이 다르다. 넝마꾼 등은 사망 시 통닭 요리가 되어버리고, 늑대는 묶인 포대자루를, 거미는 금속 큐브를, 폭풍 생물은 보라색 포대자루를, 버섯은 버섯갓을 남긴다. 용병과 방랑자는 회색 수트케이스를, 대부분의 보스는 노란색 수트케이스를 남긴다.

이 전리품은 들고 움직일 수 있는데 들고 있는 동안에는 달릴 수 없고 구르기를 시전하면 해당 위치에 떨어뜨린다. 종종 겹쳐서 루팅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 들어서 치울 수도 있으며 파밍에 활용하자면 무거운 물품을 안에 넣어두고 이동하다가 전투시 내려놓고 과중 상태를 벗어나거나 철수 지점 근처에 전리품에 무거운 물품을 넣어놓고 주변을 더 파밍하다 충분히 파밍한 후 전리품에 든 아이템을 챙기고 철수하는 식으로 무게 패널티를 피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2. 일반 개체

2.1. 폭주 넝마꾼(Rampaging scavenger)

파일:EFD_Rampaging_Scavanger.png
근접 무기를 들고 있는 붉은 오리다. 무조건 근접 공격뿐이기에 최하위 티어 권총이나 적당한 근접 무기만 들고 있어도 손쉽게 요리할 수 있지만, 의외로 이동속도가 빠르고 지치지도 않아 스태미나가 없거나 탄약이 떨어진 상태에서 이들 무리를 마주치면 곤란한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공격하기 직전 붉은 빛이 번뜩이는데 이걸 보고 구르기를 눌러주면 공격을 피할 수 있다.

화가 난 표정의 빨간 새라는 점에서 디자인은 앵그리버드레드의 패러디로 보인다.

2.2. 넝마꾼(Scavenger)

파일:EFD_Scavanger.png 파일:EFD_SeniorScavanger.png
일반 개체 강화 개체
총기를 들고 있는 청록색(일반) 및 회색(강화) 오리다. 대부분은 질 낮은 동구권 무기와 방탄복을 착용하고 있으며, 간혹 중간~고급 클래스의 무기나 헬멧, 가방 등 유용한 장비를 갖고 있는 개체가 스폰되기도 한다. 낮은 확률로 최대 AK-103까지 들고 나올 확률이 있다.

정면 시야가 넓어서 먼저 플레이어를 발견하고 오리 울음소리를 내고 공격해오는 경우가 많지만, 의외로 정면 이외의 시야 범위는 좁아 근접 무기를 들고 측면이나 후방에서 살금살금 접근하면 알아차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농장 마을부터는 강화 개체들이 출현하는데, 머리 위에 별이 표시되어 있다. 일반 넝마꾼보다는 좋은 무기와 방탄복을 착용하고 있으나 용병급의 장비보다는 떨어지는 편. 자체적인 스펙은 빈약해서 일반탄으로도 창고 이전의 개체처럼 쉽게 잡을 수 있지만 사방에 물량이 많기 때문에 보스나 강한 적과의 교전 중 난입해서 MP-155나 AK-47을 들고 근접에서 영거리 사격을 해대면 제법 위협적이니 주의해야한다.

2.3. 늑대

파일:EFD_Wolf.png
보더콜리 혹은 시베리안 허스키를 연상시키는 검고 흰 털을 가진 개다.

공격 패턴은 단순한 근접공격뿐이지만 탄을 한 발 맞으면 수직으로 방향을 꺾었다가 다시 접근하는 회피패턴을 가지고 있다. 맷집은 모든 적들 중 가장 약하기 때문에 그냥 직선으로 접근할 때 단발사격으로 2~3발 쏴주면 허무하게 처치당한다.
위협적인 적은 아니지만, 늑대에게 발각되면 벽이나 펜스에 막혀있어도 입구를 찾아내어 우회한 뒤, 내부로 진입해서 플레이어의 위치까지 달려오는 성가신 집요함을 지니고 있다. 평소에는 그저 귀찮을 뿐이지만, 강적들과 교전 중에 늑대가 난데없이 난입하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이럴 때는 보통 성가신게 아니다.

확률적으로 식품류 아이템들을 드랍한다.

2.4. 용병(Mercenary)

파일:EFD_Mercenary.png
중무장한 검은색 오리. NPC들이 검은색 오리라고 부르지만 적대적인 상대를 만나면 까마귀처럼 까악거리는 소리를 내는지라 유저들은 까마귀라고도 부른다. 시야 범위와 청력도 넝마꾼보다 우월하며, 플레이어가 조금만 시야 밖으로 빠져도 금세 어그로가 풀리는 넝마꾼들과는 달리 용병들은 상당히 멀리까지 플레이어를 쫓아오는 호전적인 모습을 보인다. 고정 스폰을 제외하면 확정적으로 인식표를 드랍하며, 다른 적들보다 많은 현금을 드랍한다. 용병이라는 이름답게 MP-155정도를 제외하면 서방권 무기의 사용 비율이 높고 수류탄도 다수 들고 있을 확률이 있다.

제로 존에서는 꼬마덕이 점령하고 있는 도로 캠프에 3~5마리가 고정적으로 등장하며, 다양한 지역에서 확률적으로 2~3마리씩 뭉쳐서 등장한다.

이들은 MP7/Vector/MP5 같은 고연사 기관단총이나 MF/AK-47/StG-77 등의 고화력 소총, MP-155 같은 대용량 산탄총을 무기로 사용하며 사용탄도 저급탄부터 최고급 철갑탄까지 무작위로 사용하므로 생각없이 공격을 맞아주면 순식간에 죽을수도 있다. 낮은 확률로 고티어 무기인 DT MDR-556나 M1A를 쓰는 개체도 존재하는데 초반에 운 좋게 잡으면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상대할 때도 일반 용병이겠거니 하다가 순식간에 녹아내릴 수 있다.

방탄복은 기본 2레벨에 최대 5레벨까지 착용하지만 헬멧은 드물게 착용하고 나오니 헤드샷을 노리면 잡기 수월하다. 초반에 운좋게 5레벨 방탄복을 착용한 개체를 잡으면 이후 진행이 매우 편해진다.

2.5. 방랑자(Wanderer)

파일:EFD_Wanderer.png
서바이벌, 극한 기준 90 HP. J-Lab에서 출현하는 주요 적들로, 그동안 보았던 용병보다도 더욱 위협적인 잡몹. 플레이어를 발견할시 기존의 넝마꾼이나 용병들과는 달리 '끼에엑!' 하는 소름 끼치는 울음소리를 내며 공격해온다. 랩의 음침한 분위기와 더불어 초심자에겐 상당히 공포스러운 요소 중 하나.

보다 정확하고 빠른 연사력으로 플레이어를 압박하며 공격해오는 것이 특징이며 섬광탄이나 수류탄 등의 투척무기도 심심치 않게 던져대 플레이어의 은엄폐를 방해한다. 들고오는 무기도 주로 기관단총이나 산탄총 등인데, 실내 오브젝트와 모퉁이 형태의 지형이 매우 많아 근거리 교전과 사각지대가 자주 발생하는 맵 환경과 적합해 매우 위협적이다. 게다가 사용하는 탄도 높은 확률로 철갑탄 이상에 5레벨 방어구로도 방호가 불가능한 특수 철갑탄을 갈겨대는 개체까지 심심찮게 보인다. 운이 나쁘면 DT MDR-556에다가 상위 철갑탄을 들고 있는 지뢰격으로 강력한 개체가 나와 플레이어의 돌연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간혹 일반탄을 사용하는 개체도 나오는 편.

거기에 발소리를 잘 내지 않기 때문에 헤드폰으로 발생하는 소음 UI가 발생하지 않을 때도 있어서 직접 인게임에서 발생하는 소리만으로 적 위치를 가늠하거나 천천히 피킹 및 유인탄을 쏘는 등의 행위로 적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등 랩실 특유의 전투 방식으로 차분하게 공략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랩실은 낮 밤 및 공간폭풍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몹도 추가적으로 리스폰되지 않기 때문에 한 번 확실하게 청소한 구역은 추가적으로 경계할 필요가 없다.

이렇다보니 잠깐만 방심해도 끔살당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적. 한발이라도 맞기 전에 먼저 박살낸다는 마인드로 가능한 최고 티어의 탄약을 헤드에 아낌없이 퍼붓는 것을 권장한다. 어차피 잡기만 하면 기본이 철갑탄에 고급 철갑탄도 심심치 않게 주고 총기 부품도 거의 달려있는데다 가끔 특수 철갑탄까지 두둑히 퍼주는 혜자몹이다.

2.6. 보행 버섯(Walking Mushroom)

파일:EFD_Walking_Mushroom.png
비가 올 때 랜덤한 장소에 스폰되는 걸어다니는 버섯으로 한 곳에 다수가 무리지어 스폰되는 경우가 많다. 주변 8방향으로 포자를 3발씩 뿜는 단순한 공격패턴을 가지고 있어 한 마리만 상대할 때는 파훼하기 어렵지 않지만, 다수가 여기저기서 포자를 뿜어대면 흡사 탄막 게임을 방불케 하는 광경이 펼쳐지며 굉장한 압박감을 선사한다. 또한 이 포자는 헤드샷 판정이므로 주의.

