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13:57:52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A Dance of Fire and Ice|A Dance of Fire and Ice]]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파일:A Dance of Fire and Ice 로고.png
파일:얼불춤포탈2.png
추천 레벨

클래식(W1~5 · W6~10)
테크(W1~5)
DLC · 업데이트 내역 · 공식 레벨 순위 · 문제점 및 사건 사고 · ADOFAI.gg · 마이너 갤러리 · 대회 · The Universal Forums

1. 개요2. 세트 세계3. 엑스트라 세계4. DLC: Neo Cosmos5. 추천 레벨6. 만우절: A Dance of Fire and Ice 근데 레벨이 요상함7. 그 외
7.1. Pictured as Perfect7.2. NOISZ와의 컬래버레이션7.3. DLC: 리믹스 프로젝트 (EXiverse)7.4. Cosmic Radio 2024 7.5. Arcaea Crossing Pulse 악곡
8. 여담

1. 개요

A Dance of Fire and Ice의 공식 레벨, 즉 스테이지이다.

현재 세트 13개 + 엑스트라 15개 + DLC 9개로 총 37개의 스테이지가 있으며, 추천 레벨 43개 까지 합하면 총 80개이다.

2. 세트 세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세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세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세트#|]][[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세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게임의 메인 스테이지를 담당하고 있는 세계들이며, 총 13개의 세계가 존재한다.

3. 엑스트라 세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엑스트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엑스트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엑스트라#|]][[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엑스트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게임의 외전 스테이지를 담당하고 있는 세계들이며, 총 15개의 세계가 존재한다.
타 게임과의 콜라보레이션 세계 또한 엑스트라 세계로 분류된다.

4. DLC: Neo Cosmo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년 5월 31일에 출시된 DLC이며, 총 9개의 레벨이 수록되어있다.

5. 추천 레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 Dance of Fire and Ice/추천 레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 Dance of Fire and Ice/추천 레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 Dance of Fire and Ice/추천 레벨#|]][[A Dance of Fire and Ice/추천 레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개발진이 엄선한 커스텀 레벨들이 계약을 통해 공식 레벨로 출시된 레벨. 스팀 버전의 커스텀 레벨 메뉴에서 플레이 할 수 있으며, 비정기적으로 추가되고 있다.

