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솔루션즈 DN Solutions | |
| | |
| <colcolor=#0000FF> 설립일 | 1976년 7월 1일 |
| 대표이사 | 김원종 |
| 업종명 | 공작기계 제조업 |
| 국가 | |
| 기업 규모 | 준대기업 |
| 모기업 | DN그룹 |
| 상장 여부 | |
| 상장 시장 | |
| 주식 코드 | |
| 자본금 | 268억 8410만원(2023) 연결기준 |
| 매출액 | 2조 1022억 6835만원(2023) |
| 영업이익 | 4362억 1875만원(2023) |
| 순이익 | 3204억 4345만원(2022) |
| 자산총액 | 1조 8247억 7821만원(2023) |
| 종업원 | 1285명(2023) |
| 웹 사이트 | |
1. 개요
| [DN솔루션즈] 홍보 영상 |
| [DN솔루션즈] 광고 영상 |
국내 1위[1], 글로벌 TOP3[2] 공작기계 제조사로 기계를 만드는 기계인 공작기계와 솔루션[3] 사업을 제공하고 있다. 본사 소재지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정동로 162번길 40이며 R&D센터는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연세세브란스빌딩에 위치해 있다. 2025년 1월에 부천 대장신도시 1첨단산업단지에 연구센터를 짓기로 협약을 체결하였다.
2. 특징
소재가 움직이며 가공하는 터닝센터(TC), 공구를 회전시키며 가공하는 머시닝센터(MC) 등 500여 종의 광범위한 공작기계 라인업을 구축하고, 66개국 140여개의 해외 딜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자동차, 항공, 의료, 에너지, IT, 건설 등 글로벌 고객의 다각화된 수요 산업에 부응하고 있다.최근에는 기존의 공작기계 제조회사에서 도약해 정밀기계산업을 주도하는 High-end(하이엔드)중심 솔루션 회사가 되고자 R&D 및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23년 신입사원의 초봉을 5200만원으로 책정하고 3개년 평균 성과급을 연봉의 20% 수준에서 지급했다.관련기사
2023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DIMF[4]에서 2032년까지 매출액 2배를 달성하고 기술 기반 글로벌 탑3 제조 및 토탈 솔루션 회사로 발전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관련기사
하드웨어인 공작기계뿐 아니라 공작기계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도 자체개발해 운영중이다. 사용자 환경에 따른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CUFOS와 DN솔루션즈의 T4000, Lynx, PUMA GT 시리즈에 최적화 된 제어 시스템인 CNC D300을 자체 개발했다. 공정에 대한 최소한의 가공지식만으로 DN솔루션즈 터닝 센터에 최적화된 가공 프로 그램을 설계할 수 있는 NC 프로그래밍 자동화 소프트웨어 SKETCH-TURN, 설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모니터링, 분석을 통해 4차 산업 시대에 필요한 최적화된 장비 운용을 제시하는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인 IDOO CONTROL이 있다.