엄폐물을 하나 끼고 소총이나 저격총 등 명중률이 좋은 무기를 이용해 원거리에서 저격해 처치하는 것이 좋으며, 버섯들이 다른 모든 생명체와 적대한다는 점을 이용해 이이제이를 노리는 방법도 있다.

버섯을 처치하면 식품 아이템 '버섯' 1개를 고정 드롭한다. 비가 올 확률이 낮은데 비가 오더라도 버섯을 마주하기가 쉽지 않은데다가 상위 운동 패시브 스킬 해금에 상당수를 요구하기 때문에 운 좋게 획득 했다면 팔지 말고 모아두는 것이 좋다.[1]

2.7. 기계 거미(Spider-Bot)

파일:EFD_Spider-Bot.png 파일:EFD_Spider-Bot_2.png
일반 개체 강화 개체
회색 용기병처럼 생긴 로봇으로, 밤(22시~06시)에 거미가 사냥을 나왔다는 경고와 함께 출현한다. 또한 한 번 출현한 거미는 아침이 밝았다고 해도 사라지지 않는다.

기계 거미는 다수가 무리짓는 일 없이 단독 활동을 하지만, 탄퍼짐 없이 3발씩 점사하는 기관총을 빠르게 2~4번 쏘아대는 엄청난 화력과 한번 추적하기 시작하면 아무리 멀리 도망가도 추적 대상이 죽을 때까지 쫓아오는 집요함 때문에 상당한 난적이다. 거기에 가끔씩 탄환을 맞으면 빠르게 무빙을 치는 패턴을 시전해 조준을 방해하기까지 한다.

기계 거미는 일정한 리듬으로 사격하기 때문에 구르기 후 공격을 반복하면 노대미지로 격파 가능하지만 방어구 레벨이 높아서 관통력이 낮은 탄환으로는 아주 오래 걸리고 총성 때문에 다른 적들이 모여들면 매우 곤란하니 최소한 용병들이 들고 다니는 수준의 무장[2]을 갖추기 전까지는 절대 밤에 수색을 나가는 것은 추천하지 않으며, 수색 중 밤이 되면 기계 거미와 마주치기 전에 벙커로 돌아와야 한다.

발소리는 오리들의 그것과 미세하게 다르고 시야가 없는 부분에서도 붉은 빛이 비춰지며 적을 인식했을 때 들리는 특유의 기계음과 살벌한 기관총 발사음 덕에 주변에 기계 거미가 있다면 플레이어가 먼저 알아차리는 일이 많다. 버섯처럼 다른 모든 생명체를 적대하기 때문에 돌아다니면서 마주치는 모든 적과 교전을 벌이는데, 간혹 용병 및 보스 무리와 싸움이 붙어 그들을 작살내버리는 덕에 플레이어가 어부지리를 얻는 상황이 나오기도 한다. 특히 낮에 개활지에서 보스와 교전하다보면 쓸데없이 넝마꾼들이 끼어들어 난전이 되는 경우가 잦은데 거미가 스폰되어 있다면 주변 넝마꾼을 싹 잡아주고 운 좋으면 보스의 체력까지 까주는 경우가 많다.

기계 거미를 처치하면 특수 아이템 '연산 코어' 1개를 고정적으로 드롭하며 그래픽카드를 포함하여 컴퓨터에서 루팅할 수 있는 전기 부품류를 추가로 드롭하기도 한다. 연산 코어는 상위 패시브 해금에 상당한 양을 요구하니 모아두는 것이 좋다.

연구소 지역의 2층에서는 스파크가 감도는 강화 개체가 출연한다. 공격 간격이 훨씬 빠르고 발사 횟수도 많으니 상대할 때 주의하자.

캐릭터를 발견할 시 빨간색으로 활성화 상태가 되는 모습, 파괴한 후 떨구는 시체 상자의 모양 등으로 미루어보아, 여러모로 게임 포탈을 패러디한 흔적이 보인다.

2.8. 테스트 대상(Test Object)

파일:EFD_Test_Object.png
J-lab 2급 인증서로 들어가는 방에서 등장하는 몹. 영구 투명 상태로 접근해 근접 공격을 하며, 맨눈으로 보면 전혀 실체가 보이지 않고 발소리도 들리지 않기 때문에[3]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로 들어갔다간 영문도 모른 채 돌연사하기 쉽다. 돌다리 두드려가며 건너듯이 견제 사격을 하면서 전진하거나 공격 직전 발생하는 붉은 이펙트를 보고 회피해서 잡는 방법이 있지만 근접몹답게 속도가 빠르고 넓은 곳으로 가면 생각보다 숫자가 많기 때문에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T-7 열화상 고글[4]이나 눈가리개를 착용하면 실루엣을 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서 접근 전에 미리 감지해 잡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정석적인 방법.

처치 시 아무 아이템도 드랍하지 않는다.

2.9. 폭풍 생물(Storm Creature)

파일:EFD_Storm_Creature.png
보라색 연기로 둘러싸인 적으로, 주기적으로 몰아치는 폭풍 기간 동안에만 출현하며 한 지역에 2~3마리씩 무리지어 스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공격할 때 버섯과 똑같이 소음기를 낀 기관단총 발사음이 나는데다 주변의 모든 생명체를 적대해 선공을 걸기에 플레이어가 이미 정리를 마친 지역이 아니라면 폭풍 생물의 존재를 눈치채기는 어렵지 않다.

전투력이 상당히 괴랄한데, 4발의 탄환을 빠르게 3번씩 점사하는 공격 패턴을 갖고 있으며 공격 사이의 간격도 짧고 적대 개체를 집요하게 추적한다. 그뿐만 아니라 이동속도도 매우 빠르고 피격당하면 굴러서 플레이어의 총알을 회피한다. 거기에 가만히 있는 것도 아니라 계속 움직이며 공격하는데 이는 마치 기계 거미의 공격 패턴을 좀 더 강화해서 보스급 적인 꼬마덕이나 급속 단장에게 붙여놓은 듯한 모습이다.

기계 거미와 마찬가지로 폭풍 생물을 상대할 때는 근접거리를 내주면 안 된다. 샷건을 쓰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거리를 벌리면서 한 발을 먼저 발사해 구르기를 유도한 뒤 구른 위치로 기관단총이나 소총 연사를 갈기거나 한 발 한 발이 강력한 저격총으로 침착하게 헤드샷을 2~3번 먹여 주자. 한 번에 한 놈씩 처리해야 하며, 둘 이상의 폭풍 생물에게 어그로가 끌렸다면 즉시 도망치면서 어떻게든 1vs1 상황이 만들어지길 기도해야 한다.

폭풍 생물은 물리 피해에 적은 피해를 입지만 전기 피해에는 온전한 피해를 받고 화염에는 추가 피해를 받는다. 창고 구역 보스인 급속 단장을 잡아 얻거나 만들 수 있는 '전기 충전된 MP7'이나 벙커에서 제작한 '큐브건' 등 속성이 있는 무기를 들고 전투에 임하면 상대하기 편하다. 화염 AK는 이들을 상대하는데 가장 강력한 무기이며 TOZ-66 드래곤브레스도 근접에서 연발로 맞추면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리고 폭풍 생물은 방어력이 없기 때문에 일반탄만 사용해도 충분하다.

같은 폭풍 지역에서 등장하는 보스들은 공격 패턴도 단순하고 공격 상성이 명확해서[5] 크게 어렵다는 느낌이 없지만 이 녀석들은 필드 몹치고 감지 범위도 넓고 매우 호전적인데다가 이리저리 구르기로 회피하면서 점사를 해대기 때문에 상대하기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다. 접근 속도와 탄속도 빨라서 폭풍 벌레들과 합세해서 덤벼들면 매우 난감해지며 당황해서 난사하다간 탄약과 체력 정비도 제대로 못해보고 다굴당해 죽기 십상이다. 에임에 자신이 없으면 아예 이동속도 세팅을 하고 달리기로 잽싸게 도망다니는 게 나을 정도. 이 때문에 폭풍 지역은 보스 잡는 것보다 필드 몹들 피해서 무사 귀환하는 게 진짜 보스전이라는 말도 있다.

폭풍 생물을 처치하면 특수 아이템 '공간 결정체' 1개를 고정 드롭하며, 확률적으로 도구 아이템 '오염된 무기 부품'을 1개 드롭하기도 한다. 특수 무기나 패시브 스킬 해금에 상당수를 요구하니 모아두는 것이 좋다.

2.10. 폭풍 벌레(Storm Bug)

파일:EFD_Storm_Bug.png
폭풍 구역에서 나타나는 적. 한번에 2~3마리 정도가 뭉쳐서 나오며 늑대처럼 오로지 근접 공격만 한다. 폭풍 구역의 주요 적인 폭풍 생물이 빠른 속도로 움직이면서 탄막을 연사해대는 특성상 폭풍 생물 여럿에게 물린 상황인데 이 녀석이 나타나면 늑대보다도 골치가 아픈 편.

