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8:41:41

𥙈에서 넘어옴
창 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미배정
특급
-
일본어 음독
タイ
일본어 훈독
-
표준 중국어
duì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이체자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祋는 '창 대'라는 한자로, 무기의 일종인 ''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94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FHNE(戈火竹弓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보일 시)와 소리를 나타내는 (창 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𥙈[⿰示⿱巳又](U+25648)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넓적다리 고)
  • (염소 고)
  • 𥝻(곡식 곡)[1]
  • 𧣇[⿰角殳](벌벌떠는모양 곡)
  • 𧯸[⿰壹殳](콩깍지 곡)[2]
  • 𨱚[⿰镸殳](내던질 단)
  • 𧰵[⿰豖殳](칠 독/탁)
  • (괼 두)
  • (두번빚은술 두)
  • (말많을 두)
  • 𪉘[⿰鹵殳](짠땅 두)
  • 𪛒[⿰籥殳](채로치는북 련, 긴자루가달린북 렴)
  • (빠질 몰)[3]
  • (죽을 몰)[4]
  • (가지/일반 반)
  • 𣺲[⿰洣殳](빨리흐를 별)
  • 𪕂[⿰鼠殳](만주마멋 복)[5]
  • (베풀 설)
  • (수레끌 수)
  • (팔모진창 수, 나무이름 퇴)
  • (굴뚝 역)
  • (돼지 역)
  • 𢗎[⿰忄殳](마음쓸 역)
  • /(부릴 역)
  • 𩵤[⿰魚殳](예어 역)[6]
  • (옹기가마굴뚝 역)
  • (작은창 역)
  • (굳셀 의)[7]
  • 𡚾[⿰女殳](고울 주)
  • 𧘣[⿰衤殳](붉은옷 주)[8]
  • (돌산 철)
  • (재계할 촉)
  • 𤖬[⿰片殳](박두할 추)
  • (신뒤축 타)
  • (내던질 투)
  • (던질 투)
  • (주사위 투)
  • 𨸜[⿰⻖殳](웃음소리 해)
  • 𥍟[⿰矛殳](창 혁, 작은창 역)
  • 𪐮[⿰黑殳](축/몰)
  • 𤝈[⿰犭殳](투/을)
  • 𭚧[⿰弓殳]
  • 𰕶[⿰日殳]
  • 𰠎[⿰爿殳]
  • 𤤄[⿰⺩殳]
  • 𰨴[⿰⿱禾米殳]
  • 𧈻[⿰虫殳]
  • 𰮏[⿰肉殳]
  • 𰯯[⿰臣殳]
  • 𬖫[⿰粟殳]
  • 𫘈[⿰馬殳]
  • 𪌓[⿰麥殳]

[1] (곡식 곡)의 동자[2] (콩깍지 곡)의 동자[3] (빠질 몰)의 신자체간체자[4] 歿(죽을 몰)의 간체자[5] 𪔿(만주마멋 복)의 와자[6] 𩷍(예어 역)의 동자[7] (굳셀 의)의 동자[8] (붉은옷 주)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