경상남도 창원에 남산공장과 성주공장, 중국 산둥성에 연대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11월에 독일에 유럽 테크니컬센터[5] 를 열고 유럽 시장 공략에 나섰다.관련기사
3. 역사
1976년 대우중공업(공작기계, 자동화 사업부문) - 대우종합기계(공작기계, 자동화 사업부문) - 2005년 두산인프라코어(공기자동화BG) 2007년 두산메카텍 (공작기계BG) 인수 - 2016년 두산공작기계(두산인프라코어에서 분사, MBK파트너스로 인수) - 2022년 DN솔루션즈 (DN오토모티브에서 인수) 순으로 회사명이 변경되었다.4. 공작기계
4.1. 터닝센터
범용선반을 제외한 터닝센터 전반이 사업분야이다. 크게 분류하자면 터닝센터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평형은 표준형인 PUMA 시리즈와 소형 컴팩트 사양인 Lynx시리즈, High-end 복합기인 SMX 시리즈로 나뉜다. 수직형은 PUMA V, VT, VTR, VAW등 V가 따로 붙는 형태의 제품명을 사용하고 있다. SMX시리즈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직교형 복합 가공기이며, 이 제품의 원형이 되는 MX시리즈 역시 국내에서는 DN솔루션즈가 최초로 개발하였다. 또한 SMX시리즈는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하는 전략자산이기도 하다.4.2. 머시닝센터
터닝센터와 유사하게 범용밀링을 제외한 머시닝 센터 전반이 사업분야이다. 표준형에 해당하는 수직형 3축머시닝센터 DNM 시리즈와 Mynx 시리즈를 비롯하여 5축 머시닝센터, 보링 머신, 문형가공기 등에 걸쳐 폭넓은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DN솔루션즈의 5축 머시닝센터 역시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수평형 5축 머시닝센터를 개발하여 상용화한 기업이다. 이러한 머시닝센터중 일부는 나로호의 추진체 가공에 사용되는 등 첨단분야의 국가 제조역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4.3. 특수가공
4.3.1. 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
적층가공으로 기존 메탈 커팅 방식의 TC와 MC가 아닌 소재를 쌓아올리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PBF 방식과 DED 방식이 있다. DN솔루션즈는 지난 3월 인도 최대 금속 적층 제조사인 인텍(INTECH Additive Solutions)에 약 100억원의 지분 투자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LPBF 방식의 DLX 시리즈를 런칭했다.관련기사LPBF 기술은 금속 적층 제조 시장의 약 80%를 차지해 수요산업과 확장과 기술 고도화에필수적이라 여겨진다. 기존 깎아내는 방식으로는 만들 수 없었던 제품의 가공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6]
LPBF는 금속 분말을 얇게 도포한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금속 분말을 선택적으로 용융 및 융합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적층을 위한 플랫폼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추가 금속 분말이 도포되고 다시 용융(Melting) 및 융합(Fusion)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복잡한 형상을 대량으로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다.
DN솔루션즈는 금속분말을 분사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해 적층하는 방식인 DED 적층가공 과 동시에 5축가공을 하는 DVF8000T-AML 장비도 판매하고 있다. 금속분말을 분사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해 적층하는 방식으로 소재 및 장비 보수에 유용해 해군 정비창에서도 DN솔루션즈의 장비가 사용되고 있다.관련기사
DED 적층가공은 부품의 국부적 기능을 강화할 수 있어 신사업확장에 앞장서는 중이다. 일례로 전차의 톱니 궤도의 마모가 심하다면, 새로운 궤도를 제작하는 것보다 적층가공을 통해 더 좋은 물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보수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고 소재 강화로 유럽의 환경 규제인 EURO 7에 따라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마모 시 발생하는 미분진 배출 기준도 충족한다고 한다.
4.3.2. 레이저워터젯(Laser Waterjet)
고경재/난삭재 가공을 위해 레이저와 워터젯이 융합한 레이저워터젯 기술이다. 기존 레이저 가공의 경우 레이저 광학계를 통과한 빔(Beam)은 초점영역인 DOF(Depth of Focus) 의 짧은 영역만 가공이 가능했고, 워터젯의 경우 고압 물줄기가 경도가 높은 소재의 가공면의 크랙을 발생시켰다.레이저와 워터젯이 함께 가공하는 레이저 워터젯 방식은 중저압의 물줄기(20~100µm 직경) 내부에 레이저 빔을 전반사(total reflection)하여 두 기술의 단점을 보완해 공작물에 가하는 열영향과 크랙을 최소화한다. 레이저워터젯 장비는 다이아몬드 경도와 유사한 실리콘, 세라믹 등 고강도 소재 가공에 적합해 차세대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레이저워터젯은 어떠한 불순물도 없는 초순수(Deionized water)를 사용한다. Water Treatment 장비를 통해 초순수로 변환된 물은 상태로 전반사된 레이저와 함께 흘려보내는 레이저워터젯 기술은 기존 방전가공 방식과는 가공 속도와 정도면에서 압도적인 차이를 보인다.
