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미권에서 박사나 의사를 부르는 호칭
어원은 의사를 뜻하는 Doctor의 앞부분으로, 우리말로 번역하자면 의사양반 정도의 뉘앙스다.어느 정도 친분이 있거나 말을 놓을 수 있을 때가 아니면 함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2. 디젤산화촉매장치
내연기관의 배기 후처리 | ||||
EGR | DOC | DPF | SCR | LNT |
Diesel Oxidation Catalyst
디젤 엔진의 배기 후처리 장치 중 하나로, 배기가스를 촉매 필터에 통과시켜 인체에 유해한 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CO), 미세먼지(PM)를 인체에 무해하거나 덜 유해한 이산화 탄소(CO2)와 물(H2O)로 변환시킨다.
- 탄화수소: 4CH + 5O2 →2H2O + 4CO2
- 일산화탄소: 2CO + O2 → 2CO2
- 미세먼지: PM + O2→ H2O + CO2[1]
대략 2005~2010년을 전후로 노후 경유차에 한해 DOC를 정부 지원으로 장착해줬으나, 노후 경유차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오염 물질인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효과가 미미해 인증이 취소됐다. 단, DPF 대비 관리 요소가 적고 출력 저하도 덜한데다 저공해조치 차량으로 인정받아[2] 올드카(특히 갤로퍼, 무쏘)를 찾는 사람들은 DOC가 장착된 차량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유로4 차량 중 DPF 없이 촉매로 유로4 인증을 받은 차량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기아 모하비, 현대 베라크루즈 초기 모델이 있다. 그래서 유로5 모델에 DPF를 탈거하고 유로4 S 엔진용 촉매를 장착하는 것이 한때 유행했다.
3. 파일 형식
Microsoft Word 2003까지 사용한 파일 형식으로, 사실상 표준이다.본래 MS-DOS 시절부터 워드 퍼펙트 등 여러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일반적인 포맷이었으나 당시 doc는 지금의 doc와 많이 달라 별도의 변환이 필요한 경우가 많았고, Microsoft Word 97에 기본으로 채택된 이후 몇번의 리비전을 거쳐 포맷이 변했다.[3]
Microsoft Word 97~2003 버전부터는 저 시기의 DOC와 호환되지 않는다.[4] Microsoft Word 2007부터 DOCX로 교체했으나(별개의 포맷이나 마찬가지이다) 이후에 나온 워드로도 DOC 문서의 작성/편집은 가능하다. 2015년 9월 4일에 발표한 5.0 버전이 최신이다.
오피스 2007 이전의 DOC 포맷은 바이너리 형식이라 호환성을 유지하며 기능 추가나 성능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파워포인트의 ppt와 엑셀의 xls에도 똑같이 적용되어 오피스 2007부터 Open XML 기반인 docx, pptx, xlsx 포맷으로 전환하였다. 새 포맷 파일은 이미지, XML 파일 등을 압축한 ZIP 파일 포맷이라 압축 프로그램으로 읽을 수 있다.
워드 2007 이후 기본으로 채택된 DOCX 포맷은 Office Open XML(OOXML)의 하나로, 이 포맷은 ISO 표준(ISO/IEC 29500)으로 인정되어 다른 기업들도 얼마든지 라이센싱을 통해 호환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더 이상 문서 포맷 독점을 통해 시장을 지배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경로의존성으로 인해 Microsoft Word의 입지는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처음 출시한 워드 97 시절에는 공개가 됐다고 하나, 1999년에 해당 온라인 페이지가 비공개로 전환됐다. 이후 독점으로 비판받은 MS는 2006년에 요청이 있을 경우 RAND-Z 라이센스로 공개했다. 이에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와 오픈오피스측에서 DOC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하여 발표하자, 2008년 2월 15일 MS에서 OSP 하에 DOC의 규격을 공개했다. # 다만 모든 기능을 공개한 것은 아니라 리버싱이 더 필요하다고 한다.
4. 가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J DOC#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J DOC#|]][[DJ DOC#|]]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오퍼레이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닥(레인보우 식스 시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닥(레인보우 식스 시즈)#|]][[닥(레인보우 식스 시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의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또봇 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또봇 닥#|]][[또봇 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영화
스테이시 키치, 페이 더너웨이, 해리스 율린 주연의 실존 인물 독 홀리데이를 다룬 서부극으로 1971년에 개봉했다.
8. 드라마
2025년에 방영한 의학 드라마로, 이탈리아 드라마가 원작이며 몰리 파커가 주연을 맡았다.
[1] 미세먼지의 경우 특성상 입자가 있어 완벽하게 변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DOC 후방에 DPF를 설치하여 남은 미세먼지를 포집한다.[2] 아무리 높은 규제를 적용한 서울 녹색교통지역에서도 저공해조치 차량은 기본적으로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한마디로 자동차 정기검사에서 불합격을 받지 않는 이상 환경 단속에 걸릴 일이 없다.[3] 사실 시장표준이나 국제표준을 가져와 자신들의 편의대로 개조한 후 도스나 윈도우 전용으로 만들어 표준을 뺏거나 파괴하는 방식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과거에 많이 쓴 방식이다. 오픈소스 프로젝트도 지원하는 현재의 마이크로소프트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이 느껴진다.[4] 한컴오피스의 HWP가 확장자는 같아도 초기 버전에서 만든 문서는 읽지 못하는 것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