확률적으로 '폭풍 벌레의 눈'을 드롭하며, 그 외에 콜드 코어 조각이나 흐릿한 깃털을 드롭하기도 한다.

2.11. 폭풍?(Storm?)

파일:EFD_Storm?.png
폭풍 구역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적. 폭풍 생물처럼 여러번 점사하는 공격을 하지만 구르지도 않고 공격 중 움직이지도 않기 때문에 처리하기가 훨씬 쉽다.

"큰 공간 결정체" 1개를 고정적으로 드롭한다.

2.12. 흥흥이(little_Xing)

파일:EFD_little_Xing.png

데모 얼티메이트 챌린지 구역의 잡몹. 저 품질의 활에 하급 관통 화살을 메겨 사용한다.

3. 보스

3.1. 감금소

3.1.1. 교도관

교도관
典狱长 | Warden
파일:덕코프 워든.png
등장 위치
감금소: 최우측 방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170 전기 피해 0.8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AK-74U.png AK-74U 파일:ammo_pistol_Normal.png S-일반 탄약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25 0.35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8 140 0.4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15 x: 1.0, y: 2.0 x: 1.3, y: 2.3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불가 O O
}}}}}}}}}}}} ||
튜토리얼에서는 플레이어의 스탯이 상당히 빈약하기에 상당히 잡기 힘든 편이다. 교도관을 잡으려다가 포기했다거나 잡아 본 사람 있냐는 글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이 보일 정도.

이 게임에서 근접 무기가 벽 너머도 공격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서 튜토리얼을 진행하면서 경찰봉을 얻은 다음 그것으로 패 죽이는게 정석이지만, 적절한 컨트롤이나 낮은 난이도에서는 맞딜로 잡는 것도 가능하다.

처치하면 AK-74U, 헤드샷 II 토템, 시야 거리를 10% 늘려주는 반짝이는 안경, 흰색 가운이 고정적으로 드롭된다. 어차피 초반만 지나면 상위호환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아이템들이지만 얻으면 초반이 매우 편해진다. 특히 안경은 꽤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3.2. 제로존

3.2.1. 라이트맨

라이트맨
光之男 | Light Man
파일:EFD_Light_Man.png
등장 위치
제로존: 숲길 공터, 도로 캠프 공터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40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전투_도끼.png 전투 도끼 -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 0.35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2 100 0.2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1 x: 0.3, y: 0.3 x: 0.2, y: 0.2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불가 O O
}}}}}}}}}}}} ||
평상시에는 조용히 서 있지만 근처에서 큰 소리를 내거나 먼저 공격하면 커다란 덩치에 맞지 않는 빠른 속도로 달려와 강력한 근접 공격을 날린다.

행동 패턴은 매우 단순해서 처치하기 쉬우나 전투 도끼의 대미지는 무려 40이기에 앗 하는 사이 골로 가는 수가 있으므로 최소한의 주의는 유지할 것. 저격총이나 소총으로 멀리서 헤드샷을 날린 뒤 가까이 다가왔을 때 기관단총이나 산탄총으로 영거리 연사를 박아 주면 쉽게 상대할 수 있다. 서쪽 공터에서는 폭발물이 고정으로 배치되어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라이트맨과의 직선상에 덫을 깔아 밟도록 유도한 뒤 여유롭게 요리해도 된다. 가장 쉬운 공략법은 근접공격을 회피하고 공격하다가 총알이 다 떨어지면 일자로 걸어가면서 재장전하기. 이 녀석을 상대할 시점에는 권총, 산탄총, 기관단총 정도가 일반적인 무장인데 셋 모두 이동속도 패널티가 적은 덕에 괜히 당황해서 지그재그로 움직이지 않는 이상 아슬아슬하게 피격당하지 않는다.

처치하면 전투 도끼와 흐릿한 깃털을 3개 이상 고정 드롭하며, 확률적으로 레드 코어 파편을 드롭하기도 한다. 상대하기도 쉬운 데다 전투 도끼는 분해시 철갑탄 이상 탄약을 만들 때 필요한 금속 조각을 3개 주기 때문에 꼬마덕을 잡으러 갈때 겸사겸사 잡으면 좋다.

일단은 보스지만 약한 스펙 때문에 제대로 된 보스 취급을 못 받는지 처치 시 수트케이스 대신 넝마꾼처럼 통닭 요리가 나온다.

3.2.2. 꼬마덕

꼬마덕
矮鸭 | Pato Chapo[6]
파일:EFD_Pato_Chapo.png
등장 위치
제로 구역: 도로 캠프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16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AK-47.png AK-47 파일:ammo_machinegun_Normal.png AR-일반 탄약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25 0.4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7 140 0.4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15 x: 1.0, y: 2.0 x: 1.3, y: 2.3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불가 O O
}}}}}}}}}}}} ||
퀵드로우 탄창 혹은 대용량 탄창을 장착한 AK-47과 레벨 3 방탄복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부하인 용병 3~5마리와 함께 도로 캠프 주변에 접근하는 다른 모든 생명체를 공격한다. 적이 다가오면 AK-47을 난사하다가 피격 시 불규칙하게 굴러서 탄환을 피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고, 용병과 비슷한 호전성으로 플레이어를 쫓아온다.

꽤 아픈 대미지와 튼튼한 맷집으로 매섭게 공격해오지만, 집탄율이 썩 좋은 편이 아니라 어떻게든 쓸만한 기관단총과 충분한 양의 일반 S 탄환만 갖추면 싸움을 걸어볼만 하다. 도로 캠프의 입구 쪽에는 엄폐물로 쓸 수 있는 모래주머니 방벽이 여럿 있는데, 이것에 가까이 다가가서 흰색 외곽선이 뜨는 상태가 되면 자동적으로 엄폐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적의 탄환은 모래주머니에 막히지만 플레이어의 탄환은 모래주머니 위로 날아가 적을 맞힐 수 있다. 이 점을 이용해서 일방적인 딜교를 하다가 모래주머니가 터지면 다른 모래주머니로 후퇴하는 식으로 전투를 벌이면 의외로 쉽게 요리할 수 있다.

처음엔 어려움을 겪지만 초중반부만 가면 쉽게 공략 가능하고 확정 스폰, 혜자 드랍, 편리한 동선 등의 이유로 시간 대비 파밍 효율이 게임 내 최정상급이기 때문에[7] 청산 당한 후 복구용 보스로 자주 보게 될 것이다.

스토리상 J랩에서 꼬마덕 무리를 탈출시 데리고 간다는 약속을 했지만 지키지 않았고 이에 자신을 막을 이들도 사라졌으니 J랩에서 물건을 훔쳐서 제로존의 캠프를 차렸다고 한다. 뉘앙스를 보면 원래부터 질 나쁜 무리였던 듯.

3.3. 창고 구역

3.3.1. 로든

로든
劳登 | Lordon
파일:EFD_Lordon.png 파일:EFD_Lordon_dog.png
로든 로든의 개
등장 위치
창고 구역: 서부 공장지대, 동쪽 교차로 캠프, 협곡 남쪽 집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190 물리 피해 0.85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VPO-로든_개조.png VPO-로든 개조 파일:ammo_sniper_Normal.png 일반 저격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4 0.05 10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35 120 0.8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3 x: 0.2, y: 0.2 x: 1.3, y: 2.0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부하인 개와 함께 창고 구역 전역을 돌아다닌다. 개가 빠르게 달려와 근접 공격을 시전하고 로든 본인은 상당히 먼 후방에서 지원사격하는 식으로 싸운다. 개는 구식 철모와 방독면 마스크, 초등학생 가방을 장비하고 있으며, 로든 본인은 레이저가 달린 VPO-로든 개조 저격총에 일반 저격총 탄환을 물려 무장하고 있는데, 컨셉이 컨셉인지라 여타 적들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사거리와 헤드샷 명중률을 보여준다. 아무것도 모른 채 길을 지나던 중 갑자기 레이저 조준선이 겨누어지더니 체력의 1/3이 날아가버리는 경험은 초보 플레이어에게 로든의 위험성을 깊이 새겨 줄 것이다.

로든의 공격력은 무시무시하지만, 멀리서 플레이어를 먼저 발견한 후 저격총을 겨누고 천천히 다가오며 한 발씩 발사하는 단순한 행동 패턴을 가지고 있다. 만약 자신에게 레이저 지시기가 겨누어졌다면 그 즉시 빠르게 코너를 돌 수 있는 작은 엄폐물을 찾아 숨은 뒤, 로든이 가까이 다가왔을 때 샷건이나 기관단총을 연사한 다음 재빨리 엄폐물 뒤로 굴러들어가자. 로든의 공격 간격은 3초 정도로 길기 때문에 짧게 치고 빠지는 게릴라전을 걸면 쉽게 이길 수 있다. 4발짜리 탄창을 사용하므로 재장전 타이밍에 몇발 쏴주고 다시 엄폐물에 숨는 방법도 유효하다.

