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9:59:16

EVER PURPLE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a2be2><tablebgcolor=#8a2be2> 파일:아이네 서명 흰색.png||아이네
관련 문서 ||

[ 참여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a2be2><width=1000>
파일:없는계절.jpg
||<width=25%><:>
||<width=25%><:>
||<width=25%><:>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a2be2;"
2022. 04. 02.
참여한 음반 목록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color=#000,#fff><tablebordercolor=#8a2be2><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8a2be2><colcolor=#fff><width=25%> 방송 정보 ||<width=1000>방송 역사 · 노래(오리지널 곡) · 둘기 ||
콘텐츠 구구의 날 · 아이네 아프리카TV 데뷔 콘서트 · EVER PURPLE

INE SOLO CONCERT
EVER PURPLE
파일:EVER PURPLE 포스터.png
<colbgcolor=#8a2be2><colcolor=#fff> 일시 2024년 5월 11일 20시 30분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한민국
]][[틀:국기|
행정구
대한민국
]][[틀:국기|
속령
대한민국
]]
주최 EVERPEOPLE[1]
후원 햄이네 과학연구소[설정]
송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아이네 INE
엔진 Unity
러닝타임 104분[3][4]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다시보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홈페이지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트위터

1. 개요2. 프로모션3. 티저4. 굿즈5. 세트리스트6. 이벤트
6.1. 콘서트 노래 맞추기6.2. 티켓 랜덤박스
7. 여담

[clearfix]

1. 개요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8a2be2><tablebordercolor=#fff,#8a2be2>아이네의 여정에 함께해주세요.
EVER PURPLE 홈페이지 소개 문구 ||

2024년 5월 11일 진행된 아이네의 단독 콘서트. 2024년 4월 27일, 아이네의 오리지널 아바타가 공개됨과 동시에 예고되었다. 대한민국 버츄얼 유튜버를 통틀어 가장 많은 시청자수를 기록한 콘서트, 방송이기도 하다.

2. 프로모션

〈EVER PURPLE〉 프로모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날짜 시간 내용 링크
04.27 20:00 뉴이네 공개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Teaser #1 - Mood Sampl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웹페이지 오픈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04.28 - 이벤트 페이지 오픈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굿즈 리스트 공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05.01 21:00 Teaser #2 - A Da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5.02 00:00 큐레이션 페이지 오픈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05.04 - 아이네의 연습실 VRC 맵 공개 #
20:15 콘서트 게릴라 홍보 후기방송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05.05 22:00 히스토리 페이지 공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05.06 20:14 <아이네의 초대장> 생방송 컨텐츠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22:30 Teaser #3 - Concert Preview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5.11 20:30 EVER PURPLE LIVE IN INE YOUTUB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5.13 - 후기 특전 굿즈 공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05.15 - 히든 특전 굿즈 공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05.16 19:49 <내 응원봉 자랑하기> 생방송 컨텐츠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

3. 티저

파일:EVER PURPLE 타이틀 로고.png
TEASER

4. 굿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VER PURPLE/굿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세트리스트

<colbgcolor=#fff,#8a2be2>
파일:EVER PURPLE 타이틀 로고.png
SETLIST
순서 노래 링크
1부
1 WANNABE
ITZ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LILAC(라일락)
아이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God knows...
히라노 아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LOST MY MUSIC
히라노 아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부
5 성간비행
나카지마 메구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잔혹한 천사의 테제
타카하시 요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Sóra
Shanti Snyd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부[인터미션]
8 lovely
Billie Eilish, Khali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TOMBOY
혁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I'm Still Standing
엘튼 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부
11 내 손을 잡아
아이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STAR WALKIN’
Lil Nas 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앵콜
13 Track 9
이소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이벤트

6.1. 콘서트 노래 맞추기

파일:EVER PURPLE 콘서트 노래 맞추기 long.jpg
EVER PURPLE 공연중 나올 노래들을 맞추는 이벤트이다. 검색되는 곡 리스트는 글로벌 발매, 유튜브에 업로드된 모든 곡이 저장되고 업데이트되는 외부 DB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깃털을 투자해 공연 중 나올 노래에 베팅을 할 수 있다, 공연이 끝나고 난 후, 투자한 깃털은 공연이 끝나고 난 후 아래의 식에 따라 5월 14일에 지급된다.
정답별 보상으로 지급되는 총 깃털:

