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04 12:59:37

ADF 반란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장.svg 콩고민주공화국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CDD09;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7fff> 콩고 위기
,1960 ~ 1965,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르완다 내전
,1990 ~ 1994,
파일:르완다 애국전선 당기.png 르완다 애국전선
부룬디 내전
,1993 ~ 2005,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제1차 콩고 전쟁
,1996 ~ 1997,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1997-2003).svg 콩고-자이르 민주 해방 연합군 파일:르완다 국기(1962-2001).svg 르완다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ADF 반란
,1996 ~ 현재,
파일:연합민주군기.svg ADF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제2차 콩고 전쟁
,1998 ~ 2003,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키부 분쟁
,2004 ~ 현재,
파일:M23.png 3월 23일 운동
}}}}}}}}} ||
ADF 반란
Insurrection des Forces démocratiques alliées[프랑스어]
Allied Democratic Forces insurgency[영어]
키부 분쟁의 일부
기간
1996년 11월 13일 ~ 진행 중
(반란 개시일로부터 [dday(1996-11-13)]일)
장소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교전국 및 교전세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간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간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콩고민주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콩고민주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UN기.svg MONUSCO
파일:연합민주군기.svg ADF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IS-CAP
마이마이 키얀데카
지원단체 및 국가:
신의 저항군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알샤바브[3]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1990년대)
지휘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간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간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요웨리 무세베니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콩고민주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27]]}}} {{{#!if 출력 == null
콩고민주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7]]}}}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7]]}}}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펠릭스 치세케디
(~2019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콩고민주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27]]}}} {{{#!if 출력 == null
콩고민주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7]]}}}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7]]}}}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조세프 카빌라
(2019년~)
파일:UN기.svg 제임스 알로이지 무와키볼와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자밀 무쿨루 (포로)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무사 발루쿠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후드 루콰고 (사망 추정)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유수프 카반다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무함마드 카이라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아슈라프 루콰고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프랭크 키타삼바
병력
콩고민주공화국군: 22,000명
UN군: 3,000명
약 1,500~2,000명
피해
UN군: 17명 이상 사망(탄자니아인: 15명, 말라위인: 1명, 남아프리카공화국인: 1명) 1,590명~2,090명 사망
314명 이상 포로
150,000명 강제 이주
1. 개요2. 상세
2.1. 1996년2.2. 2023년

1. 개요

우간다콩고민주공화국에서 발생한 ADF의 반란. 1996년부터 반란이 시작되었으며 2013년부터 격화되었다.

2. 상세

2.1. 1996년

1996년 11월 13일, 우간다브웨라음폰드웨-루비리하 지역을 대대적으로 공격하면서 반란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약 50명이 사망했으며, 25,000명이 도시를 떠났다.

2.2. 2023년

1월 15일, 콩고민주공화국카신디에 위치한 오순절교회폭탄 테러를 해 17명이 숨지고 39명이 다치게 된다.
6월 17일, 우간다 음폰드웨루비리하 중학교를 습격해 42명이 사망했다.


[프랑스어] [영어] [3] 가담 여부에 대해서 명확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