타이밍에 맞춰 굴러서 피하는 것도 가능하나, 잘못 구르면 구르기가 끝난 후에 쏴버리기에 정확한 간격을 익히기전에 시도는 금물. 게임에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로든 본인보다 먼저 달려드는 개 덕에 로든의 위치와 거리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고 레이저 덕분에 로든이 어딜 조준하는지 뻔히 보이기에 대처하기가 그렇게 어려운 보스는 아니다. 부하인 개는 탐지 범위가 매우 넓은 편인데 비해 로든은 느릿느릿 걸어다니기에 개를 죽이고 조금만 빨리 벗어나도 로든은 오지 않거나 정 반대에서 방황하고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다른 적들과 마찬가지로, 주변의 다른 적들과 싸움이 붙기를 기대할 수도 있다, 로든은 플레이어만 집요하게 쏴대느라 다른 적을 거의 신경쓰지 않는데다가 1대1 원거리 대치 상황에선 절대적인 우위를 자랑하는 대신, 주 무기가 느려터진 저격총이다보니 다수 적들과의 교전에선 맥을 못 춘다. 일부 기동형 보스처럼 구르기 회피를 하는 적도 아니기에 기계 거미처럼 높은 집탄율로 일점사를 해대는 적을 만나면 피하지도 않고 순식간에 녹아버린다.

로든을 처치하면 레이저-기동성 파츠가 달려 있는 저격총 'VPO-로든 개조'와 레벨 3 방탄복을 고정 드롭한다. 로든의 개는 방독 마스크와 구식 철모, 초등학생 가방, 얼마간의 현금을 고정 드롭한다. 25년 할로윈 이벤트 기간에는 방독 마스크 대신 호박과 호박등을 고정 드롭한다.

개까지 데리고 다니면서 오리들을 사냥하고 다니는지라 교활하다면서 타 오리들의 평판이 나빠 보인다. 농장에서 발견할 수 있는 로든 목격 보고서에서는 로든의 개에 대해 언급하면서 최근 제로존에 등장한 놈도 개를 데리고 다니는데 개에게 무거운 상자를 운반하게 시키지만 '그래도 로든이 더 심하다'고 까는 내용이 적혀있다.

3.3.2. 급속 단장

급속 단장
急速团长 | Speedy Group Commander
파일:EFD_Speedy_Group_Commander.png
급속 단장과 그 부하인 급속 단원들. 왼쪽에서 두 번째의 키가 작은 오리가 급속 단장이다.
등장 위치
창고 구역: 서부 공장지대, 중앙 농가, 협곡 남쪽 집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170 전기 피해 0.8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MP7_Electric.png 전기 MP7 파일:ammo_pistol_Normal.png S-일반 탄약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25 0.35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8 140 0.4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15 x: 1.0, y: 2.0 x: 1.3, y: 2.3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전기 MP7과 레벨 3 방탄복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급속 단원 3~4마리와 함께 주변에 접근하는 다른 모든 생명체를 공격한다. 패턴은 꼬마덕과 유사하지만, 급속이라는 이름값을 하는지 공격 사이 간격이 더 짧고 공격속도와 이동속도가 더 빠르다. 단원들 역시 용병보다 조금 더 빠르지만, 이쪽은 용병과 달리 총기를 완전 무작위로 들고 나온다.

전기 MP7은 반동이 낮아 높은 명중률을 보여주는데, 성가시게도 이 총에서 발사된 탄환에 맞으면 잠시 이동 속도가 낮아져 차탄을 피하기 더 힘들어진다. 그러므로 급속 단장 패거리와 교전을 벌이고자 한다면 꼬마덕을 상대할 때보다 더 멀리서 싸움을 거는 것이 좋다. 부하들의 총이 무작위라는 것도 장점이자 단점인데 활 같은 저급 무기를 들고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운 나쁘면 한발 한발이 강력한 전투소총이나 저격총을 들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

간혹 로든과 함께 또는 가까운 위치에 스폰되는 경우가 있는데, 웬만큼 자신있는 것이 아니라면 즉시 도망가는 것을 추천한다. 각각은 어느 정도 장비와 경험이 갖춰졌다면 상대하기 어렵지 않지만, 로든과 급속 단장은 서로 적대하지 않으므로 마주치면 합공을 시전해 온다. 급속 단장 패거리를 상대하며 시간차로 날아오는 로든의 공격을 피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급속 단장에 의해 슬로우 디버프가 걸렸다면 로든의 공격을 피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므로, 뉴비에서 좀 벗어났다 싶어도 아차 하는 사이 피가 쭉쭉 까여 죽기 십상이다.

급속 단장 스폰 지역 근처를 지나다 여러 개의 발소리를 들었다면 최대한 사거리가 긴 총기를 조준한 채 천천히 소리의 근원지로 접근한 후, 공격이 닿는 최대거리에서 침착하게 헤드샷을 날리며 싸우자. 저격총 종류가 가장 이상적이며 2배율 이상의 조준경이 달린 소총류도 나쁘지 않다. 단장과 단원들은 붙어서 몰려다니는 성향이 높기에 몰래 접근해서 폭발물을 던져줘도 효과적이다.

급속 단장을 처치 시 전기 MP7을 확정 드롭하며 확률적으로 전기 MP7의 청사진을 드롭하기도 한다.

이들 패거리는 주로 공장에서 등장하다보니 '급속'을 오독한 '금속'에서 따온 금속노조라는 별명으로 종종 불린다.

스토리상 J랩에서 귀중한 물건이 많은 창고를 지키라고 파견했다고 한다. 하지만 꼬마덕과 마찬가지로 J랩이 이들을 버리고 가버린지라 수면 캡슐 같은 창고에 있던 J랩의 물건을 써먹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4. 농장 마을

3.4.1. 샷건

샷건
喷子 | Shotgunner
파일:EFD_Shotgunner.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레이더 기지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360 화염 피해 1.5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TOZ-66_드래곤브레스.png TOZ-66 드래곤브레스 파일:ammo_shotgun_Normal.png 일반 산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6 0.35 0.3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8 140 0.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5 x: 1.0, y: 2.0 x: 0.8, y: 1.5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불가 O O
}}}}}}}}}}}} ||
TOZ-66 드래곤브레스를 무장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보통은 2번의 사격 후 재장전하느라 빈틈이 크기 마련이지만 이 녀석은 재장전 후 사격 사이의 틈이 거의 없이 공격해온다.

화염 속성이 달려있기 때문에 거리가 있어도 대미지를 무시하기는 쉽지 않으나 산탄총 특유의 탄퍼짐은 여전하고 이속도 그렇게 빠르지 않아 거리를 유지해가며 상대하는 것이 정석이다. 혹은 레이더 기지 내부에서 스폰됐다면 동쪽 컨테이너 위로 올라가서 싸우면 단차로 인해 피격확률이 급감해지는 만큼 매우 편하게 싸울 수 있으니 참고하자.

드랍하는 아이템은 TOZ-66 드래곤브레스와 3레벨 중형 방탄복에 SR-3M 설계도 정도로 형편없으나 매우 낮은 확률로 농장 마을의 비밀 방을 열 수 있는 비밀 열쇠를 떨어뜨린다. 덕코프내에서 가장 가치가 높은 아이템 중 하나고 비교적 쉬운 보스이니 레이더 기지 근처에 갈 일이 있으면 반드시 잡아주는 게 좋다.

3.4.2. 폭탄광

폭탄광
炸弹狂人 | Mad Bomber
파일:EFD_Mad_Bomber.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임시 공사장, 주유소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30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UP-45.png UP-45 파일:ammo_pistol_AP.png S-철갑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35 0.3 0
특수 능력: 무작위 수류탄 투척
스킬 쿨다운 스킬 성공률 스킬 발동 확률
<rowcolor=#000,#fff> x: 3.0, y: 4.0 1 1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7 140 0.3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15 x: 1.0, y: 2.0 x: 1.3, y: 2.3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SightPRO 헬멧과 UP-45를 고정적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각종 수류탄을 투척해가며 압박해오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3~4개의 종류별 폭발물을 던진 후 UP-45로 난사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는데, 수류탄도 위험하지만 급속 단장과 동일하게 높은 집탄률로 난사해오기 때문에 최대한 멀리서 싸워주는 것이 좋다. 자기가 던지는 수류탄의 범위를 신경쓰지 않고 막 던져대다보니 넝마꾼 따위와 교전하면서 본인 섬광탄에 기절하거나 가스탄이나 연소탄, 폭발물로 자기 체력을 깎아먹는 경우가 흔히 나오고 급속 단장보다는 느리게 다가오는 편이라 가까이 붙지만 않는다면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처치시 다량의 폭발물들과 지하실 갈림길 열쇠, 콜라를 드롭하며, 유일하게 푸른 큐브를 직접 드랍한다.