6. 만우절: A Dance of Fire and Ice 근데 레벨이 요상함

2025년 만우절을 기념하여 추가된 레벨들. 세트 1의 6번째 세계 클리어 후, 기기의 날짜가 4월 1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진입 가능하며, 혹은 키보드로 FIRESTIX를 입력해도 진입할 수 있다.
세트 1에 포함되어있는 1~6번째 세계와 B번째 세계의 레벨의 약간 변형된 버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레벨들은 현재 게임의 레벨 제작자로 활동하고 있는 Firestix가 이전에 제작했던 커스텀 레벨 시리즈인 A Dance of Fire and Ice but the levels are cursed의 초반부를 게임에 추가한 것이다.
  • 1 스테이지: A Dance of Fire and Ice인데 음악이 요상함
원래는 직선과 계단의 박자 개념을 익히는 곡이였으나 만우절 스테이지에서는 뜬끔 없이 계단 없는 유턴 타일이 잔뜩 등장하더니 최후반에 들어서면 후살 패턴으로 갑자기 셋잇단 박자를 빠르게 연속으로 시킨다. 왜 이 레벨들을 기본 6스테이지를 깬 이후에 하라고 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
골인하기 직전에 피니시 지점이 회피한다거나 공이 자해를 한다거나 하는 장난을 치는데 이후 3초의 카운트 다운이 뜨고 나서 바로 눌러주면 깬다.
7스테이지 이후 중 몇몇 스테이지들을 깰 실력이라면 후살 패턴만 조심하면 엥간해서는 깬다.
  • 2 스테이지: Offbeats인데 살짝 긺
원 맵은 계단 지형을 본격적으로 연습하는 맵이였는데 만우절 스테이지는 직선 구간이 극단적으로 길어져버렸다. 손가락이 굳지 않을 체력을 갖추고선 기습 계단이 튀어나오는 후살 패턴만 조심하면 의외의 널널한 판정 덕에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깰 수 있다.
100% 이상을 넘기고 싶다면 언제 계단 지형이 튀어나오는지 숙지할 필요가 있다.
제목에는 살짝이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좀 많이 길어졌다.
그러나 다음 맵을 접하면 왜 살짝이라고 했는지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
  • 3 스테이지: THE WIND-UP인데 계속 되감기됨
원본은 본격적으로 ㄷ지형의 박자를 회전 방향에 따라서 어떻게 넘겨야하는지 숙지하고 숙달하는 맵으로 생각보다 길이가 긴 편이다.
만우절 맵의 컨셉은 스테이지 자체가 비디오 테이프에 담긴 내용이며 맵 곳곳에 맵을 아예 거꾸로 진행하게 만드는 구간을 넣어버렸는데, 거꾸로 전환되는 구간을 미드 스핀+역방향 타일로 표시해놨으며 거꾸로 진행되기 전에 오른쪽 위에 되감기 표시가 뜬다. 다시 진행될 경우 재생 표시가 뜬다.
처음에는 몇 구간만 거꾸로 돌리더니 피니시 직전에 깼다고 생각하는 순간에 다시 돌리는 것도 모자라서 아예 처음 타일로 돌려버린다. 이 나쁜 자식, 그러지 마! 그나마도 처음 타일로 돌아가고나서 그냥 진행해 깨면 모를까 도중에 빨리 감기까지 등장해서는 맵을 강제로 1.5배속으로 돌려버린다. 그렇게 무수한 억까를 견디고 피니시에 도달하면 비디오가 분리되는 소리와 함께 화면이 퍼렇게 되면서 끝난다.
체력과 연타 실력이 없으면 깰 수가 없을 정도로 두 번째로 어려운 미친 난이도를 자랑한다.
다만 이 맵은 곳곳에 세이브 지점이 있어 터져도 진짜 처음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다.
  • 4 스테이지: Love Letters인데 Classic Persuit의 악몽을 꾸고 있음
원래는 1.5배속을 해도 깨는 느린 속도의 느긋한 곡으로 셋잇단 박자의 처리 요령을 익히는 맵이다.
그런데 만우절 맵은 여기다 9 스테이지 맵인 Persuit를 끌어다 기워붙여버리는 바람에 느긋한 곡과 빠른 곡이 번갈아 등장하는 막장 맵이 되고 말았다.
처음에는 Love Letters로 시작하나 도중에 Classic Persuit가 등장하는 식으로 레벨 자체가 바뀌어버린다. 그렇게 무수한 기습과 억까를 견뎌 피니시에 도달하기 직전, 피니시가 갑자기 달아나면서 Classic Persuit가 등장하는데, 이것도 모자라서 점점 가속시켜버려 BPM을 200이상으로 보내버리는 후살 패턴이 등장한다. 이 후살 패턴까지 극복하면 진짜로 끝난다.
언제 전환되는지 외우지 않으면 기습 패턴에 바로 터져버리니 타이밍을 숙지하고 외워놓자.
  • 5 스테이지: The Midnight Train인데 기차가 뭔가 잘못됨
원본은 엇박자의 개념을 익히는 맵이다.
그리고 만우절 맵의 경우 음악이 중간중간에 노이즈가 낀 듯이 망가져버리는 것이 특징으로 원본 맵에는 후살 패턴으로 평행사변형 패턴(엇박을 2번 연속으로 깔아버리는 패턴)이 있지만 만우절 맵에서는 음악 자체가 깨져버려서인지 평행사변형이 짤렸으며 길이도 원본보다 다소 짧아졌다. 귀가 아니라 눈으로 보고 치는게 숙달되면 생각보다 할만한 편으로 만우절 스테이지 중에서는 가장 쉽다.
  • 6 스테이지: Pulse인데 위아래로 움직일 때마다 빨라짐
원본도 계단을 많이 오르고 내리락 하는 미친 길과 길이 때문에 어려운 편이다.
그런데 만우절 맵은 여기에 가속까지 넣어버리는 바람에 보너스 스테이지를 제외한 만우절 맵 전체 중에서 가장 어렵다.
제목 그대로 계단을 올라갈 때마다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 특징으로 처음에는 1.0배속으로 시작하지만 후반으로 들어가면 2.2배까지 가속되며 BPM이 365.5까지 치솟아버린다. 대략 16비트 마법진을 치는 듯한 속도까지 치솟는다고 보면 된다.
게다가 계단이 연속으로 이어지는 맵인지라 창작마당의 8비트나 16비트 마법진을 치는 것과는 다르게 계단의 엇박에 맞춰서 조절을 해줘야한다.
연타가 안된다면 아예 포기하는게 정신건강상 이롭다.
반면 본인이 이 맵을 100%를 넘겨 클리어할 수 있는 실력이라면 창작마당의 16비트 맵에 도전해도 좋을 것이다.

