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2 01:05:33

2025년 대구교통공사 파업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전국철도노동조합 아이콘 화이트.svg대한민국의 철도파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93488><colcolor=#fff> 1994년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1994년 전국 철도·지하철 파업사건
2013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13년 전국철도노동조합 파업사건
2016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16년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2016년 전국지하철노동조합 총파업
2019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19년 한국철도공사 총파업
2022년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2022년 서울교통공사 총파업
2023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23년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2023년 서울교통공사 총파업
2024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24년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서해철도주식회사 로고.svg 파일:용인에버라인운영_Logo.png
2024년 수도권 철도 총파업
2025년 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2025년 부산교통공사 총파업
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 2025년 대구교통공사 파업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25년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 ||
2025년 대구교통공사 노동조합 파업
교섭 기간
7월 17일~
파업 기간
2025년 11월 21일, 미정
발생 원인
통상임금 지급, 만성적인 인력 공백으로 인한 노동여건 악화
교섭 대표(노조) 교섭 대표(사용자)
대구교통공사노동조합 대구교통공사
위원 위원장 이성일 대표 김기혁
결과
교섭 진행 중
영향노선
1~2호선[1]
1. 개요2. 원인3. 경과4.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교통공사의 제2노동조합인 대구교통공사노동조합이 2025년 11월 21일 9시부터 진행 중인 20년만의 파업.

2. 원인

  • 통상임금 지급: 통상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에 대해 노사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
  • 만성적인 인력 공백: 대구교통공사는 육아휴직 등으로 100여 명의 인력공백이 상시적으로 존재함에 따라 인력 충원이 필요하나 대구교통공사는 인력 충원 없이 기존 인력을 운영하고 있다. 노조 측은 휴가 사용이 자유롭지 못하는 등 노동 여건이 악화됨에 따라 인력충원을 통해 노동환경을 정상화하라는 입장이다. #

3. 경과

  • 10월 31일 대구교통공사노동조합이 노동쟁의 발생을 결의했다. #
  • 노동쟁의 발생 이후에도 교섭이 지지부진하자 노조가 11월 21일에 경고파업에 돌입했다. # 파업 시간표
    • 오전 9시부터 파업이 시작되어 1, 2호선의 운행횟수가 감소해 운행률이 최대 73%대까지 감소했다. #
    • 오전 10시. 노조원들은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파업대회를 개최했다. #
    • 노조는 경고파업 종료 후 당분간 대구교통공사와 교섭을 다시 진행해 경과에 따라 추가 파업 여부를 확정할 예정이다. #

4. 둘러보기


[1] 3호선은 무인운전으로 파업 시에도 정상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