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정규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분기 | 12월 - 3월 | 4월 - 6월 | 7월 - 9월 | |
WCS Global | <colbgcolor=#72a7b9,#467b8c> Global | IEM Katowice | IEM Shanghai | ||
SSL Premier | SSL Season 1 | SSL Season 2 | |||
WCS Korea | GSL | GSL Season 1 | GSL Season 2 | GSL Season 3 | |
Tournament | IEM Gyeonggi | ST Season 1 | ST Season 2 | ||
WCS Circuit | DreamHack | Austin | Valencia | ||
Jönköping | Montreal | ||||
2017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올스타전 | |||||
GSL vs World | |||||
2017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최종 결선 | |||||
2017 WCS Global Finals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caa745><tablebgcolor=#caa745> | GSL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GSL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0 오픈 시즌 1 | 오픈 시즌 2 | 오픈 시즌 3 | 2011 Jan. | Mar. | May. | LG 시네마 | July. | Aug. | Oct. | Nov. | 2012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시즌 4 | 시즌 5 |
2013 시즌 1 | MANGOSIX GSL | JOGUNSHOP GSL | 2014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2015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
2016 시즌 1 | 시즌 2 | 2017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2018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
2019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2020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2021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
2022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2023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2024 시즌 1 | 시즌 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블리자드컵 | GSTL | 슈퍼 토너먼트 | GSL vs. the World ] | 블리자드컵 | 2011 | 2012 | |
GSTL | 2011 Feb. | Mar. | May. | 시즌 1 | 2012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2013 Pre Season | 시즌 1 | 시즌 2 | |
슈퍼 토너먼트 | 2011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 2017 시즌 1 | 시즌 2 | 2018 시즌 1 | 시즌 2 | |
2019 시즌 1 | 시즌 2 | 2020 시즌 1 | 시즌 2 | 2021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
2022 시즌 1 | 시즌 2 | ||||
GSL vs. the World | 2017 | 2018 | 2019 |
역대 GSL 일람 | ||||
2017 HOT6 GSL Season 3 | → | 2017 GSL Super Tournament Season 2 | → | 2018 GSL Season 1 |
1. 개요
- 주최·주관: 아프리카 TV
- 후원: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핫식스
- 예선: 2017년 9월 17일
- 본선: 2017년 9월 28일 ~ 10월 1일
- 경기장: 프릭 업 스튜디오
- 사용 맵: 뉴커크 재개발 지구, 어비설 리프, 어센션 투 아이어, 오딧세이, 돌개바람, 메크 디포, 애컬라이트
- 특이사항
- 2017 HOT6 GSL Season 3 결승 진출자 2명(김유진, 이신형)에게는 시드가 부여된다.
- 2017 WCS Global Finals 마지막 티켓 1장을 놓고 벌이는 치열한 사투[1][2] 글로벌파이널 Code A
- 6명의 어카게가 모두 출전한다.
- GSL vs the world와 마찬가지로 유튜브의 아프리카TV 계정에 게시된 영상은 전부 영어 영상뿐. 이쯤되면 아프리카TV의 유튜브 계정 담당자의 직무태도가 의심된다.
2. 예선
- 오전조 그룹 B 최종전에서 변현우가 백동준에게 패배하면서 블리즈컨 진출이 좌절되었다.
- 오후조 그룹 A의 김준호는 예선을 통과했고, 오전조에서 변현우가 탈락하였기 때문에 2017 WCS Global Finals행을 확정지었다.
- 오후조 그룹 B 최종전에서 "TIME" 리 페이난이 조성호를 꺾으면서 2017 시즌 슈퍼 토너먼트 최초로 본선에 진출한 유일한 외국인 게이머가 되었다.
- 오후조 그룹 C 최종전에서 강민수가 고병재에게 패배하면서 블리즈컨 진출이 좌절되었다.
- 승부조작 게이머 김민형이 뻔뻔하게 예선에 참가하였다.