7. 그 외

아직 추가되지 않은 레벨의 추측 혹은 공식적으로 공개된 정보들이다.

7.1. Pictured as Perfect

최근에 나온 떡밥들로 인해 다음 엑스트라 세계는 Pictured as Perfect일 것이라는 추측이 늘어나고 있다.
  • 판정 범위 시트의 PaP
    판정 범위를 계산하는 시트가 존재하는데, 이 시트에는 공식 레벨 외에 "PaP"라는 곡이 적혀 있다. XC번째 세계와 XT번째 세계에 Frums의 곡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아, 여러 유저들이 이를 Pictured as Perfect로 보고 있다.
  • 클로버
    개발진들은 공식 레벨이 출시 되기 전에 디스코드 서버에 다음 세계의 떡밥을 남기는데, 이번에 나온 떡밥이 "클로버"이다.
    이 클로버가 Pictured as Perfect와 무슨 관련이 있냐고 물어볼 수도 있는데, 이는 과거에 한 유저가 만든 Pictured as Perfect 커스텀 레벨의 한 패턴[1]이 클로버와 닮았기 때문.
    혹은 클로버는 Pictured as Perfect가 아닌 다른 세계의 떡밥일 가능성도 있다.
  • 반려동물 사진
    예전에 개발진이 게임에 쓰일 유저들의 반려동물의 사진을 모집한 적이 있었다. 이 반려동물의 사진은 모자이크 되어 게임 내에서 잠깐동안 나온다고 하는데, 이 모자이크가 Pictured as Perfect의 BGA의 후반부(광과민성 발작 매우 주의)[2] 처럼, 분홍색, 하양색, 검은색의 3색으로 모자이크 된다고 한다. 여기서 사실상 출시가 확정되었다.

여러 관리자들이 자주 정보를 흘리고, 개발진 입에서도 나온다는 투의 발언을 하여서, 출시가 기정사실화 되었다.

떡밥이 나온 후에도 계속 나오지 않는 중인데, 관계자의 발언에 따르면 구현할 이펙트가 많아서 오래 걸리는 중이라고 한다. XT-X만큼 고퀄리티의 레벨을 다시 보여줄 지 기대되는 부분.
곡의 박자가 Options 이상으로 어지러운 관계로 출시된다면 왕관섬에 입성할 가능성이 높았지만 XI번째 세계의 등장으로 단지 추측이었던 것이 되었다[3].

이후 7th Beat Games 서울 미트업 행사에서 한번 더 언급되었다. 개발자 왈 아직 안 잊었다고. 하지만 이에 대해서 복잡한 생각이 있다고 한 걸 봐선 빠른 시일 내에는 출시되진 않을 듯 하다.

