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1:12:07

2023 자낳대: 서든어택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자낳대심볼.png 자낳대
역대 대회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5px -10px -5px -10px; padding: 2.5px 0px 0px 0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50%;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리그 오브 레전드 ]
2019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파이널
2020
시즌 1 · 시즌 2
2021
시즌 1 · 시즌 2 · 외전
2022
시즌 1 · 시즌 2
2023
시즌 1 · 외전 · 시즌 2
}}}}}}
[ 그 외 종목 ]
||<width=10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2c8ff> 와일드 리프트 ||<bgcolor=#000000><width=33%> 스타크래프트 ||<bgcolor=#000000><width=33%> 서든어택 ||
2020 2021 2021 · 2022 · 2023
발로란트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 베일드 엑스퍼트
2022 · 2023 · 2024 2022 2023
시즌 1 · 시즌 2
사이퍼즈 PUBG: 배틀그라운드
2023 · 2024 2024
}}} ||

파일:2023 서낳대.png
<colbgcolor=#6441a4><colcolor=#fff> 2023 자낳대: 서든어택
지역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주최, 주관 인챈트 엔터테인먼트
후원 넥슨게임즈
중계진 <colbgcolor=#6441a4><colcolor=#fff> 캐스터 정소림
해설 온상민, 러너
송출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경기장 전 경기 온라인
진행 방식 4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대회 일정
팀원 경매 2023년 10월 19일 오후 6시
더블 엘리미네이션 1일차 2023년 10월 26일 오후 6시
더블 엘리미네이션 2일차 2023년 10월 27일 오후 6시
상금
우승 1,500만 원
준우승 800만 원
3위 500만 원
4위 200만 원

1. 개요2. 선수 정보3. 팀원 경매4. 참가팀 로스터
4.1. 농구팀(팀 류제홍)4.2. 풉카웃(팀 푸린)4.3. 서른어택(팀 미르다요)4.4. 보약같은사약(팀 딩셉션)
5. 스크림 전적6. 경기 진행 방식
6.1. 맵 규칙6.2. 세부 규정
6.2.1. 총기 룰
7. 경기 내용
7.1. 1일차
7.1.1. 1라운드 (서른어택 vs 풉카웃)7.1.2. 2라운드 (농구팀 vs 보약같은사약)7.1.3. 승자전 (서른어택 vs 농구팀)
7.2. 2일차
7.2.1. 패자전 (풉카웃 vs 보약같은사약)7.2.2. 결승 진출전 (농구팀 vs 풉카웃)7.2.3. 결승전 (서른어택 vs 풉카웃)
8. 총평 및 결산9. 여담
9.1. 경매 이전9.2. 경매 이후9.3. 대회 이후

[clearfix]

1. 개요

자낳대: 서든어택의 3번째 시즌

2. 선수 정보

파일:서낳대 시즌 3 명단.png

3. 팀원 경매

선수명 경매결과
강지 미르다요 (105P)
코뚱잉 미르다요 (440P)
마왕루야 푸린 (5P)
렘쨩 딩셉션 (5P)
김펭귄 류제홍 (5P)
조디악 푸린 (355P)
피닉스박 미르다요 (15P)
행수 푸린 (305P)
리타 유찰
이선생 유찰
김된모 류제홍 (455P)
멋사 류제홍 (80P)
배돈 유찰
꽃핀 딩셉션 (445P)
남봉 딩셉션 (465P)
청묘 미르다요 (340P)
유찰 경매
리타 푸린 (90P)
이선생 류제홍 (180P)
배돈 딩셉션 (자동 낙찰)
* 남은 포인트- 류제홍(280P), 푸린(245P), 미르다요(100P), 딩셉션(85P)

4. 참가팀 로스터

4.1. 농구팀(팀 류제홍)

