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현존 고가 | ||
가리봉철도고가도로 가마산고가도로 강남터미널고가도로 개봉고가도로 개봉철도고가도로 노원마을고가도로 노들고가도로C 도림고가도로 보라매고가도로 봉원고가도로 사당고가도로S 삼각지고가도로 서빙고고가도로 석계고가도로 성산고가도로 수산시장고가도로 신도림고가도로 압구정고가도로 영동대교북단고가도로S 오류고가도로 욱천고가도로 용마고가도로 이문고가도로 이수고가도로 이촌고가도로 잠원고가도로 정릉천고가교H 화곡고가도로 홍제천고가교H 화랑고가도로 한남1고가도로 한남2고가도로C | |||
철거된 고가 | |||
구로고가도로 광희고가도로 노량진고가도로 노량진수원지고가도로 미아고가도로 문래고가도로 삼각지로터리고가도로 서대문고가도로 서빙고차도육교 신당고가도로 신설고가도로 선유고가도로 영등포로터리고가도로 약수고가도로 원남고가도로 홍제고가도로 한강대교북단고가도로 혜화고가도로 회현고가도로 화양고가도로 떡전고가도로 | |||
S: 철거 예정 / H: 고속화도로 교량 / C: 철거 계획 취소 |
현저고가도로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Hyeonjeo Overpass |
한자 | 峴底高架道路 |
관리기관 | |
현저고가도로[1] | 서울특별시 |
개통일 | 1979년 5월 7일 |
1. 개요
서울시 종로구 행촌동[2]과 서대문구 현저동[3]을 잇는 폭 15m, 길이 528m의 고가차도이다. 독립문역 사거리를 가로지르며 독립문 앞을 지나기 때문에 독립문고가차도로 불리기도 하나 정식 명칭은 아니다.2. 역사
1979년 8월 16일에 준공되었다. 당시 공사비는 9억 8천만원이 들었다. 한편 1979년 성산로 공사[4] 당시에 독립문이 고가 예정지를 지났기에 구자춘 서울시장은 독립문을 통째로 들어서 위치 이동을 시켰다. 이에 대해 코미디언 전유성은 "차라리 고가를 돌아가게 만들자는 마음이 관광 상품을 만드는 것"이라는 쓴소리를 하기도 했다.3. 역할
성산로와 사직로를 직결하며, 금화터널과 사직터널 사이의 높은 고저차를 극복하고 통일로의 신호대기를 피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4. 기타 사항
2016년 6월부터 8월까지 고가 노후화에 따른 보수공사를 진행하였다.영화 택시운전사의 여는 장면에서 김만섭(송강호 役)이 모는 기아 브리사 택시가 금화터널을 나와 경복궁 방향으로 이 고가차도를 달리는 장면이 나온다.
금화터널을 건너면 봉원고가도로와 연결된다. 이 금화터널이 왕복 4차로에 불과하여 해당 구간 교통체증이 꽤 심한 편. 하지만 신기하게도 이 고가 자체는 정체가 없는 편이다.
고가도로의 높이가 상당히 높은 편인데, 이는 금화터널 자체가 꽤 높은 위치에 지어져 사직터널 사이를 완만하게 연결하려다보니 상당히 고가도로 교각의 높이가 높아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