4.4. 솔루션
4.4.1. 소프트웨어
-IDoo Control(IDOO RMS+)가공되고 있는 장비들을 원격으로 통제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24시간 무인가동을 하는 스마트팩토리의 핵심 기술이다.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여 3D시뮬레이션으로 최적화를 통해 공장의 모습을 구현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DN솔루션즈의 장비를 구매한 고객들은 원격 및 실시간으로 가동되고 있는 장비나 이슈가 발생한 장비를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다.
-DPMS
라인에 따라 팔레트가 움직이는 LPS에 맞추어 파트의 설치 및 가공이 진행되도록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다. DPMS에 파트 정보를 등록하고 생산계획을 세우면 가공순서를 스케줄링해 우선순위에 따라 가공이 진행된다. DPMF는 시스템이 차질없이 가공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생산실적을 확인할 수 있다.
-스케치턴(Sketch-Turn)
가공 공정에 대한 최소한의 가공지식만으로 터닝센터 장비에 최적화된 가공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NC 프로그래밍 자동화 소프트웨어다. 수동으로 NC코드를 작성하는 것 대비 절반이상 프로그래밍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UFOS(Customized user friendly flexible operation solution)
스마트제조의 핵심 요소인 소프트웨어며 DN솔루션즈가 자체개발했다. 아이폰의 ios와 비슷한 운영체제로 장비운영상의 낭비요소를 최소화해 가동률 향상에 기여하는 PC기반 컨트롤 시스템이다. FANUC, SIEMENS와 같은 NC속에 탑재되어 가공물과 공구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CPS(Collision prevention system) 등과 연계된다.
4.4.2. 자동화
-AWC(Automatic Workpiece Changer)소형 부품 가공시 다양한 소재를 하나의 장비로 가공하거나 공정의 연결이 필요할 때 최적화된 솔루션입니다. 최소한의 공간에서 다양한 소재들이 자리를 바꾸며 빠르게 공급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DVF series와 DNM 5AX series 등에 적용중이다.
-Pallet Pool System(LPS, RPS)
큰 가공물은 RPS를 통해 가공한다. 복수의 팔레트를 통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다양한 제조 공정에 따른 소재를 제공한다. 최소한의 비용과 면적으로 투자가 가능하며 기존의 현장 공작기계에 대해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작업 스케줄링 기능을 사용 여러 종류의 가공물을 순차적으로 대량 가공이 가능해진다. NHP, HC Ⅱ, DVF, HM, NHM series에 활용 중이다.
-LPS는 다품종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일렬의 일체형 자동화 솔루션이다. 기존 공장에 설치가 용이하며 공간 활용도가 높습니다. 전용 소프트웨어인 DPMS를 이용하면 최대 7대의 장비와 72개의 팔레트, 1152개의 형상의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하루 24시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솔루션이기도 하다. NHP, HC Ⅱ, DVF, HM, NHM series에 활용되고 있다.
-갠트리로더(Gantry Loader)
DN솔루션즈의 플래그십 솔루션으로 직교하는 2축 이상의 각 축이 모두 직선운동을 하는 직교 좌표형 로봇이다. 공작기계의 상층부에 위치하며 소품종 가공물의 대량 생산 시 빠른 설치와 편리한 운영이 가능한 자동화 솔루션이다. PUMA TT series와 PUMA TW series 등에 적용된다.이와 유사한 베어링 자동화 솔루션은 베어링 소재의 탈착/장착 시 비절삭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자동화로 생산성 및 작업자의 조작 편의성이 개선한다. Lynx 2100/2600, Lynx2000/2100G series에 적용된다.