파일:농구팀.png
농구팀
팀장 팀원
류제홍
NBA.류제홍
김펭귄
NBA.김펭귄
김된모
NBA.신고누적
멋사
NBA.멋사
이선생
NBA.이선생

대회 최고 매물인 김된모를 비교적 싸게 가져왔지만 그래도 포인트를 많이 써서 다른 좋은 매물을 데려오기 힘들어졌다. 믿고 보는 류제홍과 타 FPS 전 프로게이머인 김된모는 듬직하지만 스나를 누가 들지도 고민해야하며 다른 FPS 겜을 할때도 컨디션을 많이 타는 김펭귄과 비교적 하위권인 멋사와 이선생이 얼마나 폼을 올릴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스크림에서는 상황이 좋지만은 않다. 생각보다 총기제한이 큰지 류제홍도 큰힘을 발휘하기 힘들어보기며 김된모 또한 에임은 괜찮지만 서든의 숙련도가 아쉬운 부분이 있긴하고 김펭귄이 스나를 들지만 숙련도가 매우 높다고 보기힘들며 멋사는 서든에 대한 숙련도가 부족한 모습이 보이면서 팀 전반적으로 아쉬운 부분있다. 하지만 게임이 잘 풀리면서 분위기가 올라가면 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고점이 높은 팀이다.

4.2. 풉카웃(팀 푸린)

파일:풉카웃.png
풉카웃
팀장 팀원
푸린
풉ㅋ풉ㅋ푸린
마왕루야
풉ㅋ풉ㅋ루야
조디악
풉ㅋ풉ㅋ조디
행수
풉ㅋ풉ㅋ행수
리타
풉ㅋ풉ㅋ리타

초반에 마왕루야를 낮은 포인트에 빠르게 데려오고 다른 팀장들이 고 티어 매물에 많이 포인트를 투자할 때 조디악과 행수에 적절히 포인트를 분배하며 데려왔고 남은 포인트로 발낳대 우승 경험이 있을 정도로 어느정도 FPS 실력이 있는 리타를 마지막으로 데려오면서 다들 어느정도 FPS 경험이 꽤 있는 밸런스 좋은 팀이 완성되었지만 스나 원툴 겜이라고 불리는 서든어택에서 스나 매물이 애매한 팀원 구성이라서 이를 어떻게 할 지가 관건이다.
스크림에서는 준수한 모습을 보여준다. 조디악과 행수가 샷싸움을 해주면서 리타와 마왕루야가 받쳐주다보니 팀 전체적으로 샷 싸움은 잘한다. 다만 스나수가 없다보니 푸린이 스나를 드는데 팀장이다보니 팀장용 스나총기인 스카웃을 사용하는데 이때문에 스나싸움이 좀 불리하 점이 문제이다. 그럼에도 푸린의 스나는 명품이기도하며 거기에 더불어 다른 팀원 전부가 팀 게임을 해본 경험이 많은 사람들이라서 브리핑 자제는 좋은 편이다.

4.3. 서른어택(팀 미르다요)

파일:서른어택.png
서른어택
팀장 팀원
미르다요
서울사시미조미르
강지
안산개장수정강지
코뚱잉
안성드럼통코뚱잉
피닉스박
원주라이더박종우
청묘
대전꿈돌이박청묘

경매 극 초반에 몰려있던 스나 매물인 강지, 코뚱잉을 데려왔으며 서낳대를 2번 우승한 피닉스박을 싸게 가져오면서 좋은 팀을 꾸렸다. 다만 강지, 코뚱잉이 서낳대에서는 스나만 썼기에 라플 실력은 미지수이며 팀장인 미르다요의 판단으로 340포인트나 투자해서 데려온 청묘가 어느정도까지 해줄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스크림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서낳대 시즌 1,2 모두 스나수였던 코뚱잉이 스나를 들어주고 피닉스박 강지 모두 잘 해주면서 우려와 달리 청묘도 팀에 잘 녹아들어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팀이다. 다만 유독 올드타운맵에서는 맵 숙련도 이슈로 재대로 힘을 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4.4. 보약같은사약(팀 딩셉션)

파일:보약같은사약.png
보약같은사약
팀장 팀원
딩셉션
청심환딩셉션
렘짱
부루펜시럽럼쨩
꽃핀
텐텐대용량꽃핀
남봉
타이레놀남봉
배돈
스테로이드배돈

FPS 경험이 많은 렘짱을 싸게 가져오고 스나 매물인 꽃핀과 지난 서낳대 우승 맴버인 남봉을 데려오면서 좋은 팀을 꾸렸으며 포인트 싸움에 밀려서 배돈을 자동 낙찰 받았다. 지난 대회 우승맴버인 남봉은 든든하지만 자낳대 팀장이 처음인 딩샙션과 스나 매물이지만 FPS 게임 실력이 그렇게 높지 않다고 평가 받는 꽃핀, FPS 경험이 비교적 많지 않은 배돈이 얼마나 많이 올라올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스크림에서는 좋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거의 남봉이 지게를 매고 가는 수준이라고 봐도 되는 상황인데 서낳대 출전 경험이 있는 사람이 남봉 한 명뿐이라서 전반적으로 남봉이 오더를 다 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렇기에 남봉이외의 선수들이 모두 폼을 올리는게 급해보인다.