3. 본선
예고 영상페이스북4. 16강
INnoVation 이신형 | Rogue 이병렬 | sOs 김유진 |
Bunny 이재선 | Dark 박령우 | Dear 백동준 |
aLive 한이석 | soO 어윤수 | Classic 김도우 |
Ryung 김동원 | herO 김준호 | |
Maru 조성주 | Zest 주성욱 | |
TIME 리 페이난 | Stats 김대엽 | |
GuMiho 고병재 |
4.1. 1일차
16강 1일차(9월 28일 17시 00분) | |||||
선수 | 결과 | 선수 | 맵 | ||
1경기 | 이신형 | 3 | 1 | TIME | 어비설 리프, 뉴커크 재개발 지구, 오딧세이 어센션 투 아이어, |
2경기 | 김도우 | 3 | 2 | 한이석 | 오딧세이, 어센션 투 아이어, 애컬라이트 메크 디포, 어비설 리프 |
3경기 | 고병재 | 1 | 3 | 백동준 | 메크 디포, 뉴커크 재개발 지구, 어센션 투 아이어 어비설 리프, |
4경기 | 조성주 | 0 | 3 | 이병렬 | 어비설 리프, 오딧세이, 애컬라이트 |
- 프리뷰
- 1경기
기껏 예선을 뚫었더니 16강부터 우승자독재자를 만난 TIME - 2경기
2017 WCS Global Finals 경쟁자 맞대결 1
패배한 쪽은 무조건 내년을 기약해야 한다 - 3경기
6대 어카게 vs 초대 어카게
야인을 무릎 꿇린 무사의 칼날은? - 4경기
2017 WCS Global Finals 경쟁자 맞대결 2 + 인성에어 내전 - 결과
- 1경기
시즌3의 이신형, 중국의 유망주에게도 건재함을 과시하다.
분전한 TIME, 그러나 이신형의 벽은 역시 높았다 - 2경기
두 명 모두 간절했다. 하지만 김도우가 더 잘했을 뿐.
4세트를 따내 또 다시 영웅이 된 한이석의 사이클론, 그러나 최종 세트를 가져간 것은 예언자의 아버지 김도우. - 3경기
뭔가를 준비해 오긴 했으나 완벽과는 거리가 멀었던 고병재
일격에 상대를 베어버린 무사 백동준, GSL 우승자 테란에게도 자신의 칼끝이 꽂혔다.
제일 먼저 떨어진 마지막 어카게 - 4경기
2015년 글로벌 파이널 16강의 재림, 악몽같은 0:3 패배를 또 당한 조성주.
조성주의 메카닉을 완벽하게 대처한 이병렬, 공허의 중심에서 군단을 외치다.
- 총평
테란 굴욕의 날
이 날 경기를 치른 글로벌 파이널 경쟁자 네 명 중에서 두 명의 테란인 한이석과 조성주가 먼저 탈락했다. 이로서 WCS 한국 진영의 8위 선수로 테란이 자리를 잡을 가능성이 사라졌다. 그리고 네 경기 모두 패배한 종족이 테란이다.
리 페이난은 이신형을 상대로 2세트를 이기며 한 점을 따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무리한 빌드 선택과 거시적인 운영의 부족함이 결정적인 차이로 작용하여 이변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고병재는 3세트에서 메카닉 체제를 가는 듯 했으나 직후에 바이오닉 관련 준비도 하면서 특이한 운영 노선을 탔다레이트 바이오닉? 쓰까빌드. 하지만 어중간한 빌드여서인지 다수의 불멸자를 앞세운 백동준의 러시 한 방에 허무하게 무너지며 과연 이것이 준비된 빌드가 맞는 것일까 하는 의문을 사고 말았다(...).
리 페이난은 이신형을 상대로 2세트를 이기며 한 점을 따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무리한 빌드 선택과 거시적인 운영의 부족함이 결정적인 차이로 작용하여 이변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고병재는 3세트에서 메카닉 체제를 가는 듯 했으나 직후에 바이오닉 관련 준비도 하면서 특이한 운영 노선을 탔다
4.2. 2일차
16강 2일차(9월 29일 17시 00분) | |||||
선수 | 결과 | 선수 | 맵 | ||
5경기 | 박령우 | 3 | 0 | 이재선 | 오딧세이, 뉴커크 재개발 지구, 어센션 투 아이어 |
6경기 | 어윤수 | 3 | 2 | 김대엽 | 메크 디포, 오딧세이, 어비설 리프 애컬라이트, 어센션 투 아이어 |
7경기 | 주성욱 | 0 | 3 | 김준호 | 오딧세이, 뉴커크 재개발 지구, 어센션 투 아이어 |
8경기 | 김동원 | 1 | 3 | 김유진 | 메크 디포, 어비설 리프, 오딧세이 어센션 투 아이어, |
- 프리뷰
- 1경기
최근에 물이 오른 경기력을 선보였던 두 선수의 IEM 상하이 16강 리매치 - 2경기
2017 GSL Season 1 결승전 리매치, 과연 16강에서 웃는 자는? - 3경기
2017년 시즌의 막바지, 주성욱은 늦게나마 다시 한 번 부활의 신호탄을 날릴 수 있을까?
