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08:24:55

함평항

함평항
Hampyeong Fishing Port | 咸平港
<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fff,#1c1d1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소재지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학산리
개항(지정) 2006년 2월 7일
관리 함평군수

1. 개요2. 어항 연혁3. 어항 구역4. 기본 계획5. 주요 어종6. 현황


1. 개요

2006년 2월 7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함평군수이다.

2. 어항 연혁

함평군 손불면 학산리 해은부락에 위치하는 항으로 문명이 발달하면서 서해안의 주요거점으로 발달되었고, 조선 시대까지 주변 군사적 요충지의 중요한 통로역할을 하였다. 또한 1951년부터 함평군 학산리 육지 소규모어항으로 사용되어온 후 2001년에는 어촌정주어항으로 변경되었고, 국가관리 연안어항으로 개발을 위해 ‘해은항’에서 ‘함평항’으로 개칭하였다.

3. 어항 구역

수역: 기존 방파제 기부에서 방조제 법선과 75°방향으로 1,500m 나간점에서 직각 남쪽으로 4,500m, 직각 동쪽으로 1,000m, 직각 북쪽으로 3,900m(어항구역:4,766,733m2)

4. 기본 계획

방파제 2,110m2 선착장 L=170m, 물양장 A=4,500m2, 주차장 A=2,700m2, 진입로 L=248m, 복지시설 A=1,300m2, 레저시설 A=2,419m2, 부교 L=360m.

5. 주요 어종

낙지 등 연체동물이 가장 많고, 활어, 갑각류 및 기타 수산 등이다.

6. 현황

영문 대문자로 ‘HAM PYEONG’이라고 적힌 커다란 전시물이 반기는 함평항은 서해 함평만으로 들어오는 초입에 위치한 항구로, 부두와 방파제가 넓게 펼쳐져 있다. 가장 큰 볼거리는 유리 전망대로, 노을이 내려앉은 바다를 감상하기에 안성맞춤이다. 멀리 보이는 육지와 섬의 실루엣, 이 둘을 이어주는 칠산대교를 뚜렷하게 볼 수 있는 곳이다 보니 일몰이 참으로 아름답다. 함평항에서는 적지만 어선이 조업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자연산 활어는 물론, 낙지, 갑각류 등을 잡는 모습까지 볼 수 있다. 가까운 곳에 편의시설은 없으나 바로 앞 공원에 바람과 노을을 즐기기 위해 마련된 벤치가 있어 여유로움을 즐기기 좋다.

2003년부터 손불면 학산리에 있는 해은항을 연안어항으로 지정을 위해 함평항으로 개명, 2010년 11월까지 27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방파제 건설을 비롯해 접안시설 확충, 항로 준설 등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무안과 영광 등 인근 해역 어민들과 지자체들이 생태계 파괴와 어획량 감소 등을 주장하며 크게 반발하고 2015년에는 급기야 해양수산부, 함평 함해만 광역투기장 ‘안 하겠다’며 수그러 들었지만 지금도 함평항 개발에 여지를 남기고 있는데 준설선 3년 동안 바다에 방치하더니 결국 기름 유출 사고가 일어나 어민들의 불만을 사고있다.

한편, 2019년 함평항은 ‘어촌뉴딜 300사업’에 선정되었다.