이 녀석과 BA대장, 쓰리샷을 SV-98 헤드샷으로 두번씩 처치하는 퀘스트가 있다. 기동형 보스라 셋중 구르기를 쓰는 빈도가 가장 높아서 헤드샷이 자주 빗나가다보니 상당히 성가신 편.

농장 동부 화학 공장에서 주울 수 있는 메모를 살펴보면, 과거 블루맨을 만나 콜라 제조 방법을 얻고 콜라를 제조하려다 가스가 누출되서 공장을 가스 지대로 만든 장본인이다. 그리고 J-Lab에서 개발한 수면장치를 도둑질해서 사용했는데, 당시 수면장치는 결함이 있었기에 매우 폭력적인 성격으로 바뀌어버린다. 이후 수면장치가 도난당함을 알게 된 J-Lab이 새로운 공장을 파괴해버린 바람에 현재의 폭탄광으로 미쳐버린다.[8]

3.4.3. 비다

비다
维达 | Vida
파일:EFD_Vida.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대형 마트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22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RPK.png RPK 파일:ammo_AR_AP.png AR-철갑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35 0.3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7 140 0.3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15 x: 1.0, y: 2.0 x: 1.3, y: 2.3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전용 방어구인 비다 헬멧과 5레벨 중형 방탄복, RPK로 무장하고 있으며, 무기가 무기다보니 재장전하는 틈이 거의 없이 계속 사격해오며 압박하는 스타일을 구사한다. 방어력도 좋아 여러모로 까다로울 수 있으나, 그 외에는 특별한 특징이 없어 침착하게 교전에 임한다면 크게 어렵지 않은 보스. 무리하게 맞딜은 하지 않고 고정 엄폐물이 많은 대형 마트의 지형 특성상 침착하게 거리를 벌리며 교전하거나 마트 밖으로 끌고 나와 아예 중장거리에서 상대하는 것을 추천한다. 저격수 퀘스트 때문에 M700을 들고 헤드도 한번 따야하고 글록으로 막타도 쳐야하다보니 퀘스트를 중시한다면 자주 보게 될 것이다.

높은 체력과 더불어 방어구도 튼튼한데다가 RPK는 피해가 강력하고 장탄수가 많은대신 플레이어가 쓰기엔 영 어려운 무기지만 AI 적 상대로는 매우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다보니, 어지간한 적의 공격은 씹어버리고 마트 내에서 마주친 용병이나 근처를 어슬렁거리는 넝마꾼은 RPK의 화력으로 전부 갈아버린다. 드물게 ???가 근처에 스폰될시 손쉽게 잡아버리기도 한다.

똑같이 대형마트에서 출현하고, 장비하고 있는 무기며 전용 헬멧 등 타르코프의 킬라를 패러디했다.

3.4.4. 쓰리샷 형님

쓰리샷 형님
三枪哥 | Triple-Shot Man
파일:EFD_The_Triple-Shots.png
쓰리샷 형님과 쓰리샷 동생들. 중앙의 방어구가 없는 오리가 쓰리샷 형님이다.
등장 위치
농장 마을: 벌목장, 남부 마을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40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M1A.webp M1A 파일:ammo_BR_Normal.png L-일반 탄약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4 0.05 0.15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40 120 0.2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2 x: 0.7, y: 0.7 x: 1.0, y: 2.0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꽤 먼 거리에서부터 2연발로 압박해오는 것이 특징이며, 추가로 쓰리샷 동생이라는, 4레벨 방탄 헬멧과 4레벨 작전 방탄복으로 무장한 전용 부하몹 2~3마리를 거느리고 있다.

로든의 강화형 보스로 로든과 동일하게 느릿 느릿 걸어오며 구르기를 하지 않고 M1A를 쏴대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무기인 M1A부터가 로든의 VPO-로든 개조보다 피해나 사거리는 우위에 있고 연장 총열까지 끼워놨다보니 장거리에서 몸샷 한발만 맞아도 큰 피해를 입으며, 2점사 때문에 근중거리에서도 투탭이나 헤드샷을 맞고 골로 갈 수 있다. 더불어 한발 사이의 텀이 큰 로든과 달리 두발을 연발로 쏘는데다가 장탄수도 10발이니 딜타임도 적고 구르기로 피하는 난이도도 더 높다. 고정 장착 레이저 전술 부착물과 로든의 개로 본인의 존재를 미리 알리는 로든과 달리 발사음이 나기 전까지는 쓰리샷 형님의 존재를 알기도 어렵기 때문에 기습당하기도 쉽다. 그나마 M1A가 VPO보다 헤드샷 치명타 계수는 크게 낮은게 다행인 편.

더불어 동생들도 까다로운 편이다. 4렙 풀세트와 용병 수준의 무장을 갖추고 있는데다가 구르기도 시전하기에 일반 용병보다 튼튼한데다 화력도 강하다. 동생만 있다면 모를까 벌목장에 유난히 적이 많은 것도 난점인데 쓰리샷 형님의 M1A를 피하려고 사거리를 벌리다보면 넝마꾼들이 벌목장 부근 숲 사방에 퍼져 있어서 교전중에 뜬금없이 끼어들어 쏴대는 골치 아픈 경우가 많다. 큰 창고 건물 주변에선 용병이 높은 확률로 스폰되며 강북으로 가면 늑대까지 나온다.

한꺼번에 대치하면 화망을 형성하여 코너로 플레이어를 몰아붙이기 때문에 상당히 난감해질 수 있으며, 특히 M1A의 대미지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퇴로가 차단당하거나 도주하는 상황에서 잘못 맞으면 비명횡사할 수도 있으니 멀리서 2연발하는 소리가 들리면 쓰리샷 형님이 접근해오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며 최대한 빨리 엄폐물을 찾으며 조심히 교전할 것. 부하들과 뭉쳐다니는 급속 단장과는 달리 쓰리샷 형님은 부하들과 거리를 두며 위치해 있다보니 가능하다면 하나씩 각개격파하며 공략하는 것이 좋다.

농장 마을에 진입한 초심자를 엿먹이기로 유명하다. 멋모르고 농장마을에 처음 진입해서 비교적 귀환 지점과 가까워보이는 스폰 지점 근처, 벌목장 3번 버블로 이동하면 쓰리샷 형제의 활동 지점과 겹치기 때문에 타자마자 쓰리샷과 부하에게 둘러쌓여 순식간에 벌집이 되기 좋은 위치이다. 어느정도 파밍이 된 후반에도 긴장을 하고 타야할 정도.

어느정도 플레이어가 강해진 상황이라면 꼬마덕급 고효율 아이템 수급원이 된다. M1A는 우수한 평가를 받는 전투 소총이지만 J랩에 가서야 설계도를 얻을 수 있고 제작 재료도 많이 요구하는데 비해 쓰리샷은 고정으로 연장 총구까지 달아서 헌납해주며 부하들은 고정 4렙 방어구 풀셋에 소총을 들고 나오기에 전부 갖다 팔거나 분해하면 상당한 자금이나 재료를 얻을 수 있다. 확률 스폰이라는것이 단점.

똑같이 벌목장에서 출현하며 원거리 3점사가 특징인 타르코프의 슈트르만을 패러디했다.

3.4.5. 파리 대장

파일:EFD_Fly_Captain.png
농장 마을의 공사장 기숙사 혹은 사무실 아파트 중 한 곳의 화장실에서 확정 스폰되며, LAB 2층 화장실이나 폭풍구역의 메인 벙커에서도 등장하는 흑갈색 오리다.

2명의 부하몹 파리 대원을 거느리고 있으며, 부하들은 전용 무장인 뿌뿌총을, 보스는 강화형인 뿌뿌 스프레이를 무장하고 있다. 또한 부하와 보스 모두 전용 장비인 파리 안경과 파리 날개를 착용하고 있다.

주 패턴은 똥을 던지면서 응가탄이 장전된 뿌뿌총 혹은 뿌뿌 스프레이로 돌격하는데, 공격력 자체는 그리 높은 편은 아니나 문제는 독 상태이상에 걸린다는 것. 출혈과 마찬가지로 중첩이 되기 때문에 맞는 회수가 늘어날수록 독대미지도 늘어나니 최대한 맞지 않으며 싸우는 것이 포인트. 다행히도 뿌뿌총들의 사거리가 그리 길지 않은 편이라 최대한 거리를 두고 싸우는 것이 권장된다. 화장실 내부에서 스폰되다보니 좁은 곳에 몰려 나오는 것도 장점으로 몰래 접근해서 수류탄등을 던져주면 잘 피하지 못하기에 훨씬 쉽게 상대할 수 있다.

독 저항 토템을 장비 하여 중독 상태 면역 효과를 받으면 모든 보스 중 가장 쉬운 상대가 된다.

3.4.6. BA 대장

BA 대장
BA队长 | Security Captain
파일:EFD_Security_Captain.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시청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15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AK-103.png AK-103 파일:ammo_AR_AP.png AR-철갑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35 0.3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7 140 0.3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15 x: 1.0, y: 2.0 x: 1.3, y: 2.3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시청 내부에서 BA 대원 2마리를 이끌고 다니나 근처에서 어그로가 끌리면 종종 밖으로 나오기도 한다. 패턴 자체는 일반 용병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수류탄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실내에서 버티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진입하기 쉽지 않다.