블리즈컨을 이미 확정지은 김준호, 디펜딩 챔피언의 자존심을 걸고 8강 이상까지 올라갈 것인가? - 4경기
김유진의 끝나지 않은 블리즈컨 도전기, 이 점수로는 아직 많이 불안하다.
재미있게도 16강 2일차에는 김유진을 제외하면 이미 블리즈컨이 확정된 선수들(박령우, 김대엽, 김준호, 어윤수)과 우승해도 못 가는 선수들(김동원, 이재선, 주성욱)만 있다. 즉 이 날 경기에는 블리즈컨 막차를 노리는 경쟁자가 김유진 외에는 단 한 명도 없는 것.
* 결과
* 1경기
2연속 올인에 이은 노못 트리플의 박령우, 허무하게 무너진 이재선
* 2경기
역시 결승 前의 수장님
지난 결승의 복수에 성공하며 우승 도전 행보를 계속 이어가는 어윤수
* 3경기
부활의 기미를 보이던 주파고는 어디로...??
디펜딩 챔피언, 슈퍼 토너먼트는 자신의 무대임을 증명하려 한다.
* 4경기
꿈의 무대까지 앞으로 한 발짝. 하지만 아직 안심할 때는 아니다.
* 결과
* 1경기
2연속 올인에 이은 노못 트리플의 박령우, 허무하게 무너진 이재선
* 2경기
역시 결승 前의 수장님
지난 결승의 복수에 성공하며 우승 도전 행보를 계속 이어가는 어윤수
* 3경기
부활의 기미를 보이던 주파고는 어디로...??
디펜딩 챔피언, 슈퍼 토너먼트는 자신의 무대임을 증명하려 한다.
* 4경기
꿈의 무대까지 앞으로 한 발짝. 하지만 아직 안심할 때는 아니다.
전날에 이어 나머지 두 테란인 이재선과 김동원마저 패하면서 16강에서는 테란 중 이신형만이 8강에 진출하고 말았다(심지어 이신형은 테테로 올라간 것이다). 예선을 가장 많이 통과한 종족임이 무색할 지경. 한 편 GSL 시즌3의 결승 멤버 둘은 8강 진출에 성공했는데, 슈퍼 토너먼트 시즌1에서는 결승 멤버인 김대엽과 어윤수가 16강에서 탈락했던 것과 대조되는 성적이다.
어윤수는 GSL 시즌1의 결승전 리매치에서 승리하며 그 때의 빚을 갚아 주었고, 올해 GSL 내내 지겹게도 만난 박령우를 8강에서 상대하게 되었다. 박령우가 시즌3 16강 최종전에서 기어코 2:1로 이겼던 바가 있지만 아직 어윤수를 완전히 뛰어넘었다고 장담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하지만 최근에 SSL 프리미어 결승까지 진출했고 최근의 경기력이 꾸준히 훌륭했으므로 또 다시 어윤수를 이길 가능성이 결코 낮지 않다. 게다가 8강에서 이기는 쪽이 WCS 한국 디비전 3위를 차지하게 되므로 이 역시 승부처. 모두가 주목할 만한 저저전 매치업이 될 전망이다.