[math(\tt \dfrac {깃털\:챌린지\:컨텐츠에\:투자된\:총\:깃털\:수 - 모든\:정답\:항목에\:투자된\:깃털\:수} {정답\:항목\:수} + 해당\:정답\:항목에\:투자된\:깃털\:수)]
개인별 정답 보상으로 지급되는 깃털:

[math(\tt (\dfrac {깃털\:챌린지\:컨텐츠에\:투자된\:총\:깃털\:수 - 모든\:정답\:항목에\:투자된\:깃털\:수} {정답\:항목\:수} + 해당\:정답\:항목에\:투자된\:깃털\:수))]

X [math(\tt (\dfrac {본인이\:해당\:정답\:항목에\:투자한\:깃털\:수} {해당\:정답\:항목에\:투자된\:총\:깃털\:수}))]

6.2. 티켓 랜덤박스

콘서트 티켓을 추첨, 발행할 수 있는 이벤트이다.[6] 콘서트 티켓을 추첨할 때에는, 초회 무료, 2회 깃털 3개, 3회 깃털 5개를 지불해야 하며, 3회까지 추첨을 했을 경우에는 더이상 추첨을 진행할 수 없다. 티켓의 등급은 총 5개로 나뉜다.
초대석 : 100석 (전체 좌석 기준 0.5%)
VIP석 : 900석 (전체 좌석 기준 4.5%)
R석 : 3,000석 (전체 좌석 기준 15%)
S석 : 6,000석 (전체 좌석 기준 30%)
A석 : 8,000석 (전체 좌석 기준 40%)
VOD석 : 2000석 (전체 좌석 기준 10%)

※ 최초 20,000석의 좌석이 모두 매진되었을 시, 이후 추첨되는 좌석 등급은 VOD로 고정됩니다.