5. 스크림 전적

6. 경기 진행 방식

파일:2023 서낳대 대회진행.png
  • 경매를 통해 구성된 5인 1팀, 총 4개의 팀이 더블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한다. (모든 경기는 BO5)
  • 라운드 스코어 BO11
    • 전반전 5라운드, 후반전 진영 교체 후 5라운드(총 10라운드)
    • 골든라운드 합산 6라운드 승리 팀이 해당 세트 승리
    • 골든라운드는 전반전 진영으로 진행

6.1. 맵 규칙

  • 1세트는 코인토스로 전반전 진영 선택
  • 2세트부터는 이전 세트 패배 팀이 전반전 진영 선택

6.2. 세부 규정

====# 기본 룰 #====

6.2.1. 총기 룰

  1. 팀장

    1. ㆍ팀장의 주무기는 기본총기류만 사용가능
      (M16/Scout/SMG U101 > Scout은 스나이퍼 취급, U101은 돌격소총으로 취급)
      ㆍ주무기 외에는 팀원과 동일한 형태로 사용가능
2. 팀원
ㆍ각 팀은 0~1명까지 자유롭게 스나이퍼를 구성할 수 있다.
ㆍ마이건, 보우류, 커스텀총기는 사용이 불가능
ㆍ스나이퍼가 아닌 기능성 총기는 사용이 불가능
ㆍG400을 제외한 폭탄은 사용이 불가능
ㆍF401,S402(섬광,연막)은 사용 가능
ㆍ폭탄설치킷은 '2초킷'만 사용 가능

7. 경기 내용

7.1. 1일차

파일:2023 서낳대 1일차.jpg

7.1.1. 1라운드 (서른어택 vs 풉카웃)

1라운드
서른어택 3 2 풉카웃
6 6 4 3 6 4 4 6 6 5
승자전 진출 결과 패자전 진출

7.1.2. 2라운드 (농구팀 vs 보약같은사약)

2라운드
농구팀 3 2 보약같은사약
6 1 5 6 6 5 6 6 2 5
승자전 진출 결과 패자전 진출

7.1.3. 승자전 (서른어택 vs 농구팀)

승자전
서른어택 3 1 농구팀
6 1 6 6 - 4 6 3 3 -
결승전 진출 결과 결승 진출전 진출

7.2. 2일차

파일:2023 서낳대 2일차.jpg

7.2.1. 패자전 (풉카웃 vs 보약같은사약)

패자전
풉카웃 3 1 보약같은사약
3 6 6 6 - 6 2 3 4 -
결승진출전 진출 결과 4위

7.2.2. 결승 진출전 (농구팀 vs 풉카웃)

결승 진출전
농구팀 2 3 풉카웃
6 5 4 6 2 1 6 6 4 6
3위 결과 결승 진출

7.2.3. 결승전 (서른어택 vs 풉카웃)

결승전
서른어택 3 1 풉카웃
6 3 6 6 - 5 6 5 3 -
우승 결과 준우승

패자전에서부터 연속으로 보약같은사약팀과 농구팀을 격파하고 올라온 풉카웃팀은 1일차 1라운드에서 붙었던 서른어택 팀에게 다시 패배를 맞이하고 말았다.

1라운드와 3라운드는 골든 라운드까지 가게 되고 2라운드는 이기는 등 초반에는 비등비등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이어지는 4라운드인 3보급창고에서는 전날 보여주었던 좋은 모습과는 다르게 6:3의 스코어로 마무리하며 아쉽게 패배하고 말았다.
전날 푸린은 3보급창고 B사이트에서 스카웃을 들고도 코뚱잉과의 스나 싸움에서 밀리지도 않고 오히려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보약같은사약팀과 농구팀을 연속으로 만나고 온 상황에서 체력과 집중력이 떨어진 모습을 자주 보이며 결국 어제와 같은 포스를 보여주지 못하였고 역시나 경매에서 쓸만한 스나수를 구하지 못한게 아쉬운 점으로 적용이 되어 끝내 고배를 마시고 말았다.