온풍 마스터즈를 우승하고 래더에서 7052점을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타던 주성욱은 또다시 오프라인 경기에서 무너지고 말았다. 내년 시즌에도 선수 생활을 계속한다면 현재 징크스처럼 자리잡은 오프라인의 부진을 어떻게든 떨쳐내야 한다는 숙제를 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어윤수는 GSL 시즌1의 결승전 리매치에서 승리하며 그 때의 빚을 갚아 주었고, 올해 GSL 내내 지겹게도 만난 박령우를 8강에서 상대하게 되었다. 박령우가 시즌3 16강 최종전에서 기어코 2:1로 이겼던 바가 있지만 아직 어윤수를 완전히 뛰어넘었다고 장담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하지만 최근에 SSL 프리미어 결승까지 진출했고 최근의 경기력이 꾸준히 훌륭했으므로 또 다시 어윤수를 이길 가능성이 결코 낮지 않다. 게다가 8강에서 이기는 쪽이 WCS 한국 디비전 3위를 차지하게 되므로 이 역시 승부처. 모두가 주목할 만한 저저전 매치업이 될 전망이다.
온풍 마스터즈를 우승하고 래더에서 7052점을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타던 주성욱은 또다시 오프라인 경기에서 무너지고 말았다. 내년 시즌에도 선수 생활을 계속한다면 현재 징크스처럼 자리잡은 오프라인의 부진을 어떻게든 떨쳐내야 한다는 숙제를 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5. 8강
8강(9월 30일 17시 00분) | |||||
선수 | 결과 | 선수 | 맵 | ||
1경기 | 이신형 | 3 | 1 | 김도우 | 오딧세이, 어비설 리프, 뉴커크 재개발 지구 메크 디포, |
2경기 | 백동준 | 1 | 3 | 이병렬 | 어센션 투 아이어, 어비설 리프, 오뎃세이 돌개바람, |
3경기 | 박령우 | 3 | 1 | 어윤수 | 돌개바람, 어센션 투 아이어, 뉴커크 재개발 지구 오딧세이, 메크 디포 |
4경기 | 김준호 | 3 | 0 | 김유진 | 어센션 투 아이어, 뉴커크 재개발 지구 어비설 리프, |
- 프리뷰
2017년 블리즈컨 마지막 경쟁 최고의 분수령
최후의 테란 이신형의 운명은?[4]
김도우와 이병렬은 결승전에 진출하지 못하면 무조건 블리즈컨 탈락인지라 반드시 8강을 뚫어야만 한다.
재밌는 점은 둘 다 진출하면 4강에서 단두대 매치로 맞붙게 된다.
여담으로 오늘 경기는 특별히 김익근 캐스터가 중계한다.[5] - 1경기
3대 어카게 VS 4대 어카게, 난 너를 잡아야만 희망이 생긴다. - 2경기
초대 어카게 VS 뇌섹남, 물귀신 작전이 성공할 것인가.[6] - 3경기
세 번의 GSL 16강, 올스타전에 이어 슈토까지 이어지는 악연형이 왜 거기서 나와? - 4경기
그 놈의 1억빵 악연은 계속될 것인가, 아니면 이번에는 깨질 것인가
- 결과
- 1경기
최후의 테란의 존재감은 너무나도 강력했다. 운영, 날빌, 견제, 모든 게 완벽한 이신형.
