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23:24:03

휴니멀

휴니멀
HU • NIMAL
<nopad>파일:휴니멀 표지.jpg
<colbgcolor=#e0c840,#e0c840><colcolor=#000,#000> 장르 어반 판타지, 수인, SF, 블랙코미디, 성장
작가 일링스
연재처 코미코
봄툰
리디
다음 웹툰
카카오페이지
발행자 위즈덤하우스
연재 주기
연재 기간 2015. 02. 28. ~ 2017. 12. 30.
이용 등급 15세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
3.1. 해외 연재
4. 설정5. 등장인물
5.1. 인물관계도5.2. 인간 사회5.3. A구역5.4. 최북단 마을
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코미코에서 연재된 어반 판타지, SF, 블랙코미디 웹툰이다. 작가는 같은 플랫폼에서 《피터팬의 웬디》를 연재했던 일링스.

2. 줄거리

파일:휴니멀 배너.jpg
환경오염이 심각해진 R-한국.
그 오염 때문에 반인반수의 휴니멀이 탄생한다.
15년간의 격리 끝에 인간들은 휴니멀의 필요성을 느끼고 그들과 공생하기위해 인간이 만든 휴니멀 '구구씨'를 야생 휴니멀 세계에 투입하는데…
과연 '구구씨'는 임무를 완수할 수 있을까?!!.
<코미코> 소개글
인간보다 더 인간같은 휴니멀(반인반수)들의 블랙코미디
<카카오페이지> 소개글

3. 연재 현황

모든 플랫폼에서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3.1. 해외 연재

  • 코미코 일본서버에서 일본어판이 연재되었다.(링크)
  • 메챠코믹에서도 일본어 번역본을 제공하고있다. (링크)

4. 설정

  • R(reset)-지구: 작품의 배경, 지금과는 다른 지구.
  • 휴니멀
    • R-한국에서 처음 등장한, 짐승이기도 사람이기도 한 존재들.
    • 휴니멀 조사 보고서
      1. 인간이 배출한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양이 많을수록 수인이 될 확률이 높아진다.
      2. 오염물질에는 자연에서 접할 수 없는 것들 (ex. 세제, 술, 담배, 의약품..대부분의 공산품)도 포함된다.
      3. 인간의 모습과 흡사할수록 지능이 비현실적으로 높아진다.
      4. 현재는 되돌릴 방법이 없다.
    • 휴니멀 등급
등급}}} || 특징 ||<width=18%>
출현
확률
||
61%}}} ||
26%}}} ||
10%}}} ||
3%}}} ||
?%}}} ||
  • 휴니멀 벨트
    • 휴니멀은 공짜 동물 실험체나 다름이 없어서 여러 기업체들 뿐 아니라 해외에서 탐내고 있다. 수인의 가치를 알아본 R-한국 정부와 국민들에 의해 지정된 수인보호구역으로, 태백산맥 일대가 휴니멀벨트의 영역이다. 이곳에 있는 휴니멀은 함부로 밖으로 나올 수 없으며, 인간도 함부로 이곳으로 들어갈 수 없다.
    • 수인대란
    • 휴니멀 벨트 해제 여론

5. 등장인물

5.1. 인물관계도

파일:휴니멀 인물관계도.jpg

5.2. 인간 사회

  • 천훈: 국무총리, 전직 휴니멀 연구소 소장이다. 구구가 태어나자마자 처음 본 사람. 남성이지만 구구가 태어나자마자 처음 본 이가 천훈이기 때문에 엄마라고 불린다. 악역인지 선역인지 모를 수상한 분위기를 풍긴다.
  • 이도윤: 국무총리 특별보좌관. 전직 휴니멀 연구소 수석 연구원.
  • 구구: 인간 나이로 30대 초반, 수컷이다. 태백산맥 밖에 있는 유일한 휴니멀이자 인간이 직접 만든 유일한 휴니멀. 비둘기 알에서 태어났다. 현직 환경직 9급 공무원이다.

    휴니멀로서 갖고 있는 능력은 '소통'이다. 본래 휴니멀들은 기본적으로 사람의 말을 하지만, 동물들과는 같은 종이 아닌 이상 소통이 불가능하다. 예컨데 뱀 휴니멀은 뱀과는 소통할 수 있지만 다람쥐와는 소통할 수 없다. 하지만 구구는 종족 간의 차이를 뛰어넘는다.

    일처리가 똑부러지지만 고지식해서 갈등을 유발하는 일이 잦다. 몸에서는 치킨 냄새가 난다.
    파일:구구 인물관계도.jpg

    구구 중심 인물관계도

5.3. A구역

  • (B-): 칡부엉이 휴니멀. 인간 나이로 20대 초반이며, 암컷이다. 휴니멀 밸트에서 나고 자랐기 때문에 몸 속에 GPS 칩이 없다. 붱만이 유일하게 휴니멀 벨트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추리닝을 선호한다.
  • 귀남: 소 휴니멀.
  • 람람: 다람쥐 휴니멀. 어린이 정도의 몸집이며, 지능도 그 수준이다.

