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에이 불가사의 코미디 시리즈 | ||||||||||||||
| {{{#!wiki style="margin:0px -11px; color:#33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top:-8px; margin-bottom:-6px" | 1981년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
| 로봇 8짱 | 밧텐로보마루 | 펫톤톤 | 잠깐! 네무린 | 마음대로! 카미타맨 | ||||||||||
| <rowcolor=#FFFFE0> 1986년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89년 | ||||||||||
| 모리모리홋군 | 힘껏 탐정단 하드구미 | 저먼 탐정단 마린구미 | 마법소녀 중화 파이파이! | 마법소녀 중화 이파네마! | ||||||||||
| <rowcolor=#FFFFE0> 1990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
| 미소녀가면 포와트린 | 불가사의 소녀 나일 토토메스 | 노래하는! 대용궁성 | 유언실행세자매 슈슈토리안 | |||||||||||
| A: 1989년에는 마법소녀 중화 파이파이!가 조기종영한 관계로 작품 수가 2개로 나눠졌다. | ||||||||||||||
| 힘껏 탐정단 하드구미 おもいっきり探偵団 覇悪怒組 | |
| | |
| 방송 시간 | 매주 일요일 오전 9:00 ~ 9:30 (30분 방영) |
| 방송 기간 | 1987년 1월 11일 ~ 1987년 12월 27일 |
| 방송 횟수 | 50화 |
| 제작 | 후지 테레비 토에이 |
| 채널 | 후지 테레비 |
| 원작 | 이시노모리 쇼타로 |
| 프로듀서 | 토에이 : 우에다 야스지, 니시무라 마사유키, 키타자키 히로자네 |
| 감독 | 사에키 타카하루 외 |
| 각본 | 에츠레 타카시 외 |
| 출연 | 와타나베 히로키, 나카지마 요시미, 아마가사 토시유키, 이시이 타카유키, 미야마 린, 아키노 타이사쿠 외 |
| 첫 에피소드 | 괴인 마텐로 나타나다!(怪人魔天郎現わる!) |
1. 개요
힘껏 탐정단 하드구미는 1987년 1월 11일부터 1987년 12월 27일까지 후지 테레비계열에서 방송된 소년 탐정단 드라마. 토에이 불가사의 코미디 시리즈 제7편이며 전 50편이다.
2. 스토리
타케하야 초등학교의 5학년 3반 단짝 5인조, 히로시, 야스코, 타케오, 사토루, 스스무. 이들 중 리더격인 히로시는 공상의 괴인 마텐로(怪人魔天郎)를 컴퓨터로 만들어냈다. 이들은 괴인 마텐로를 주인공으로 한 독립영화를 만들어 학교에서 방송하자 교내가 발칵 뒤집히며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그날 밤, 공상의 괴인이었을 마텐로가 다섯 사람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 5인조였지만 마텐로 부터 도전장을 받은 일을 기회로 소년 탐정단 「하드구미(覇悪怒組)」를 결성한다. 이름에는 '하드보일드한 탐정'이라는 뜻이 담겼다.
이윽고 신임 교사로 부임한 오치아이 선생이 마텐로와 이상한 점에서 공통점이 있음을 알게 되지만 진위를 확인할 수 없다. 하드구미는 과연 마텐로를 잡을 수 있을것인가? 그리고 마텐로의 정체란?
3. 등장인물
4. 하드구미 아이템
- 킨 밋켈 (금속 탐지기)
- 쥬우 온서 (집음기)
- 하드 시버 (트랜시버)
- 지오라 스코프 (라디오& 쌍안경)
- 비밀 카드 (암호 해독용 카드)
- 하드 수첩 (비밀 수첩)
- 파치마 110 (카메라)
- 고쥬우키 (문구 수납 팩)
5. 주제가
5.1. 오프닝
마천루의 히어로(摩天楼のヒーロー)작사, 노래: 오노 마사에 작곡: 아리사와 타카노리 편곡: 야노 타츠미
5.2. 엔딩
소년색의 메르헨(少年色のメルヘン)작사: 후유모리 카요코 작곡: 우에다 치카 편곡: 야노 타츠미 노래: 하시모토 우시오
6. 방송 목록
7. 여담
1990년에 비디오로 출시된 국산 특촬인 반달가면에 등장하는 악당 엑스의 디자인이 본작에 등장하는 라이벌이자 히어로인 '괴인 마텐로'와 매우 흡사하며 반달가면의 출시년도는 1990년이고 본작의 출시년도는 1987년인 것으로 볼 때 반달가면 측에서 정장에 썩소짓는 황금가면의 이미지를 참고했거나 도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팬덤에서는 게임망토의 디자인 모티브가 아닐까라는 설을 많이 지지하고 있다. 정체불명이라는 점도 그렇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