7. 여담

  • 최고 시청자 수는 80,244명으로 아이네의 방송 및 국내 버츄얼 개인방송 최고치를 갱신했고[7] , 이는 왁타버스 시청자수 역대 2위이다.[8]
  • 콘서트의 기획은 23년 2월부터 시작되었고, 제작기간은 총 425일이다.[9]
  • 원래는 23년 연말에 하는 것이 목표였으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인해 3월, 4월을 거쳐 5월에 진행되었다.
  • 콘서트의 타이틀인 EVER PURPLE은 상록수를 뜻하는 EVER GREEN에서 어원을 따왔다.
  • 이번 콘서트의 취지 중 하나는 여러가지 버전의 다양한 아이네를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각 부마다 컨셉을 담아서 세트리스트와 복장, 무대를 구성하였다.
  • 평소 뮤지컬에 관심이 많았던 아이네답게 PV에서 콘서트 시작 전 악기를 조율하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했다. 또한 콘서트의 취지 중 하나인 "실제 콘서트의 현장감을 추구하는 것"과 연결되어 콘서트 시작 전 대기 음악을 마치 콘서트 현장에서 듣는 것 같이 현장음을 제대로 살려서 세팅했다.
  • 세트리스트 선정 과정에서, 콘서트의 흐름에 맞는가, 장르가 다양한가, 아티스트의 시그니처 명곡[10]인가, 감정적인 무대 연결이 되는가, 실현 기반의 편곡이 구현 가능한가 등의 기준으로 선정했다고 한다.
  • 첫 곡으로 불렀던 WANNABE는 아이네가 이세계아이돌 오디션 때 처음으로 불렀던 노래다. 의미가 많이 깊었기 때문에 아이네가 세트리스트 구성당시 콘서트 첫 곡으로 무조건 WANNABE를 하고싶다고 하여 콘서트의 첫 곡으로 편성되었다.
  • 2부가 끝나고 아이네가 이파리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담은 손편지를 읽었다. 편지 낭독
  • 잔혹한 천사의 테제의 초반 간주와 함께 와이드샷으로 잡히는 붉은 문양은 원곡의 영상에서 오버랩으로 등장하는 세피로트의 나무를 어레인지 한 것이다. 후렴구에서 한 손을 올렸다 내려오며 좌우스텝과 함께 몸 전체로 리듬을 타는 동작은 원곡 가수인 타카하시 요코가 라이브 무대에서 같은 후렴구에 보여주던 웨이브와 같다.
  • 사실 sora 파트는 기획을 할 때 '아이네를 너무 성녀같이 묘사하지 않았나?', '이정도로 성녀같이 만들어 버린다고?' 와 같이 너무 과한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나게 의도적으로 약간의 이질감이 들도록 연출했으나 아이네의 노래실력과 분위기에 압도되어 둘기들이 이질감을 느끼지 못하고 "아이네는 신이야!!!" 같은 반응을 보이며 숭배를 해버려 당황했다고 한다.
  • 크레딧, 엔딩에 깔린 노래는 아이네 유튜브의 아웃트로 곡인 햄이네송의 오케스트라 버전이다.
  • 아이네가 직접 Artistic Director(예술감독)를 맡았다.
    • 무대가 360도 모두 돌아볼 수 있는 모습이었는데, 이는 팬들과의 소통을 위해 디자인 했다고 한다,
    • 어디를 비춰도 팬라이트가 나오게, 그냥 무대가 아니라 팬과 함께하는 무대가 될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 콘서트 바로 다음날, 작업자들과 함께 후기 방송을 진행했다.
    • 제작인원은 총 65명이다.
    • 디자인한 공연장 높이는 약 43 INE [11], 공간은 124.4 * 132 * 43 INE 라고 한다.
    • 라이브 조명기는 약 1870개를 사용했다.
    • 콘서트는 인트로(각 무대 전에 나오는 연출)를 제외하고는 전부 라이브 진행하길 바랬기 때문에 기술팀에서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했다.[12]
    • 콘서트 중 각종 오류가 날 것을 우려하고 있었지만 다행히도 큰 문제없이 비교적 깔끔하게 진행되어 팀원 모두 기적이라 했다고 한다.[13][14]
  • 콘서트에서 커버했던 모든 곡이 세트리스트 별로 유튜브에 개별적으로 업로드 될 예정이다.[15]


[1] EVER PURPLE 운영 사무국.[설정] [3] 대기시간 제외.[4] 유튜브 라이브 영상 기준 141분[인터미션] 15분의 인터미션이 있었다.[6] 콘서트가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진행되는 만큼 티켓 랜덤박스는 실제 콘서트 라이브 시청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순수 이벤트로만 진행된다.[7] 종전 아이네 방송의 역대 최고 시청자 수는 2024년 2월 10일에 진행된 아프리카TV 데뷔 콘서트의 5.69만명.[8] 1위는 우왁굳 방송의 악어의 놀이터 2 콘서트 중계방송의 86,704명이다.[9] 23.03.13~24.05.11[10] God knows... , WANNABE 등등[11] 실제 키가 아닌, 아바타 키 기준 단위[12] 아이네의 노래와 움직임뿐만 아니라 조명과 무대장치의 움직임, 카메라까지 모두 라이브라고 한다.[13] 깔끔한 진행과 별다른 버벅임이 없는 캐릭터의 모션과 더불어 아이네의 녹음인가 싶을 정도로 깔끔한 노래까지 합쳐져서 팬들조차 뭔가 하나는 라이브가 아닐 것이라고 추측했었을 정도였다.[14] 콘서트에 문제가 아예 없지는 않았다. 라이브 파트인 본 무대가 아닌 미리 준비된 연출이었던 STAR WALKIN'의 무대 전 연출에서 아이네가 멋있게 깃발을 꽂는 장면에서 깃발이 꽂는 모션이 나오기 0.몇초 전에 먼저 꽂혀있는 오류가 발생했었다.[15] 5월 28일: 1부, 5월 29일: 2부, 5월 30일: 3부, 5월 31일: 4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