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10:58

DJ DOG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디제이독\'''{{{#!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1994년에 데뷔한 그룹}}}에 대한 내용은 [[DJ DOC]]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DJ DOC#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DJ DOC#|]]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1994년에 데뷔한 그룹: }}}[[DJ DOC]]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DJ DOC#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DJ DOC#|]]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DJ DOG
파일:newdjdog.png
DJ DOG
본명 신○○[1]
유튜브 개설일 2019년 1월 25일
구독자 수 106만명[기준]
조회수 580,738,313회[기준]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투네이션 아이콘.svg

1. 개요2. 콘텐츠3. 김도고와의 비교4. 유튜브
4.1. 조회수
5. 역사6. 등장하는 강아지들7. 여담

1. 개요

Gabe the Dog 합성 영상을 전문적으로 업로드하는 유튜버. 사람들은 그를 디제이 독, 줄여서 디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힙합그룹인 DJ DOC과 발음이 비슷하지만 이쪽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국내 및 해외의 유명 가요와 밈 등 다양한 소재로 합성한다. Gabe가 메인이지만, 다른 개의 울음소리를 가미하여 올리기도 한다.[4]

2. 콘텐츠

Gabe the Dog 소스를 사용하여 개소리 커버를 올리며, 1000만 조회수를 넘은 괴물급 영상들을 현재 6개나 보유하고 있다. 그 중 아기상어 강아지 리믹스가 압권으로, 국내외로 2억 회를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다.

3. 김도고와의 비교

비슷한 유튜버로 김도고 Doggo Kim가 있는데, 둘 다 합성실력이 대단하여 한국 Gabe the Dog 창작물에서는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 둘을 굳이 비교해 보자면, DJ DOG은 여러 개소리 소스를 사용하는 김도고에 비해 오토튠[5]을 많이 사용해 김도고보다는 소리가 단조롭고 영상에 업로드 기간도 김도고보다 느리지만, 그만큼 영상 하나하나에 더 많은 공을 들였기 때문에 영상미가 김도고에 비해 훨씬 화려하여 눈을 사로잡게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해외에서 유명한 밈을 적극적으로 다루는 편이며, 김도고는 애니 OST 쪽에 강세를 보인다. 정리하면, '소리보다는 시각에 더 집중해 매우 화려하고 눈이 즐거운 영상들을 하나하나 공들여 만든다'고 할 수 있겠다.

4. 유튜브

2019년 2월 6일에 첫 영상을 업로드하였다. 영상
첫 영상은 Camila CabelloHavana를 합성하여 올린 것이다. 첫 영상부터 조회수가 높게 나왔다.

김도고와 마찬가지로 아기상어 합성이 인기가 많아져서 외국인들도 많이 시청한다. 아기상어 밖의 영상들도 인기가 많기 때문에 외국인들도 꽤 많이 본다.

4.1. 조회수

가장 조회수가 높게 나온 영상은 아기상어 강아지 리믹스이다. 2023년 2월 22일자로 조회수 2억회를 달성했다.[6][7]
  • 조회수 순위는 10위까지 나열하였다.
조회수 순위 [ 펼치기 · 접기 ]
||<-3> 조회수 순위[A] ||
영상 조회수 순위
아기상어 리믹스 2억회 1위
겨울왕국 리믹스[9] 4601만회 2위
20세기 폭스 리믹스[10] 1660만회 3위
관짝춤 리믹스 2007만회 4위
구미베어송 리믹스 1501만회 5위
토마스와 친구들 리믹스 1117만회 6위
메갈로바니아 리믹스 846만회 7위
Axel F 리믹스 661만회 8위
iPhone 벨소리 리믹스 656만회 9위
카카오톡 페이스톡 리믹스 636만회 10위

5. 역사

활동 7개월만에 구독자 수 8만명을 돌파하였다.

2019년 12월 8일, 구독자 수 10만명 달성. 이는 한국 합성 유튜버 중 최초이다.

2020년 4월 22일, 구독자 수 20만명 달성.

2020년 7월 15일, 구독자 수 30만명 달성.

2020년 10월 4일, 구독자 수 40만명 달성.

2022년 9월 3일, 구독자 90만명 달성.

2023년 9월 1일, 구독자 100만명 달성.

6. 등장하는 강아지들

7. 여담

  • 심심풀이 TV 유튜브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에 의하면 심심풀이 TV와 DJ DOG은 동일인물이며, 이 채널을 부계로 운영중이다.근데 구독자는 여기가 5배 더 많다
  • 김도고의 무지개빛 타이레놀 영상의 댓글을 보면 예전에 합필갤에서 활동하던 경력이 있는 것 같다.
  • 강아지 유튜브 채널 루퐁이네에 직접 댓글을 달 정도로 팬인 듯하다. 또한 자신의 채널 커뮤니티에 루퐁이네에서 직접 판매한 전액유기견 기부 달력을 구매한 것, 루퐁이네가 굿즈제작회사 머치머치에 의뢰해 제작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구매한 것을 게시하기도 했다. 루퐁이네 채널 주인도 이 사실을 알고 있는지, 본인의 영상에 쓰일 <루퐁이네> 영상을 차용해도 된다고 특별히 허가받았다.
  • 이 채널 특유의 유머코드가 있어 구독자들도 그 채널에 그 구독자답게 걸맞은 댓글을 다는데, DJ DOG 운영자도 구독자들의 댓글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다는 댓글이 인상적이다.
  • 개와 관련된 채널인 만큼 컨텐츠 이름에 '게'자가 들어가 있으면 '개'자로 바꾸는 개그성 제목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오징어 이 있다.
  • 김도고와 헷갈려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단지 같은 밈을 사용할 뿐이며, 당연히 동일 인물이 아니다.
  • 합성물을 주로 다루는 채널인만큼 심영물과도 접점이 있는데, 김도고가 심영물의 팬으로서 심영물 영상에 자주 얼굴을 비춘다면, DJ DOG은 영상 말미에 폭☆8을 자주 삽입하는 편이다. 다만 분위기가 매우 진중하거나 심각한 곡에는 곡이 지나치게 가벼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합성을 무겁게 하며 말미에 폭☆8을 아예 넣지 않는다. 예시[11]


[1] 김도고 댓글의 답변에서 신씨라고 밝혔다.[기준] 2025년 2월 6일 기준[기준] [4] 구독자의 반려견을 등장시키기도 하며, 최근에는 영상 소재로서 개뿐만 아니라 다른 반려동물없으면 구독자 본인의 영상도 신청받고 있다.[5] 기계음 등으로 목소리를 변조하거나 음을 올리는 것. 자세한 내용은 오토튠 항목 참조[6] 게다가 국내 합성물 최초 1억회 달성이다.[7] 여담이지만 저작권에 걸려 수익은 없다고 한다.[A] [9] 같이 눈사람 만들래? - 같이 개사람 만들래? 버전.[10] 채널의 두번째 영상인데 1000만회를 기록했다.[11]어른제국의 역습에서 노하라 히로시의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에 삽입된 바로 그 곡이다. DJ DOG 본인도 이 곡을 가지고 합성을 하면서 분위기를 망칠까 봐 고심을 많이 했다고 하며, 분위기를 전혀 해치지 않고 원작의 감성을 그대로 살려낸 덕에 한국 한정으로 Gabe와 오세홍에 대한 헌정 합성이라는 극찬까지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