8. 총평 및 결산

파일:2023 서낳대 총평.jpg
ㆍ1위 서른어택
ㆍ2위 풉카웃
ㆍ3위 농구팀
ㆍ4위 보약같은사약

이전 서낳대와 달리 네 팀 모두 접전의 경기력을 보여주며 어느 팀이 우승해도 이상하지 않을 장기전의 연속이었다.[1] 사전투표로 이루어진 우승예측이벤트에서 68%를 차지하며 우승후보로 꼽혔던 류제홍 팀이 3위로 마무리한 것도 지금까지의 서낳대에선 없던 이변이다. 결과적으론 팀장 미르다요의 '스나이퍼 매물을 모두 데려온다.'는 경매방법이 정확히 통한 대회였다. 다른 팀의 스나수 역시 대회에서 여러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경매전부터 이번 대회 1티어 스나이퍼로 꼽히던 코뚱잉 앞에서 모두 정리되었다.[2]

시즌 1이 압도적인 스나이퍼들의 샷빨로 정리된 게임이었고, 시즌 2는 오더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면, 시즌 3는 서낳대에 첫 출전하는 뉴비들의 성장이 특히 눈에 띄었다. 우승한 미르다요 팀의 경우, 코뚱잉의 스나이퍼도 물론 빛났지만 결승전에서 청묘의 성장과 클러치가 중요한 승리를 가져왔으며, 아쉽게 패배한 푸린 팀에서도 리타가 P90으로 상대를 여러번 갈아버리며 MVP에 버금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딩셉션 팀의 배돈과 류제홍팀의 김펭귄도 뉴페이스임에도 불구하고 여러번 맹활약을 보여주었다.

9. 여담

9.1. 경매 이전


  • 자낳대 : 베일드 액스퍼드에 이어서 전 프로들 사이에 푸린이 팀장으로 또 한번 출전했는데 푸린이 팀장인 부분이 밸런스가 애매하다는 얘기가 있다. 지난 서낳대에 비해 트위치 다시보기가 없다 보니 푸린의 특기인 상대 전략 분석이 제대로 발휘되기 힘들 것으로 생각되며 실제로 자낳대 : 베일드 액스퍼드에서는 첫 자낳대인 231팀을 빼면 다른 팀들을 상대로는 준비한 전략이 잘 안 먹혔기에 더욱 애매한 상황이다. 거기에 더불어 다른 팀장의 경우 총기가 별로임에도 에임으로 1선에서 뚫어주는 역할을 많이 해주지만 푸린은 스나를 들거나 2선, 3선에서 진입하는 것을 선호하며 에임 싸움보다는 전략적인 승부를 보고 싶어한다. 하지만 전략적인 부분에서도 이미 자낳대 : 베일드 액스퍼드에서 한계가 드러났기에 푸린의 팀장 진출이 애매해 보인다. 전 FPS 프로게이머인 김된모는 팀원이고 그동안 서낳대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지만 전문 분야는 종합게임 스피드런인 푸린이 팀장인 점도 의아한 부분이다. 물론 지난 1,2시즌 모두 푸린의 활약이 독보적이었기에 그럴만하다는 시각도 있다.
  • 지난 서낳대에 비해서 출전 선수들의 수준이 많이 올라갔다. 지난 서낳대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피닉스박, 강지, 남봉, 코뚱잉 등이 출전하며 타 FPS 게임인 발로란트 전 프로게이머인 김된모부터 서낳대가 처음인 조디악, 김펭귄 ,렘짱의 경우도 FPS를 자주 플레이 했던 사람들이며 타 FPS 자낳대인 발낳대에서 우승해본 경력이 있는 리타, 마왕루야까지 출전했다. 하지만 그에 반해 몇몇 선수들은 FPS 장르 경험이 부족해 선수간 밸런스가 맞지 않아 보인다.