시청 입구 근처에서 어그로를 끌거나 아예 문을 열고 들어가서 인식시켜 주면 플레이어를 따라 우르르 몰려나오기 때문에 시청 내부보다는 끌고 나와 중장거리 교전을 시도하는 편이 편하다. 특히 AK-103은 대미지가 높고 철갑탄까지 물려놔서 근거리에서는 한발 한발이 위협적이지만 반동이 강하다보니 개활지에서 거리를 벌리면 꼬마덕처럼 명중률이 급감한다. 퇴로가 없는 시청 내부와 달리 수류탄을 피하기 쉬운 것도 장점.

자신이나 부하들의 위치와 상관없이 벽 바로 앞에서도 수류탄을 투척하기 때문에 자폭으로 스스로를 날려버리는 경우도 잦은 편이다. 저격수 헤드샷 퀘스트가 아니라면, 오히려 자폭을 유도해 아이템만 챙기는 편이 효율적이다. 반대로 저격수 퀘스트 때는 자폭이 오히려 독이 되고, 복도가 짧고 좁은 실내에서 농성하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혈압을 상당히 오르게 한다.

3.4.7. 일진

일진
校霸 | School Bully
파일:EFD_School_Bully.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학교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27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못_박힌_야구_방망이.png 못 박힌 야구 방망이 -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 0.35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6 100 0.2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2 x: 0.3, y: 0.5 x: 0.3, y: 1.2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불가 O O
}}}}}}}}}}}} ||
일반적으로 고등급 방어구와 무기로 중무장해오는 타 보스들과 달리 오로지 전용 근접무장 못 박힌 야구 방망이를 들고 돌격해오는 근접형 보스. 부하로 등장하는 동창 또한 마찬가지로 방망이를 들고 돌격할 뿐인 사실상 폭주 넝마꾼의 강화판이나 다름없는 수준이다. 공격하는 타이밍에 맞춰 구르기만 잘하면 매우 쉬운 축에 속하는 보스다. 방어구도 달리 없어 적당한 근접 무기가 있다면 사격으로 체력을 까준 후 똑같이 근접 무기로 상대할 수 있다.

다만 주무기와 보조무기의 잔탄을 소진하고도 잡지 못했다면 장전과 스태미나 회복 시간을 벌기 어려우니 주의. 딜 자체는 제법 아프고 동창 뿐만 아니라 운동장에서도 근접 무기를 들고 달려오는 운동부라는 근접 적이 있어 늑대처럼 여러마리의 어그로가 끌리면 상당히 귀찮아진다. 전용 무기인 빠따는 챙겨뒀다가 나중에 일진을 빠따로 때려죽이는 퀘스트를 할때 쓰면 된다.

3.4.8. 폭주 아케이드

폭주 아케이드
暴走街机 | Rampaging Arcade
파일:EFD_Rampaging_Arcade.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공사장 숙소 오락실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240 물리 피해 12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장난감_총.png 장난감 총 파일:ammo_pistol_AP.png S-철갑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6 0.35 0.3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8 140 0.2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5 x: 0.8, y: 1.5 x: 0.8, y: 1.5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불가 O O
}}}}}}}}}}}} ||
기계 거미 로봇과 유사하게 다량의 연사를 해가며 접근해온다. 위쪽 공사장 기숙사에서 파리 대장과 전투 도중 난입해 오는 경우가 잦다.
한번의 점사 시 일정한 방향으로 나가 피하기가 어렵지 않은 거미 로봇과 달리 폭주 아케이드는 쏘고 있는 동안 플레이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사격하기 때문에 피하는 것도 쉽지 않은 편. 크기에 비해 피격판정이 다소 좁으니 헤드를 주로 노리는 플레이어들은 주의. 기계형 적이기 때문에 전기 MP7이나 전기 수류탄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죽을 시 잡다한 전자제품과 확률적으로 모니터를, 낮은 확률로 고성능 근접 무기 부착물인 평화의 별을 드랍한다. 평화의 별은 높은 확률로 아무 짝에도 쓸모 없는 가루가 된 상태로 드랍되기 때문에, 부착물 획득이 목적이라면 리트라이가 필수적이다.

스토리상 요즘 애들이 휴대폰 게임만 하고 아케이드 게임을 하러 오지 않자 자아의식이 생겨서 벌을 주려고 나왔다는 골때리는 설정이 있다.

3.4.9. 미셀

미셀
迷塞尔 | Misel
파일:EFD_Misel.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외곽 도로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28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RPG-7.png RPG-7 파일:ammo_rocket.png 로켓탄 Lv.1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35 0.3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7 140 0.3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15 x: 1.0, y: 2.0 x: 1.3, y: 2.3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도로 위 무작위 장소에서 스폰되며 오로지 RPG-7을 들고 플레이어를 향해 쏘며 접근하는 것이 전부다. 그러나 어느정도 거리가 멀어지면 어그로가 풀리는 대부분의 적과는 달리, 미셸은 한번 물면 끝까지 플레이어를 추격한다. 또 로켓탄을 피하는 것이 총알을 피하는 것보다는 쉽지만, 몸통 방어구 레벨이 낮다면 한번 맞으면 즉사할 정도의 피해를 받는다.

로켓을 발사하는 타이밍을 파악하는 것이 관건으로 회피만 잘하면 매우 쉬운 보스다. 로켓은 캐릭터 혹은 지형지물에 맞아야 폭발하며, 폭발범위 전체에 100%의 대미지를 입힌다. 그러므로 근처에 벽을 두지 말고 개활지에서 회피하며 전투하거나, 지형지물 하나를 끼고 돌면서 폭발 대미지를 이용해 자폭시키는 방법이 있다.

3.4.10. 고급 엔지니어

고급 엔지니어
高级工程师 | Senior Engineer
파일:EFD_Senior_Engineer.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남부 창고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25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M4.png MF 파일:ammo_AR_AP.png AR-철갑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35 0.3 0
특수 능력: 섬광탄/연막탄 투척
스킬 쿨다운 스킬 성공률 스킬 발동 확률
<rowcolor=#000,#fff> x: 5.0, y: 8.0 0.5 1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7 140 0.3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15 x: 1.0, y: 2.0 x: 1.3, y: 2.3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섬광탄과 연막탄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으로, 섬광탄에 맞고 기절에 걸리면 총알이 제멋대로 나가고 매우 느려져서 위험하다. 따라서 상대할땐 거리를 벌리고 언제 날아올지 모르는 섬광탄을 조심하는것이 좋다. 남부 창고는 컨테이너가 많아 골목도 많다보니 근중거리에서 조우시 명중률이 좋은 MF로 일점사 당해 비명횡사할 수도 있다.

이름답게 시체에서 잡다한 공구류 아이템을 주울 수 있다. 퀘스트로 한번 지나가는거 아니면 특별히 볼일이 없고, 넓은 남부 창고 안을 돌아다니기 때문에 마주칠 일이 드물다. 드랍하는 아이템도 썩 가치 있는 아이템은 없다.

안경을 쓴것도 그렇고, 엔지니어라는 것도 그렇고, 전반적으로 고든 프리맨의 패러디. 또한 방탄조끼의 외형을 고려하면 타르코프의 데스 나이트의 패러디이기도 하다.

3.4.11. 폭주 기계 거미

파일:폭주기계거미.png
임시 공사장 우측에서 등장하며 다른 기계 거미처럼 밤이 되어야 출현하며 한번 출현하면 낮이 되어도 움직이지 않고 그자리에서 계속 대기하고 있다. 기존 기계 거미와 다르게 비선공이며 빨간색으로 도색되어 있고 빨간색 전기가 방전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일반 기계 거미 보다 체력이 높고 기관총 사격 텀도 짧아 졌으며 장탄량도 늘어 성능이 위협적으로 올라갔으며, 플레이어가 사거리에서 벗어나려고 하면 빠르게 돌진하는 패턴이 추가 되었다. 대신 장전 시간이 비교적 길고 사격 중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기에 기관총 탄을 소진할 때까지 엄폐물 뒤에서 버티면 쉽게 잡을 수 있다.

처치 시 공장출입카드와 일정확률로 그래픽카드를 준다.

3.4.12. 광산장

광산장
矿长 | Mine Manager
파일:EFD_Mine_Manager.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동부 주유소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200 물리 피해 1.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StG_77A3.png StG 77A3 파일:ammo_AR_AP.png AR-철갑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4 0.3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8 140 0.1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5 x: 1.5, y: 3.0 x: 0.8, y: 2.0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농장 마을 요양원 동쪽의 주유소에서 확정 스폰되는 회색 오리.