SSL에서는 그렇게 잘 잡아 놓고 정작 여기서 이신형을 넘지 못해 블리즈컨 탈락의 쓴 맛을 본 김도우
김도우가 탈락하면서 진에어 그린윙스는 블리즈컨 진출자를 반드시 한 명 배출하게 되었다. - 2경기
대역전의 아픔을 이겨내고 GSL 네이밍 대회 최초 4강에 진출에 성공한 이병렬 - 3경기
천적은 옛날 얘기다. 이제 나는 저저전과 윤수형을 극복했다. 역전된 인간 상성. - 4경기
그 동안 5전제 이상의 다전제에서 한 번도 못 이긴 천적, 나도 극복했다.병렬아 나한테 고마워 해라
6. 4강
4강(10월 1일 17시 00분) | |||||
선수 | 결과 | 선수 | 맵 | ||
1경기 | 이신형 | 2 | 3 | 이병렬 | 어비설 리프, 어센션 투 아이어, 돌개바람 메크 디포, 오딧세이 |
2경기 | 박령우 | 2 | 3 | 김준호 | 어센션 투 아이어, 오딧세이, 메크 디포 애컬라이트, 어비설 리프 |
- 프리뷰
- 1경기
블리즈컨 진출을 위한 최후의 희망을 잡으려는 뇌섹남 앞에 버티고 선 독재자
블리즈컨행 마지막 멤버 경우의 수는 매우 간단해졌다. 이병렬이 우승하면 이병렬이 진출, 우승하지 못하면 김유진이 진출한다. - 2경기
박령우의 인간 상성 극복기 두번째 라운드
2015년에 박령우를 어카츠키, 원조수박 라인으로 불리게 한 시작점이 김준호와의 첫 케스파컵 결승이니만큼, 박령우의 복수전이 기대되는 경기이다.[7]박령우의 도장깨기 제2부 인간상성편
- 경기 진행
- 1경기
이신형의 메카닉과 바이오닉을 차례로 부수고 블리즈컨 진출을 목전에 둔 이병렬
이병렬의 국내 대회 첫 결승 진출
잠복 맹독충 축포 (트위치 클립) - 2경기
김유진을 등에 업은 듯한 김준호의 플레이
김준호 슈퍼 토너먼트 2연속 결승 진출 위업 달성
7. 결승
결승전(준결승전 직후) | ||||
선수 | 결과 | 선수 | 맵 | |
이병렬 | 4 | 3 | 김준호 | 뉴커크 재개발 지구, 오딧세이 돌개바람, 애컬라이트, 어비설 리프 어센션 투 아이어, 메크 디포 |
- 프리뷰
두 명의 선수가 맞붙는 결승이자 세 명의 운명이 걸린 결승[8]
IEM Season XII - Shanghai 결승 리턴 매치
블리즈컨 최종 진출 vs 슈퍼 토너먼트 2연패
묘하게도 김준호는 4강에서 김유진스러운 플레이를 펼쳤는데 스투갤에선 김유진이 이병렬을 저지하기 위해 직접 출격했다는 드립이 나왔다.
- 리뷰
블리즈컨 직행과 국내 대회 첫 우승[9] ,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섹시남
종족비 테7프6저3. 4강 테1프1저2 위기에 몰린 저그는 진화한다.
8. 결과
순위 | 상금 | 포인트 | 성명 | |
우승 | 1200만원 | 1500점 | 이병렬 | |
준우승 | 500만원 | 1050점 | 김준호 | |
3위 | 250만원 | 675점 | 이신형 | 박령우 |
5위 | 100만원 | 450점 | 김도우 | 백동준 |
어윤수 | 김유진 | |||
9위 | 50만원 | 225점 | TIME | 한이석 |
고병재 | 조성주 | |||
이재선 | 김대엽 | |||
주성욱 | 김동원 |
9. 총평
[1] 이 대회의 가장 큰 관심사. 김유진, 조성주, 한이석, 이병렬, 김도우가 치열한 대결을 할 예정이다.[2] 그리고 5명 중 4명이 16강에서부터 맞대결을 벌이게 된다.[3] 현재 스투판에서 주성욱의 부활은 하나의 밈(...)이 된 상태이다.[4] 슈토 16강에 테란이 7명 있었으나 이신형 혼자 살아남았다. 그나마도 테테전...[5] 박상현 캐스터는 아프리카TV 배틀그라운드 멸망전 결승전 중계로 인해 불참했다.[6] 백동준이 이병렬을 잡을 경우 글로벌 파이널 동반 탈락이다!!!94 친구끼리 사이 좋게 블컨 집관[7] 앞선 8강에서의 어윤수 뿐만 아니라 4강에서 만나는 김준호 vs 박령우의 상대 전적도 30대15로 김준호가 매우 앞서고 있다. 김준호는 슬럼프에 빠져서 경기력이 안 좋았던 시기에도 이상하게 박령우만 만나면 강해지는 모습을 보였던 바가 있다.[8] 김준호도 이 경기를 이기면 7위가 아닌 6위로 진출한다.[9] 더욱이 2017 국내 대회를 통틀어 처음이자 마지막 저그 우승자가 되었다.[10] 7위는 자기가 먹었고, 8위 경쟁에서 김유진을 떨어뜨리고 이병렬을 우승시켜주면서 김준호가 8위를 결정지은게 되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