9.2. 경매 이후

  • 이번 대회 최고 매물인 김된모를 두고 딩셉션이 류제홍에게 445P로 너무 쉽게 내주면서[3] 번개가 치는 것 아닌가 싶었지만 푸린, 미르다요는 앞쪽에 좋은 매물에 먼저 포인트를 써서 팀을 꾸렸고 딩셉션도 김된모를 놓아주고 뒤쪽에서 괜찮은 매물들을 잘 데려와서 전반적으로 4팀 모두 괜찮은 팀이 완성됐다.
  • 스크림이 진행되면서 지난 서낳대보다 팀원들의 총기 선택이 조금 더 자유로워 졌는데 이 때문에 팀장들의 총기가 너무 차이가 나며 그렇다보니 지난 대회보다 팀장이 플레이로 해줄 수 있는게 많이 줄어들었다. 그렇다보니 더욱 경매에서 좋은 매물 먹기 싸움이 된것 아니냐는 말이 나오며 지난 대회처럼 부팀장으로 잘하는 사람을 한 명이라도 데려올 수 있었으면 좋았지만 그런 룰도 없어지다보니 더더욱 경매에서 좋은 매물을 많이 가져온 미르다요 팀과 푸린 팀이 비교적 상황이 좋고 서든 초심자 팀 게임 초심자가 있는 류제홍 팀과 딩셉션 팀은 비교적 상황이 안 좋은 편이다.[4]

9.3. 대회 이후

  • 류제홍, 푸린, 피닉스박은 이번 대회에서 우승할 시 서낳대 3회 연속 우승 타이틀을 차지하게 된다. 지난 대회까진 세명이 내내 같은 팀이었지만, 이번에 세 선수 모두 다른 팀이 되었다. 결국 '서른어택'이 우승을 차지하며 피닉스박이 서낳대 3회 연속 우승의 첫 번째 주인공이 되었다.
"여러분들, 다들 보셨다시피 그냥 시대를 잘못 만난 범부들일 뿐입니다. 결국에 우승 유관 DNA는 저, 피닉스박."
(피닉스박의 우승 인터뷰 내용 중)

* 미르다요는 첫 참가때 3위, 2번째 대회때 준우승을 하여 3번째 대회에서는 우승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는데 자신의 다짐을 실제로 이루는데 성공했다.
  • 각 팀마다 확실한 색깔이 있어 4팀간의 밸런스가 비등비등[5]했고, 덕분에 간만에 재미있는 대회가 나왔다는 평가. 롤드컵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공방 시청자가 1만명이 넘을 정도로 흥행에 성공했다. 이를 뒷받침하듯 예선전의 모든 라운드가 3:2로 진행되었고, 패배한 팀들도 충분히 이길수 있을법한 실력을 갖고있었음에도 한끗 차이로 아쉽게 탈락하는 치열한 싸움이 이어지며 어느 팀이 결승을 가도 이상하지 않은 대회였다. 낳대류 대회 첫 참가자인 김펭귄은 이러한 대회 분위기가 굉장히 마음에 들었는지 롤낳대에도 나가보고 싶다며 대회 뽕에 완전히 빠진듯한 모습을 보였다.

[1] 대회 1일차부터 1,2라운드 모두 풀카운트 접전까지 갔으며 두 경기 모두 5세트 골든라운드에서 승패가 결정되었다. 2일차에도 패자조에 속했던 '풉카웃'이 패자전과 결승진출전을 모두 이기며 결승에 올라오는 등 마지막 순간까지 어느 팀이 결승에 올라올지 예측하기 어려웠다.[2] 다른 팀의 경우 대회 도중 스나수를 바꾸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었던 반면 '서른어택'은 대회 내내 코뚱잉이 스나이퍼를 들었으며, 푸린을 상대할 때를 제외하곤 모든 경기 내내 스나이퍼에서 우위를 차지했다.[3] 적지 않은 포인트이긴 하지만 시즌 1,2에서 최고티어 매물들이 500P 이상을 받아 왔다[4] 그나마도 딩샙션팀은 남봉이 멱살잡고 오더를 하고 있지만 류제홍 팀의 경우 FPS 경험자인 류제홍과 김된모가 오더를 하고있지만 류제홍과 김된모 두 사람 다 오더를 메인으로 하는 선수가 아니라 플레이에 집중하는 선수다보니 오더가 애매한 상황이다.[5] 류제홍 팀은 FPS 경험자들을 앞세운 뛰어난 샷빨에서 나오는 높은 고점, 딩셉션 팀은 딩셉션과 남봉이 주도하는 영리한 오더를 통한 전략전술, 미르다요 팀은 강력한 스나수 코뚱잉과 이를 뒷받침 하는 기복 적은 멤버들의 탄탄한 저점, 푸린팀은 푸린의 날카로운 분석과 지고 있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경기를 뒤집을 수 있는 강한 멘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