고등급 넝마꾼 3마리를 대동하고 있다. 섬광탄을 던지는 것 외에는 일반적인 보스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헤드샷이 아닌 공격으로 처치하면 바로 아래에 위치한 은밀한 채굴장에 들어갈 수 있는 열쇠인 '광산장의 홍채 정보'[9]를 얻을 수 있다. 주유소 주변에서 J-Lab 1급 인증서가 바닥 스폰되기 때문에, 인증서를 모으거나 홍채를 얻기 위해 상대해야한다. 급속 단장처럼 부하인 넝마꾼들과 뭉쳐 있는 경우가 잦아 폭발물에 취약한 편.
낮은 확률로 J-lab 파란 카드를 드랍하기도 한다.

채굴 노트에 의하면 J-Lab에서 중요 장비 감시 임무를 맡았으나, 장비에 먼지만 쌓이는게 아까워 주유소 옆 식당을 인수해 채굴장으로 개조했다고 한다. 코인 채굴이 아니라 진짜 채굴장이 된 셈.

3.4.13. ???

???
파일:EFD_Red.png
등장 위치
농장 마을: 무작위 지점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50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 -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 0.35 1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25 360 0.1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25 x: 1.0, y: 2.0 x: 0.5, y: 0.8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X X
}}}}}}}}}}}} ||
농장 마을에서 간혹 맵에 붉은색?라 적힌 움직이는 영역이 나오는데 영역 중심으로 들어갈수록 화면이 붉게 물들고 노이즈가 나며 이 녀석이 갑자기 튀어나와 탄막을 쏘면서 공격해온다.

탄속이 빠르지 않기 때문에 총기 부착물이나 황색 주사기 등으로 이동속도를 늘린 후, SMG나 샷건으로 빙빙 돌며 힙파이어로 상대하면 쉽다. 체력이 표시되지는 않지만 소총 두탄창 내로 얼추 잡히는 정도이며, 간혹 마트 근처에서 스폰됐다가 비다한테 맞아죽기도 한다. 대신 화력이 강하니 제자리에 서서 말뚝딜로 상대하려 했다간 고등급 방어구를 입어도 갈려나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AI가 직선으로만 오려고 하고, 독가스나 화염이 깔려있으면 피하려는 로직으로 코딩이 되어있는지, 해당 상황이 되면 넘어오질 못하고 가만히 있는 경우가 생길때도 있다.

처치하면 확률적으로 ?로 표시된 소모품이나 독성 MF 설계도, J-lab 붉은 카드와 같은 희귀품을 준다.

3.5. 데모 얼티메이트 챌린지

3.5.1. 흥이

흥이
大兴兴 | Big Xing
파일:EFD_Big_Xing.png
등장 위치
데모 얼티메이트 챌린지: 최북단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35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Rapid Fire Bow.webp 연사 활 파일:EFD_중급_철갑_화살.png 중급 철갑 화살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8 0.15 0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18 140 0.1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3 x: 0.7, y: 0.7 x: 1.0, y: 1.8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데모 얼티메이트 챌린지의 보스인, 삼베 복면을 뒤집어쓴 노란 오리. 데모 버전에서는 대흥흥(Da XingXing)이라는 이름이었다.

무기로 연발 활에 하급~중급 관통 화살을 물려서 사용하는데 연발 활 자체의 피해가 높고 중급 관통화살이 4레벨 방탄복까지 관통하다보니 공격이 상당히 아픈 편이며 체력도 제법 많고 레벨 5 방탄복을 입고 있어서 맷집이 상당한 편이다. 거기에 교전하는 곳이 휑한 공터로 엄폐물은 중앙에 덩그러니 놓인 큰 컨테이너 두 개뿐이라 일단 교전에 들어가면 정비를 하기 어려운 편.

그러나 공터로 뛰어내리기 전 표지판에서 친절하게 머리가 약점이라는 내용이 써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듯이 머리 방어구라곤 제대로 된 방어구도 아닌 방어력 0.5짜리 마포 두건 하나뿐이고 로든이나 쓰리샷과 동일하게 구르지 않는 보스여서 몸샷만 쏴대는게 아니라면 사실상 물 체력으로 적당한 소총이나 전투 소총으로 한 두 탄창이면 순식간에 비명횡사해 버린다.

애초에 데모 얼티메이트 챌린지 자체가 창고 구역까지밖에 없었던 데모 버전의 최종 컨텐츠였던지라 당장 농장의 보스 중 하나인 비다만 해도 전신 5레벨 방탄 장비를 입고 RPK를 갈겨대고 연구소 일반 적인 방랑자가 방어구를 무시하는 특수 철갑탄까지 쏴재끼는데 비해 헬멧도 없는 흥이 따위는 농장에서 무난한 파밍이 가능하고 연구소에 진입할 스펙이면 마주치자마자 전리품으로 사출시킬 수 있다. 더불어 인게임에서 수집 용도가 아니라면 데모 얼티메이트 챌린지를 갈 이유가 최종 패시브 강화에 연발 활이 하나 필요한게 다여서 그 시점이면 공짜 5레벨 방탄복 수급원이 된다. 머리만 몇발 쏴주면 그만이라 방탄복 내구도도 거의 최대치인건 덤.

3.6. J-lab 연구소

3.6.1. 바리케이드

바리케이드
路障 | Roadblock
파일:EFD_Roadblock.png
등장 위치
J-Lab 연구소: 지하 2층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400 화염 피해 3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 -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6 0.35 0.3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21 140 0.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5 x: 1.0, y: 2.0 x: 0.8, y: 1.5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불가 O O
}}}}}}}}}}}} ||
J-lab의 유일한 보스로, 처치하면 확정으로 J-lab 3급 인증서를 준다. 패턴은 3갈래의 화염 탄환 난사뿐. 탄에 맞으면 연소에 걸린다.

제대로 준비하지 않은 상태와 만반의 준비를 갖춘 상태에서의 난이도가 극과 극으로 갈리는 보스로, 방어 및 속성 방호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면 높은 화염 지속 피해로 인해 죽을 가능성이 높다. 대신 고등급 방어구로 몸을 감싸고 화염 토템까지 끼우면 맞딜을 해도 어느 정도 버텨줄 정도로 난이도가 내려가며, 고급 철갑탄을 물린 총으로 헤드샷을 박으면 순식간에 잡을 수 있다.

복잡한 보스룸 내부 지형을 이용해서 싸우면 난이도가 좀 더 쉬워진다. 간혹 보스룸 입구에서 대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침착하게 문을 닫고 조금 기다린 후 재진입하면 된다.

3.7. 폭풍 구역

푸룽푸룽, 팔라팔라, 빌리빌리, 구루구루는 4기사로 불리는 존재들이며 최초의 실험체 코코코코를 견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실험체들이다.

4기사를 잡으면 공통적으로 에너지탄을 사용하는 전용 무기와 방어구 세트, 가방을 드롭하는데 방어구와 가방은 폭풍 방어 1레벨을 올려주기 때문에 폭풍 구역 탐사 난이도를 크게 낮춰준다.

3.7.1. 푸룽푸룽

푸룽푸룽
噗咙噗咙 | Pulu Pulu
파일:EFD_Pulu_Pulu.png
등장 위치
폭풍 구역: 남서쪽 벙커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370 물리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Vector.png Vector 파일:ammo_pistol_SP.png S-특수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3 0.35 0.1
특수 능력
없음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21 140 0.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5 x: 1.0, y: 2.0 x: 0.8, y: 1.5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4기사 중 물리 특화 보스. 남서쪽 벙커에 고정적으로 스폰된다. 물리 속성 공격에 내성이 있지만 반대로 약점 속성이 화염, 전기, 공간 속성 3가지나 된다.

다른 폭풍구역 보스들과 달리 급속 단장처럼 4명의 부하들과 함께 뭉쳐있으며 접근하면 전원이 일제 사격해서 강력한 탄막을 펼친다. 부하들은 Bizon-2, 특공대 헬멧에 3레벨 방탄복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모두 방어구 파괴력이 무식할 정도로 높은 S-특수탄을 장전하고 있어서 무지성으로 맞딜하면 순식간에 방어구 내구도가 0이 되고 이후 총격에 큰 대미지를 입고 사망하기 때문에 4기사 중에서 가장 어렵다고 평가 받는다. 잠깐만 두들겨 맞아도 방어구가 파괴되고 쪽수도 월등히 많아 사격에 빈틈이 없다시피 해 맞딜이 거의 불가능하다.

때문에 푸룽푸룽전에선 투척 무기가 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맵도 좁은 실내라 부하들과 함께 밀집해있는 경우가 많아 섬광탄+집속 다이너마이트 콤보면 피격을 최소화하며 부하들을 몰살할 수 있고 푸룽푸룽도 큰 대미지를 입어 정리가 용이하다. 호전성이 극도로 높아 교전 시작부터 죽을때까지 계속해서 플레이어에게 접근하려고하기 때문에 덫을 챙겨와서 미리 깔아놓는 것도 좋고, 독가스탄이나 연소탄으로 생성된 장판을 기피하는 AI도 동일해 치료와 재정비가 필요할 경우 접근로에 던져주면 시간을 벌 수 있다. 다른 3기사가 속성 무기가 공략법이라면 푸룽푸룽은 투척 무기가 공략법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전투가 수월해진다.