-Bar Feeder
터닝센터의 솔루션 중 하나로 봉 형태의 긴 소재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다. 가공이 완료된 부품을 자동으로 장비 밖으로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파트 컨베이어로 전달해 생산성을 높인다. 기술 적용이 가능한 기종은 PUMA TT series, PUMA ST GS Ⅱ series, Lynx 2100/2600 series 등이다.
-COBOSOL(Collaborative Robot Solution)
협동형 로봇으로 다양한 옵션과 쉬운 조작으로 중소형 장비에 적용 가능한 자동화 솔루션이다. AMR(Autonomous Mobile Robot)과 함께 운용하며 소재와 가공 장비간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안전한 조작으로 자동화를 이룬다. PUMA 2100/2600/3100s, Lynx 210/220, Lynx 2000/2100G, Lynx 2100/2600, PUMA ST GS Ⅱ, PUMA GT, DNM, DVF, T series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5. 지배 구조
| 주주명 | 지분율 |
GMT 홀딩스 | 84.8% |
[FI] | 15.2% |
6. 역대 로고
| | |
| <rowcolor=#ffffff> 대우중공업 (1976~2000) | 대우종합기계 (2000~2005) |
| | |
| <rowcolor=#ffffff> 두산인프라코어 (2005~2016) | 두산공작기계 (2016~2022) |
| | |
| <rowcolor=#ffffff> DN솔루션즈(2022~) |
7. 역대 임원
- 두산공작기계
- 김재섭 (2016~2022)
- 김원종 (2022)
- DN솔루션즈
- 김원종 (2022~)
8. 전시회
| 2023 [DIMF] 홍보 영상 |
제품 및 기술 홍보를 위한 자체 전시회 DIMF(DN Solutions International Machine tool Fair)를 운영하고 있다. 1997년부터 2년마다 창원공장에서 운영하다 2023년 최초로 부산 BEXCO에서 진행했다.관련기사 첫 개최 이래 40,000명 이상이 전시회에 참가했고 700여개의 최신 공작기계가 출품 및 전시되었다.
이외에도 미국 IMTS, 중국 CIMT, 유럽 EMO, 한국 SIMTOS 등 세계 공작기계 전시회에 지속적인 참가를 통해 글로벌 업체로서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있다.
9. 공장/캠퍼스
9.1. 첨단 R&D센터(가칭)
2025년 1월 협약을 체결하면서 대장신도시의 1 첨단산업단지 입주가 확정지어졌다.
9.2. 남산공장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정동로 162번길 40에 위치한 DN솔루션즈의 대표공장이다. 1971년부터 본사로서 생산과 더불어 R&D, CS, AE, 전략 등 대부분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2008년 R&D 센터가 새로 설립되었다. 130억원이 투자된 공작기계 전문 R&D센터로 지상 5층, 연면적 2000평 규모로 전자제어기술을 바탕으로 각종 초정밀 공작기계 등 차세대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2024년 직원 복지관 DN마루가 건립되었다. 직원 식당과 카페, 휴게시설, 회의실, 홍보관등이 조성되어있다.9.3. 성주공장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대로 1144번길 19에 위치한 생산공장이다. 2014년 준공되어 대형기의 생산을 담당하고 있다. 연간 1천대의 공작기계를 생산할 수 있고 무인가공과 24시간 가동이 가능한 자동화 시스템을 갖춰 생산성을 높였다. 2024년 4월 1,130억 원을 투자해 초정밀 5축 가공기와 복합기 등을 위한 전용 시설인 신규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9.4.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일로 10에 위치한 연세세브란스빌딩 19층에 위치해 있다. 선행제어와 선행기술을 담당하는 서울 R&D 조직과 글로벌영업, 마케팅 파트 등이 있다. 2028년 경기도 부천시의 새로운 첨단연구개발센터가 완공되면 이전할 예정이다.관련기사9.5. 부산공장
2024년 2월 부산 강서구 미음지구 인근 국제산업물류도시 내 1만평 규모 부지에 1076억원을 투자해 첨단기계 제조센터를 설립하고 연구개발과 생산, 경영지원 등 다양한 분야 전문인력을 채용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이후 2025년 9월 30일에 부산공장 착공식을 열었다.#
9.6. 해외법인
- DNSA북미 영업과 마케팅을 담당하는 미국 법인으로 1992년 설립되었다. DN솔루션즈의 미국 내 공작기계 시장 점유율은 2위에 달한다. 2024년 4월 미국 시카고에서 현지 기술 지원과 솔루션 개발 등을 담당할 테크니컬 센터를 오픈했다
- DNSEU
유럽영업과 R&D를 담당하는 독일 법인으로 각각 1995년, 2024년 설립되었다.지멘스와 같은 NC 장비와의 연계와 디지털 트윈 등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 DNSC
옌타이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중국내 영업을 담당하는 중국 법인으로 2003년 설립되었다. 중국 시장을 타겟으로 중국내 자체 생산한 장비들을 판매한다. 迪恩机床라는 법인명으로 운영된다.