    식탐이 강해서 음식을 너무 많이 주면 음식을 삼키지도 않고 볼에 저장해둔다. 휴니멀 중 가장 빠르다.
  • 오빠(B): 길냥이 휴니멀, 인간 나이로 20대 후반, 중성화 수컷이다. 중성화를 당했는데도 인간에게 그닥 적개심이 없다. 고양이처럼 상자를 좋아하고, 고양이 장난감도 좋아한다. 귀가 고양이 귀 둘, 인간 귀 둘로 총 네 개다.
  • 금동(A): 코카 스파니엘 휴니멀. 수컷이다. 반려견 출신이며, 주인을 매우 그리워하고 있다.
    휴니멀로서의 능력은 '후각'이다. 강아지 출신이라 냄새를 잘맡는데, 휴니멀이 되면서 후각 능력이 변질되어서 죽음의 냄새를 맡을 수 있게 되었다. 이 냄새로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 살 날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 이레화: 까치살모사 휴니멀. 암컷이다. A구역의 대표직을 맡았다. 다리가 없으며, 몸에도 비늘이 많이 남아있다. 이름의 유래는 이레(7일)와 꽃(花)로, 이레동안 피는 꽃이라는 의미이다.

    휴니멀로서의 능력은 '독'이다. 까치살모사는 맹독을 지닌 독사인데, 휴니멀이 되면서 독이 조금 변질되었다. 자신의 피에 독을 섞으면 무려 휴니멀을 동물로 되돌리는, 환원제[1]가 만들어진다. 한계도 존재하는데, 인간화가 너무 심하면 불가능하다. 이 경우 동물의 흔적이 남아있는 극히 일부의 신체만 조금 되살리는 수준에 그친다. 인간화가 심하지 않은 경우라해도 환원제가 3되 반 이상이 들어가서 독을 몇 날 며칠간 끌어모아야한다. 대개는 일주일 정도의 기간을 소모한다.[2] 이 과정이 체력 소모가 심해서 머리가 백발로 변한다. 건강을 회복하면서 검은 머리가 다시 자라나긴 한다.

    이 능력 때문에 휴니멀 벨트로 오기 전, 연구소에서 휴니멀화 방지 백신을 연구하는 데 몸이 바쳐졌고, 혹사가 심했다. 그러다 휴니멀 벨트 지정이 이루어지면서 최초로 휴니멀 벨트에 보내진 휴니멀이 되었다.
  • 독고(B-): 금독수리 휴니멀. 수컷이다. 본래 몽골에서 훈련된 새였으나 계절에따라 잠시 한반도를 거칠 때 휴니멀화 방역 처리를 한 염소를 먹었다가 휴니멀이 되었다. 이레화를 사랑하고있다.
  • 치치: 까치 휴니멀. 공중전화를 관리한다.
  • : 청설모 휴니멀.
  • 율모기: 유혈목이 휴니멀.
  • 4468(A): 돼지 휴니멀. 수컷. 인간 나이로 30대 중반이다.

    개그와 여행을 좋아하며 인간에게 사뭇 친화적온 듯하지만 무슨 생각을 하는지 종잡을 수 없고 소름끼칠 때도 있다. 휴니멀로서의 능력은 '냄새'인데, 몸에서 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다. 인간의 기준에서는 별 것 아닌 능력일지라도 짐승 사이에 섞이면 스스로를 숨길 수 있는 엄청난 능력이 된다.
  • ?: 닭 휴니멀.
  • 해돈(海豚)[3]: 돌고래 휴니멀. 암자에 기거하는 스님으로, 경전 공부가 끝나면 성경 공부를 할 생각이라고 한다. 구구가 해양 생물도 휴니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깨우치게 만든 휴니멀이다.

    휴니멀로서의 능력은 '초음파'이다. 돌고래는 초음파로 개체끼리 소통하는데, 휴니멀이 되면서 이 초음파가 독심술로 변질되었다. 그래서 타인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 홍자매(B-): 홍학 휴니멀, 인간 나이로 18세. 꼬마홍학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무용수들이다.

5.4. 최북단 마을

  • 호랑: 호랑이 휴니멀, 암컷. 최북단 마을의 수장이다.
  • 아랑: 들늑대 휴니멀, 암컷.
  • 임랑: 숲늑대 휴니멀, 암컷.

6. 둘러보기

일링스 작가의 작품 목록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height=85><width=33.3%> 파일:피터팬의 웬디 로고 라이트모드.png파일:피터팬의 웬디 로고 다크모드.png ||<width=33.3%> 파일:휴니멀 로고.png ||<width=33.4%> 파일:수린당 -비늘 고치는 집- 로고.png ||
파일:관계 지향적 관계 로고.png



[1] 원형으로 되돌리는 치료제.[2] 이레화라는 이름의 유래.[3] 돌고래의 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