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93488><colcolor=#fff> 1994년 | 1994년 전국 철도·지하철 파업사건 |
| 2013년 | | |
| 2016년 | | |
| 2016년 전국지하철노동조합 총파업 | ||
| 2019년 | | |
| 2022년 | | |
| 2023년 | | |
| | ||
| 2024년 | | |
| 2024년 수도권 철도 총파업 | ||
| 2025년 | | |
| | ||
| |
}}}}}}}}} ||
| 2025년 대구교통공사 노동조합 파업 | ||
| 교섭 기간 | ||
| 7월 17일~ | ||
| 파업 기간 | ||
| 2025년 11월 21일, 미정 | ||
| 발생 원인 | ||
| 통상임금 지급, 만성적인 인력 공백으로 인한 노동여건 악화 | ||
| 교섭 대표(노조) | 교섭 대표(사용자) | |
| 대구교통공사노동조합 | 대구교통공사 | |
| 위원 | 위원장 이성일 | 대표 김기혁 |
| 결과 | ||
| 교섭 진행 중 | ||
| 영향노선 | ||
| 1~2호선[1] | ||
1. 개요
대구교통공사의 제2노동조합인 대구교통공사노동조합이 2025년 11월 21일 9시부터 진행 중인 20년만의 파업.2. 원인
- 통상임금 지급: 통상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에 대해 노사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
- 만성적인 인력 공백: 대구교통공사는 육아휴직 등으로 100여 명의 인력공백이 상시적으로 존재함에 따라 인력 충원이 필요하나 대구교통공사는 인력 충원 없이 기존 인력을 운영하고 있다. 노조 측은 휴가 사용이 자유롭지 못하는 등 노동 여건이 악화됨에 따라 인력충원을 통해 노동환경을 정상화하라는 입장이다. #
3. 경과
4. 둘러보기
[1] 3호선은 무인운전으로 파업 시에도 정상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