7.2. NOISZ와의 컬래버레이션

2022년 11월 22일 모바일 게임 NOISZ STΔRLIVHT와의 콜라보가 결정되었다.# 이후에 NOISZ 시리즈의 곡을 사용한 레벨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후 2024년 5월 31일에 해당 콜라보 레벨에 대한 티저가 공개되었다. #

여담으로 NOISZ STΔRLIVHT측에서는 Neo Cosmos의 No Hints Here!가 수록되었다.

이후 7th Beat Games 서울 미트업에서 Getty - Images라는 곡을 사용할 것이라는 사실이 발표되었다.

7.3. DLC: 리믹스 프로젝트 (EXiverse)

7th Beat Games 서울 미트업 행사에서 발표한 새로운 프로젝트. EXiverse란 명칭은 가제이다.

공식 레벨 하드 모드 합작[4][5]을 진행하였던 에디터 합작 팀 Team Vega와 7th Beat Games가 합작하여 진행되는 프로젝트로, Team Vega의 합작이 1~12번째, B번째, XO번째 세계까지만 진행된 것에 반해 이 계획에선 현재 존재하는 모든 공식 레벨의 리믹스가 추가될 예정이다, 스토리는 niAE라는 유저가 담당할 예정이다.

7.4. Cosmic Radio 2024

Muse Dash 제작사인 PeroPeroGames가 개최하는 공모전인 Cosmic Radio에 7th Beat Games가 정식 파트너로 참가하면서 수상작이 ADOFAI에 수록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7th Beat Games 서울 미트업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수록 확정을 발표하였다. Rhythm Doctor와 ADOFAI에 각각 2~3곡씩 추가된다고 한다.

파일:CosmicRadio2024ADOFAI.jpg
2024년 8월 31일, Cosmic Radio 2024 라이브에서 수록곡이 발표되었으며, 총 6곡이 수록될 예정이다.

7.5. Arcaea Crossing Pulse 악곡

2024년 10월 21일에 공개된 Arcaea와의 Crossing Pulse 악곡 교환을 통해, Arcaea의 수록곡 한 곡이 게임에 수록될 예정이다. #
공식 디스코드의 관계자는 "이번 콜라보는 악곡을 1:1로 교환하는 가벼운 이벤트이기에 어려운 보스곡을 선곡하기에는 어려웠다. 그러나, 그 외에도 훌륭한 곡이 많으니, 얼불춤 측에서 어떤 악곡이 수록될지 기대해달라."고 덧붙였다.

8. 여담

한국어는 T3번째 세계 힌트 없음!!(No Hints Here!)을 제외한 모든 보스곡의 명칭을 영문명 그대로 쓰지만, 다른 언어는 보스곡의 명칭 또한 번역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의 경우 12번째 세계의 곡명은 영문명인 Artificial Chariot이 (인조전차)로 번역되어 있다.

모든 공식 세계들의 특성으로는, 곡의 95%까지 갔을 때부터는 과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잘 가다가 후반에서 죽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인 듯. [6]

[1] 해당 유저의 동영상이 삭제되어 BWen의 동영상으로 대체하였다.[2] 광과민성 발작 위험이 매우 높다.[3] PC버전의 왕관섬 가운데 자리가 존재하고, 비어있는 걸로 보아 가운데에 XP번째 세계가 들어갈 것으로 보였으나 XI번째 세계가 들어가게 되었다.[4] Vol.1, Vol. 2[5] 4번째 세계12번째 세계에 해당하는 레벨들은 이미 추천 레벨로 등재된 경력이 있는 합작이다.[6] 커스텀 레벨에서는 이것이 적용되지 않지만, 에디터의 DLC 기능인 '판정 타이밍 범위'를 이용해 커스텀에서도 구현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