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12:44:48

횡성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999> 파일:댐 일러스트.png한강 수계의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 font-size:0.9em; letter-spacing: -0.4px; word-break: keep-all"
한강 임진강 군남댐 | 황강댐(북한)
한탄강 한탄강댐
팔당댐 북한강 청평댐 | 의암댐 춘천댐 | 화천댐 | 평화의 댐 | 임남댐(북한)
소양강 소양강댐
남한강 섬강 원주천 원주천댐
대관대천 계천 횡성댐
충주댐 | 광동댐 | 괴산댐
한강 · 금강 · 영산강 및 섬진강 · 낙동강
}}}}}}}}} ||
<colbgcolor=#29ACFF><colcolor=#fff> 횡성댐
橫城댐|Hoengseong Dam
파일:횡성댐.jp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착공 1993년 12월
완공 2000년 10월 25일
관리기관 한국수자원공사 횡성원주권지사
유형 홍수 조절
전기 생산 발전기
하천 섬강
주소 강원도 횡성군 갑천면 대관대리

1. 개요2. 교통3. 관광

1. 개요

강원도 횡성군 갑천면 대관대리에 있는 섬강의 지류 계천의 다목적.

1993년 12월 착공하여 2000년 10월에 완공하였다. 한국의 댐 중에서는 가장 어린 축에 든다고 할 수 있겠다. 중앙차수벽형 석괴댐으로 높이 48.5m, 길이 205m, 총 저수량 8,700만t 이다.

댐 건설로 인해 수몰된 중금리 등 5.8㎢은 화성뜰로 불리며 호수 중간에 망향의 동산이 있어 매년 500여명의 실향민들이 모여 망향제를 지내며, 화성의 옛터 전시관이 있다. 또한 망향의 동산에는 중금리 탑둔지의 절터에 있었던 중금리 3층석탑[1]이 있다.

원주, 횡성지역의 광역상수도로 하루 6만톤을 공급이 가능하지만 원주시가 쓰는 물은 이보다 많다. 향후 늘릴 예정. 시설 규모 1000㎾(500㎾×2)로 전기도 만들며 섬강 하류의 홍수 예방 역할도 한다.

대부분의 댐이 표면취수방식인데 비해 횡성댐은 국내 최초로 선택취수 방식을 택해 댐 수질의 변화에 맞출 수 있게 했다.

2. 교통

교통은 자가용을 타면 횡성군청을 기준으로 15분 정도 걸린다.

3. 관광

물 문화관이 호수 옆에 자리하고 있고 댐 하류 진입로에 미니 축구장, 분수대, 물레방아 등 수림공원이 있다. 댐 정상부를 가로질러 전망대에 오르면 경치가 좋다.

망향의 동산에서 둘레길을 가볼 수 있다. 호수를 따라 돌다보면 경치도 괜찮고 공기도 좋다. 시작지점에 이전에 지방도로 쓰던 도로가 그대로 남아 있는데, 호수에서 튀어나와서 호수로 다시 들어가는 흠좀무한 모습을 보여준다.


[1]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19호. 동서로 서 있는 쌍탑 형식으로 특이하게 탑 상륜부에 불상이 새겨져 있으며, 횡성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처하자 1998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 보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