다른 기사들과 다르게 전용 가방이 없으며 전용 무기도 없이 Vector를 착용하고 있다.

3.7.2. 팔라팔라

팔라팔라
啪啦啪啦 | Pala Pala
파일:EFD_Pala_Pala.png
등장 위치
폭풍 구역: 남동쪽 벙커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345 화염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팔라총.png 팔라총 파일:EnergyBullet_L.png 대형 에너지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2 0.35 0
특수 능력
스킬 쿨다운 스킬 성공률 스킬 발동 확률
<rowcolor=#000,#fff> x: 5.0, y: 5.0 0.75 1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21 140 0.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5 x: 1.0, y: 2.0 x: 0.8, y: 1.5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4기사 중 화염 특화 보스. 남동쪽 벙커에 고정적으로 스폰된다. 패턴은 단순하게 연소탄 3개를 던지는 것과 총으로 공격하는 것 뿐이다.

독 공격에 매우 취약하며 MF-독성 액체 총을 장비하고 전투 시 말 그대로 녹아내리는 장면을 볼 수 있다.

3.7.3. 빌리빌리

빌리빌리
比利比利 | Billy Billy
파일:EFD_Billy_Billy.png
등장 위치
폭풍 구역: 북서쪽 벙커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615 전기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빌리총.png 빌리총 파일:EnergyBullet_L.png 대형 에너지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2 0.35 0
특수 능력
스킬 쿨다운 스킬 성공률 스킬 발동 확률
<rowcolor=#000,#fff> x: 5.0, y: 5.0 0.75 1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21 140 0.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5 x: 1.0, y: 2.0 x: 0.8, y: 1.5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4기사 중 전기 특화 보스. 북서쪽 벙커에 고정적으로 스폰된다. 패턴은 단순하게 전기 충격 수류탄 3개를 던지는 것과 총으로 공격하는 것 뿐이다.

화염 공격에 매우 취약하며 불꽃 AK-47 총을 장비하고 전투 시 손쉽게 잡을 수 있다. 전용 무기도 산탄총인지라 근접하지 못하게 주의만 좀 해주면 4기사 중에서 전투 난이도도 가장 쉬운 편이다.

빌리빌리의 방어구는 공간 대미지 내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공간 몹들만 출현하는 폭풍 구역에서 착용하기에 가장 무난하고 우수하다. 가방 또한 공간 대미지 내성을 제공하는데 최종보스가 공간 대미지를 입히므로 대다수의 유저들은 빌리 가방을 들고 간다.

3.7.4. 구루구루

구루구루
啪啦啪啦 | Gulu Gulu
파일:EFD_Gulu_Gulu.png
등장 위치
폭풍 구역: 북동쪽 벙커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345 독성 피해 1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파일:EFD_구루총.png 구루총 파일:EnergyBullet_L.png 대형 에너지탄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5 0.35 0
특수 능력
스킬 쿨다운 스킬 성공률 스킬 발동 확률
<rowcolor=#000,#fff> x: 5.0, y: 5.0 0.75 1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21 140 0.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5 x: 1.0, y: 2.0 x: 0.8, y: 1.5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4기사 중 독성 특화 보스. 북동쪽 벙커에 고정적으로 스폰된다. 패턴은 단순하게 독가스탄 3개를 던지는 것과 총으로 공격하는 것 뿐이다.

파리 대장의 상위호환 느낌의 보스로 둘의 공략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전기 공격에 취약하며 전기 MP7 총을 장비하고 전투 시 수월하게 잡을 수 있다. 다만 착용하고 있는 장비의 방어도가 6레벨이기 때문에 고급 철갑탄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3.7.5. 코코코코

최종보스.
3.7.5.1. 보스 방 진입 방법
코코코코의 방 문을 열려면 입구에 전력을 연결하는 세 개의 스위치를 전부 켜야 한다. 북서쪽 방이 코코코코가 있는 방이며, 북동쪽·서쪽·남쪽 방에 스위치가 하나씩 있다.

스위치가 있는 방에는 모든 지역의 보스 중 무작위 세 마리가 방마다 한 마리씩 배치되어 지키고 있다. 본래 부하를 대동하는 보스는 부하 없이 단독으로 있다. 여기까지 온 유저의 장비 상태라면 쉽게 잡을 수 있을 것이다.

=====# 전투 #=====
코코코코
口口口口 | Koko Koko
파일:EFD_Koko_Koko.png
등장 위치
폭풍 구역: 코코코코의 방
<colbgcolor=#1A303D>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투 정보
체력 피해 유형 피해 배율
<rowcolor=#000,#fff> 792 공간 피해 1.2
무장 탄약
<rowcolor=#000,#fff> - -
사거리 계수 확산 계수 치명타 확률 보너스
<rowcolor=#000,#fff> 1.2 0.35 0
특수 능력: 폭탄 발사
스킬 쿨다운 스킬 성공률 스킬 발동 확률
<rowcolor=#000,#fff> x: 5.0, y: 5.0 0.5 1
행동 패턴
시야 거리 시야 각도 반응 시간
<rowcolor=#000,#fff> 21 140 0.5
첫 발사 지연 사격 지속 시간 범위 사격 간격 범위
<rowcolor=#000,#fff> 0.5 x: 1.0, y: 2.0 x: 0.8, y: 1.5
이동 중 사격 네임드 표기 체력 표기
<rowcolor=#000,#fff> 가능 O O
}}}}}}}}}}}} ||
바리케이드처럼 보스룸 내부에서 기둥을 끼고 싸우는 것이 유리하다. 이동속도가 느린 편이며 공간 속성의 총탄 및 강력한 폭탄을 주기적으로 발사하는데 폭발의 대미지가 정말 강하고 범위도 넓기 때문에 거리를 적절히 벌린 채 싸워야한다. 이는 다른 보스들과 별 차이가 없는 방법이지만, 코코코코는 스스로 HP를 회복한다. 재정비를 위해 공격을 멈추면 보스의 HP가 서서히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으니 계속해서 피해를 입혀야 한다.

공간 속성에 큰 피해를 입으므로, 공간 속성 무기인 공간 글록과 폭풍총을 사용하면 난이도가 급감한다.

코코코코의 머리는 플레이어와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다. 또 코코코코를 처치하면 얻는 Steam 도전 과제인 '코코코코'의 아이콘에는 (너 니) 자가 적혀 있다. J-Lab의 기록을 토대로 유추해보면 주인공과 코코코코는 동일한 인물을 기반으로 하며, 둘 중 하나 또는 둘 다 원본을 토대로 청색 결정을 이용해 제작된 클론임을 알 수 있다.



[1] 버섯을 모으고 싶다면 비가 내릴 때 제로존 지역을 전부 돌아보자. 어딘가에는 반드시 스폰되어 있다.[2] 3레벨 이상의 방어구, 일반 탄환 또는 철갑탄을 장전한 돌격소총.[3] 실루엣 상으로는 팔다리가 없는 유령에 가까운 모습이다.[4] J-LAB 지하1층 남동쪽방을 녹색 카드키로 열고 들어가면 제작 설계도가 있다.[5] J-Lab에서 구할 수 있는 문서로 힌트도 준다.[6] 스페인어로, 'Pato'는 오리를 뜻하며 'Chapo'는 스페인어권 국가인 멕시코에서 '키가 작은 사람'을 나타내는 구어(口語)이다.[7] 제로존 5시 입구를 해금한 후 벙커에서 그쪽으로 시작 후 위로 넝마꾼 셋쯤 잡으면서 조금만 달리면 바로 용병 넷과 꼬마덕이 나온다. 용병만 해도 헬멧도 잘 안 끼고 오는 주제에 방어구 드랍 범위는 2 ~ 5로 혜자 수준이다 보니 여기만 파밍해도 곧바로 창고구역을 활보할 수 있을 정도라 12시 산길 중턱 캐비넷 에리어와 함께 제로존의 핵심 파밍 구역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8] 콜라의 재료 중 하나는 푸른 큐브, 그러니까 영혼이고, 폭탄광도 그것을 안다고 암시하는 내용이 있다. 수면장치에 들어가기 이전에도 충분히 미쳐있었다는 뜻.[9] 등록할 수 없는 영구 열쇠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Escape from Duckov|Escape from Duckov]]}}}{{{#!if external != "o"
[[Escape from Duckov]]}}}}}}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Escape from Duckov?uuid=e40f9d77-7f6c-416d-a5f9-01e965f2e00e|r18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Escape from Duckov?uuid=e40f9d77-7f6c-416d-a5f9-01e965f2e00e#s-4.3|4.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Escape from Duckov?from=18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Escape from Duckov|Escape from Duckov]]}}}{{{#!if external != "o"
[[Escape from Duckov]]}}}}}}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Escape from Duckov?uuid=e40f9d77-7f6c-416d-a5f9-01e965f2e00e|r18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Escape from Duckov?uuid=e40f9d77-7f6c-416d-a5f9-01e965f2e00e#s-4.3|4.3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Escape from Duckov?from=18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