- DNSI
인도영업과 마케팅 거점으로서 2016년 설립되었다. 인도 카르나타카주 벵갈루루에 2030년까지 1000억을 투자해 새로운 공장과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관련기사
- DNSV
베트남과 동남아시아 영업을 담당하는 베트남 법인으로 2024년 설립되었다. 호찌민시를 기반으로 인도네시아,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으로 제품 판매·기술 지원을 한다.관련기사
- DNSQ
멕시코 영업과 중남미 지역을 담당하는 멕시코 법인으로 2023년 설립되었다.
9.7. 물류/서비스 센터
- 수도권 서비스센터경기도 광명시 일직로 12번길 13 공작기계회관 3층에 위치해있다.
- 천안물류센터
충청남도 천안에 위치한 700평 규모의 물류센터로 수도권에 밀집한 핵심 고객사, 하이엔드 장비 보유 고객과 가까워 고객이 필요한 부품을 당일 수령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0. 마케팅
10.1. 이스포츠
2025년 이스포츠팀 DN 프릭스와 3년간의 네이밍 스폰서십을 맺었다. 리그오브레전드와 철권8, 배틀그라운드, 피파온라인 등에서 DN프릭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한다.11. ESG
11.1. 사회공헌
- 연세대2024년 12월 연세대에 김상헌 DN그룹 회장이 30억, DN솔루션즈가 20억원을 기부했다. 해당 기금은 연세대 공과대학 내에 첨단 공작기계 및 제조 기술 연구를 위한 메이커 스페이스 조성에 사용될 예정이다. 2022년에는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력을 체결하고 첨단 공작기계인 5축 가공 수직형 머시닝센터 DVF 5000을 기증했다.
- 부산대
2022년 9월 부산대 교내 제2부속공장에 PNU-DN솔루션즈 머신샵 공간을 마련하고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약 3억원 상당의 DN솔루션즈의 4세대 첨단 공작기계 2대를 부산대 하이브리드 제조혁신엔지니어링센터에 기증했다.
- 영진전문대
2024년 6월 영진전문대 AI융합기계계열에 DN반을 개설하고 방학 기간 협약반 학생들을 위한 현장실습 기회를 부여하는 산학협력을 맺었다.
- 폴리텍대학
2022년 9월 공동연구 및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업무협약(MOU)식을 진행했다. 이로써스마트 가공시스템 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동연구 및 산학협력, High-end 장비 인력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및 프로젝트 공동 진행, 한국폴리텍VII대학 유사 관련 학과 우수 학생 취업 연계와 교육장비 지원 등에 대해 협력한다.
- 기부
2025년 경상도 대형 산불 당시 DN오토모티브와 함께 총 2억원을 후원했다. 2011년부터 창원종합사회복지관에 김장 김치를 전달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방한용품 100세트를 관내 취약계층에 전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